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한국판 청소년용 플로리시 척도 타당화 연구:EPOCH 모델을 중심으로
김도희(전남대학교) ; 김희정(전남대학교) ; 정주리(전남대학교) pp.187-213 https://doi.org/10.16983/kjsp.2022.19.3.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지속가능한 안녕감인 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해 Kern과 동료들(2016)이 EPOCH 모델을 바탕으로 개발하고, 만 9세~18세 사이 미국과 호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EPOCH 측정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해당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2세~18세 사이의 청소년 507명이다. 자료의 분석은 Jamovi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요인분석, 분산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은 Kern 등(2016)이 제안한 5요인을 하위요인으로 상위 2요인으로 구성되는 2차요인 모형, 고등학생은 상위 1요인으로 구성되는 2차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 요인 척도의 신뢰도는 .90~.95 사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 집단의 플로리시 점수가 여학생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의 플로리시 점수가 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점수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플로리시는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리시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과 정신 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준거 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EPOCH Model was developed by Kern et al. (2016) to measure adolescents’ flourish referring to sustainable well-being as a product of their individual strengths and resources. Kern et al. (2016) validated the original EPOCH scale using American and Australian adolescents aged 8-18 years old.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Korean translation of the EPOCH scale, a Korean adolescents’ flourish scale, using a sample of Korean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07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2-18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es, ANOVAs, reliability analyses, and correlational analyses in Jamovi and AMO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second-order factor model with 5 factors at the first level and 2 factors at the second level was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a second-order factor model with 5 factors at the first level and 1 factor at the second level was appropriate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adolescents’ flourish scale was .90-.95.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flourish levels than fe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flourish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Korean adolescents’ flourish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김지근(경북대학교) pp.215-239 https://doi.org/10.16983/kjsp.2022.19.3.2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443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부정적 의미평가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학-직장 이행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와 진로적응성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하고 모호한 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개인의 경향은 대학-직장 이행 과업에 대한 긍정적 의미평가 및 부정적 의미평가를 통해 진로적응성 자원의 활용을 방해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43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was significant. Second, career adaptabil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Third, there we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appraisal of college-to-work trans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str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대학생 온라인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강화 채팅상담 개발 연구
이도진(충남대학교) ; 오상은(충남대학교) ; 선민이(충남대학교) ; 김주은(충남대학교) pp.241-275 https://doi.org/10.16983/kjsp.2022.19.3.241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보편화되며 많은 학생들이 학업의 어려움과 학습동기의 저하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기강화 채팅상담을 개발하였다. 내담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정서조절, 온라인 학습을 측정한 후 개인의 수준에 따라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3회기에 걸쳐 제공하였다. 총 참여자는 온라인 수업에 경험이 있는 대학생 64명(평균연령=23.23세, SD=1.98)으로 온라인 동기강화상담 집단에 32명, 무처치 통제집단에 32명이 참여하였다.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온라인 동기강화상담 참여자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온라인 학습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 참여자들은 변화가 없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았을 때, 상담참여자들의 내적조절, 확인된 조절, 외적조절이 증가하였고, 학업적 정서조절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상담집단에서 온라인 학습 능력 요인 중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인지적 과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 모바일기기 자기효능감 또한 증진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능력 요소 중 협력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소속감에는 변화가 없었고 그 이유를 본문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동기강화상담을 채팅의 형식으로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능력 향상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로, 이와 같은 단기 채팅 상담이 온라인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서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s universities offered online classes to students during Covid-19 pandemic, many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decreased academic motiv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motivational interviewing online chat counseling(MIOCC)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their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while learning online. We provided three personalized MIOCC sessions according to the students’ motivation and emotion regulation levels. A total of 64 college e-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mean age=23.23, SD=1.98), 32 MIOCC group and 32 of no-treatment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MIOCC significantly improved the e-learners’ academic motivation, emotion 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abil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changes in these areas. Regarding more specific domains, the counseling group reported increases in their internalized academic motivation, all domain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in several domains of e-learning competencies. Our study suggests that MIOCC may be beneficial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e-learning circumstances.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은경(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67-292 https://doi.org/10.16983/kjsp.2022.19.3.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대학생의 적응 향상을 위해 핵심역량을 통한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의 순차적 매개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1년도 2학기에 서울 소재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75명(남85명(30.9%), 여189명(68.7%), 성별을 밝히지 않은 기타1명(0.4%))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역량,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학습몰입,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학습만족,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핵심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학습몰입과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학습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몰입과 대학생활적응의 직접 경로와 핵심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간접 경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고려하여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적 처지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college adjustm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Y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Incomplete and otherwise unacceptable response sets were excluded such that responses from 275 students (85 male, 30.9%; 189 female, 68.7%; 1 prefer not to respond, 0.4%)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ollege adjustment, that learning flow was not correlated with college adjustment, and that learning flow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ollege adjustment.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mechanisms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s, which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interventions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