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aims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which is based on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lIP-C). It also aim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ventory, and provide a preliminary norms. For the current study, inventory items were cull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lIP-C), various current scales dealing with peer relations of children, and a survey of children's peer relation problems. The preliminary items for each scale were administered to 220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The resulting skewness of distribution, kurto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meanings of the items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in selecting the final 64 items. In order to check on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reliability of the final items and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46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currently attending four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showed the range between .70-.94 (median value of .75), split-half reliability between .67-.83 (median value of .75), and test-retest reliability between .69-.88 (median value of .81). Inter-correlation of 8 scale scores and factor analysis results of individual ipsative scores showed that the circumplex property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is appropriate. Regarding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existing indices and scales related to peer relation problems, both convergence reliability and discrimination reliability were found to be fair. When the scale scores for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compared according to the factors of gender and grade, the primary effects of gender and grad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whereas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 were not.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constructed an inventory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eer relation problems specific for children(from fourth to sixth grade) and provided preliminary norms.

keywords
교우관계, 또래관계, 교우관계문제, 원형척도, peer relation, peer relation problems, circumplex scale

Reference

1.

고영본 (1981). 고등학교 학생의 교우관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공인숙 (1996). 유아 및 아동의 공평성에 관한 언어적 상호작용과 공평성 추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경연 (1987). 부모의 아동평가, 자아존중,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경 (1992). 수줍어하는 아동을 위한 자기표현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원 (1993). 국민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진 (2005).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립 아동의 교우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매뉴얼. 서울: 학지사.

8.

김지혜, 조선미, 홍창희, 황순택 (2005).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지침서. 서울: 한국가이던스.

9.

김영환, 홍상황 (1999). 대인관계평가도구의 표준화연구: 대인관계문제검사와 원형척도. 성곡논총, 30, 537-594.

10.

김형태 (1989).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남희경 (2002). 가족관계, 자아강도 및 대인관계의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12.

박은애 (2006).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줍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성영혜, 김광웅, 이재연, 서영숙 (1995). 아동교육심리. 서울: 숙명여대출판부.

14.

성영혜, 김광웅, 이재연, 서영숙, 이소희 (2001). 아동심리학.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5.

신기은 (1998). 협동작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만철 (1992). 아동기의 노동감 수준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심혜경 (2005). 아동 우울과 지각된 교우관계, 교사, 부모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심희옥 (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1(1), 19-33.

19.

양윤란, 오경자 (2005).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개발: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961 -971.

20.

이현정 (1994). 아동이 지각한 교우관계의 질에 관한 연구. 원우논총, 12, 191-220.

21.

장휘숙 (2002). 청소년용 공격행동척도의 타당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81-96.

22.

정남운 (2004).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의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37-51.

23.

정남운 (2005). 대인관계 형용사척도(KIAS-40)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83-598.

24.

정수미 (2002). PASCAL 세계대백과사전 3권 교우관계. 서울: 동서문화.

25.

정창윤 (1997). 초등학교 아동의 수줍음과 자기존중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943-956.

27.

최진숙, 조수철 (1990). 소아 불안의 측정: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신경정신의학, 29(3), 691-702.

28.

최흥식 (1990). 주장훈련이 국민학생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허승희 (1993). 국민학교 아동을 위한 사회 정서적 고립척도 개발. 초등교육연구, 7(1), 19-32.

30.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31.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s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 140-153.

32.

Fisher, G. A. (1983, September). Coefficients of agreement for circular dat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Detroit, MI.

33.

Horowitz, L. M. (1979). On the congnitive structure of interpersonal problems treated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5-15.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