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인지적 및 동기적 변인들과 성별이 고등학생의 텍스트 유형별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gnitive/Motivational Variables and Gender on Writing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초록

이 연구는 쓰기수행에 있어서 성차가 유의하며 인지적 변인들(쓰기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메타인지 지식, 언어적 작동기억, 비판적 사고)과 동기적 변인(예, 쓰기신념)이 쓰기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성별이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인지적 및 동기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넘어서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23명(남학생 53명, 여학생 70명)이었다. 텍스트 유형을 구분하는 방식에 따라서 구성된 네 가지 쓰기과제(서사글, 묘사글, 설명글, 설득글)를 실시하였다. 또한 쓰기수행에 관련된 인지적 및 동기적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언어적 작동기억 검사, 비판적 사고 검사, 쓰기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메타인지 지식 질문지, 쓰기신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첫째, 텍스트 유형별 쓰기수행의 성차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텍스트 유형을 개인내 변인으로, 성별을 개인간 변인으로 설정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 유형의 주효과, 성별의 주효과, 텍스트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사후검증의 결과, 서사글, 묘사글, 설명글, 설득글 각각에서 여학생의 쓰기수행이 남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남학생 집단에서는 서사글 쓰기수행이 가장 우수하며, 여학생 집단에서는 묘사글 쓰기수행이 가장 우수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인지적 및 동기적 변인들이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넘어서서 성별이 쓰기수행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서사글 쓰기수행에 있어서는 메타인지 지식과 비판적 사고의 영향력을 넘어서서 성별이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설명글 쓰기수행에 있어서는 교호적 쓰기신념의 영향력을 넘어서서 성별이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메타인지 지식의 영향력에 추가하여 성별이 묘사글과 설득글 쓰기수행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쓰기교육과 쓰기평가에 던지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쓰기, 작문, 성차, 텍스트 유형

Abstract

Previous research supported the significance of gender differences in writing performance and also acknowledged the influences of cognitive (e.g.,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verbal working memory) and motivational variables (e.g., writing beliefs) upon the quality of written com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s of writers' gender on writing performance would be significant above and beyond the influences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variables. One-hundred twenty-three 10th-grade students (53 males, 7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ur writing tasks, differentiated by text mode (i.e., narrative, descriptive, expository, persuasive), the verbal working memory test, the critical thinking test,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bout writing processes questionnaire, and the writing beliefs inventory were administered. First, the data were analyzed by a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o test differences in writing performance by gender and writ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on all of the writing tasks than did male students. In the male group, the performance level of narrative writing was higher than that of descriptive, expository, and persuasive writing. In the female group, the performance level of descriptive writing was higher than that of narrative, expository, and persuasive writing.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influences of writers' gender upon writing performance on each writing task would be significant above and beyond thos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luences of gender were no longer significant after writing performance on the narrative text was explained by metacognitive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and that they were no longer significant after writing performance on the expository text was explained by transactional writing beliefs. However, the influences of gender upon writing performance on descriptive and persuasive texts were significant above and beyond those of metacognitive knowledg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students' gender but also their metacognitive knowledge about writing processe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ransactional writing beliefs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writing instruction programs or writing assessment. Finally,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writing, written composition, gender differences, text mod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5-09-30
수정일Revised Date
2005-12-0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5-06-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