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외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 of Extraversion on Adjustment to College -Mediated by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는 외향성의 하위변인인 온정, 사교성, 긍정적 정서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외향성,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정, 사교성,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였을 때 온정과 긍정적 정서만이 대학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외향성의 여러 요인 중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의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외향성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 온정 사교성 긍정적 정서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mth, gregariousness, and positive emotion of extraversion's subvariables on adjustment to colleg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0 college students with questions on adjustment to college, extraversion,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revealed that warmth, gregariousness, positive emotion,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to college. However, when social support was mediated only warmth and positive emotion predicted adjustment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for discovering that warmth and positive emotion among many characteristics of extraversion affect adjustment to college, and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extraversion adjustment to college social support warmth gregariousness positive emo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5-03-31
수정일Revised Date
2005-06-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4-11-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