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
김지연(광운대학교) ; 박경애(광운대학교) pp.53-80 https://doi.org/10.16983/KJSP.2022.19.2.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 정서접근적 대처 그리고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고,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접근적 대처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를 차례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거의 외상 사건으로 인한 심적 고통이 현재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하고, 현재의 스트레스는 미래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즉, 스트레스와 성장은 삶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며 함께 공존하는 관계인 것이다. 이에 현재의 대학생들은 스트레스에 대해 부정적 개념만을 더 이상 생각하지 말고, 더 나아가 오히려 성장을 촉진하는 동력으로 개념화하여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hway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in post-traumatic stress-suffering high-risk university students. A research model that supplemented the model developed by Calhoun and Tedeschi (2006)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357 university students who had a traumatic experience. Stress-growth model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paths from invasive rumination to intentional rumin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from invasive rumination to an emotional approach coping to post-traumatic growth; and from invasive rumination to an emotional approach coping to intentional rumin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st-traumatic stress is the driving force for post-traumatic growth, past psychological pain drives present growth, and present psychological pain can drive future growth. Collectively, today’s university no longer think of stress as a negative concept, but rather, it is expected to be conceptualized and understood as a driving force that promotes growth.

코로나19 전후 초등교사 소진 잠재프로파일의 전이 양상과 직무요구의 영향
김준미(아주대학교) ; 서은애(아주대학교) ; 신효정(아주대학교) pp.81-107 https://doi.org/10.16983/KJSP.2022.19.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의 초등교사의 교사소진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잠재집단의 전이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의 분류와 잠재집단의 전이에 대한 직무요구(업무량, 시간압박, 역할모호성 그리고 역할갈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250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교사소진은 각각 낮은 도전형(under challenged),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이전 교사소진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직무요구는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고, 코로나19 이후에는 업무량, 역할갈등, 역할모호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이전 낮은 도전형(under challenged) 집단의 경우 코로나19 이후에 여전히 같은 집단에 머물거나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집단은 코로나19 이후 동일한 집단에 머물거나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집단은 코로나19 이후 같은 잠재집단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전후의 교사소진의 잠재집단간 전이를 예측하는 직무요구의 공통 하위요인은 업무량과 역할모호성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groups in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amine the transition patterns of latent group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determine how job demands, namely workload, time pressure,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and transition of latent group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re were four major results. The first result was that teacher burnout was classified as either the under-challenged type, the moderate burn-out type, or the emotional exhausted type. The second result was that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ffected latent group classification before COVID-19 while workloa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ffected it after COVID-19. The third result was that those in the under-challenged type group before COVID-19 stayed in the same group or moved to the moderate burn-out type group after COVID-19. Those in the moderate burn-out type group before COVID-19 stayed in the same group or moved to the emotional exhausted group after COVID-19. Those in the emotional exhausted group remained in the same latent group after COVID-19. The fourth result was that workload and role ambiguity predicted the transition between latent groups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
유은헌(휴노 EAP사업부) ; 남숙경(국민대학교) pp.109-123 https://doi.org/10.16983/KJSP.2022.19.2.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 2학년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SP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 소명, 학습몰입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와 소명,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은 서로 부적 상관을 가졌고, 소명과 학습몰입은 서로 정적상관을 가졌다. 둘째,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명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는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소명을 통해 학습몰입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인관계문제, 소명, 학습몰입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learning flow.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312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 was that interpersonal problems, calling, and learning flow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lling and learning flow while calling and learning flow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second result was that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learning flow. Learning flow was directly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as indirectly affected by them through calling. This paper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이윤희(고려대학교) ; NuoXu(고려대학교) ; 홍소은(고려대학교) ; 이은별(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125-157 https://doi.org/10.16983/KJSP.2022.19.2.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요약을 실시하였다. 기존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들은 이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였으나, 주제나 분석 방법이 이질적이라는 제한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질적 연구의 결과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을 실시하여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에 있어 보다 공통적이고 보편적으로 제시되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 DB 검색을 통해 총 15편의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총 603개의 진술문과 39개의 축약 진술문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은 크게 언어적 스트레스, 교육적 스트레스,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차별, 실생활 스트레스로 분류되었으며 여러 연구에 걸쳐 가장 높은 빈도로 언급된 어려움은 차별, 언어 차, 심리적 거리감으로 인한 대인관계 영역에서의 적응 문제였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에 반영된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들을 미국의 상황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적인 연구 수행을 제안하고 한국 대학 커뮤니티의 변화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tegrated qualitative studies on the college maladjust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using a qualitative meta-summary.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explored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ncounter in-depth, but it was difficult to integrate their findings because they used different methods or studied different themes. Thu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meta-summary to identify more common and general themes emerging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A total of 15 studies were identified in academic database. Analysis yielded 603 statements and 39 abstracted statements.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ced were categorized as language stressors, educational stressors, sociocultural stressors, discrimination, and practical stressors. The most frequent abstracted statements were discrimination, language differ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caused by psychological distance. The discussion compared Korea’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findings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for the changes of university communities were discussed.

중․고등학생 축구선수를 위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아름(영남대학교) ; 이윤주(영남대학교) pp.159-185 https://doi.org/10.16983/KJSP.2022.19.2.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Luthans(2002)의 긍정심리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목표 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 연구,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의 4단계를 거쳐 체계적인 개발 절차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울산광역시 프로산하 유소년팀에 소속된 중․고등학생 축구선수 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8회기 긍정심리자본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프로산하 유소년팀에 소속된 중학생 축구선수 2학년 10명, 고등학생 축구선수 2학년 9명이며, 중학생 축구선수 1집단과 고등학생 축구선수 1집단으로 구성하여 긍정심리자본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주당 2회기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측정도구별로 사전-사후검사 효과검증을 하였고,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긍정심리자본과 스포츠 수행전략(심리기술), 주관적 행복감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심리자본의 경우에는 하위요인에서도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스포츠 수행전략(심리기술)의 하위요인에서는 고등학생 축구선수 집단이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고등학생 축구선수를 위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와 더불어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w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iddle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To this en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creasing participa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developed based on Luthans’ (2002)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ory.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that included four stages: goal-setting, program composition, preliminary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survey given to 80 players on the youth soccer team belonging to the Ulsan professional soccer team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gram was composed of eighth session. The validity of the program’s content was verified by experts after which i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10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9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youth football team belonging to the Ulsan professional soccer team.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parately.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per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each measurement t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formance strategies, as measured by participants’ psychological skill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both group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confirmed in both groups in the subfactor, and in the subfactor of test of performance stratagies(psychological skills), 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all high school soccer players group. This paper discusses this study’s significance,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