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

The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of High-risk Post-traumatic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Approach Coping and Deliberate Rumination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 정서접근적 대처 그리고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고,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접근적 대처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를 차례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거의 외상 사건으로 인한 심적 고통이 현재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하고, 현재의 스트레스는 미래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즉, 스트레스와 성장은 삶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며 함께 공존하는 관계인 것이다. 이에 현재의 대학생들은 스트레스에 대해 부정적 개념만을 더 이상 생각하지 말고, 더 나아가 오히려 성장을 촉진하는 동력으로 개념화하여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 침습적 반추, 정서접근적 대처,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high-risk post-traumatic stress, rumination, emotional approach coping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hway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in post-traumatic stress-suffering high-risk university students. A research model that supplemented the model developed by Calhoun and Tedeschi (2006)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357 university students who had a traumatic experience. Stress-growth model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paths from invasive rumination to intentional rumin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from invasive rumination to an emotional approach coping to post-traumatic growth; and from invasive rumination to an emotional approach coping to intentional rumin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st-traumatic stress is the driving force for post-traumatic growth, past psychological pain drives present growth, and present psychological pain can drive future growth. Collectively, today’s university no longer think of stress as a negative concept, but rather, it is expected to be conceptualized and understood as a driving force that promotes growth.

keywords
high-risk post-traumatic stress, rumination, emotional approach coping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1-03
수정일Revised Date
2022-05-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6-24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