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진로정체감과 자아강도의 조절효과
정민(전남대학교) ; 노안영(전남대학교) pp.213-227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13
진로미결정과 애착, 자기대상욕구의 관계
김미자(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정남운(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229-249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욕구와 애착,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05명이었으며 친밀관계 경험척도, 한국형 자기대상욕구 질문지, 및 직업미결정 척도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과 자기대상욕구, 진로미결정은 서로 상관이 있었다. 특히 애착 불안은 애착 회피보다 자기대상욕구나 진로미결정과 더 큰 상관을 보였다. 또 자기대상회피는 진로미결정의 거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대상갈망은 그 하위요인들이 진로미결정의 소수의 하위요인들과만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자기대상회피와 자기대상갈망은 모두 진로미결정 요인 중우유부단파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이들의 관계의 방향성을 검증해본 결과 자기대상회피는 애착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상담에의 함의, 그리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살펴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indecision, attachment, and selfobject need. Three hundred and five college students of Seoul and Kyung-gi 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y carried out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ECR), Korean Selfobject Need Inventory(K-SONI), and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K-C II). The result indicates chat selfobject need,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are correlated, especially showing stronger relationship with attachment anxiety than with attachment avoidance. Also the avoidance of selfobject correlates with almost all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indecision and in contra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hunger for selfobject correlate with only a few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indecision. Moreover both the hunger for selfobject and the avoidance of selfobject correlate with the indetermination factor of career indecision.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effect of attachment on career indecision was mediated by the avoidance of selfobject.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finding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ast and future research.

아동의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
장혜정(숙명여자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251-267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성격적인 측면인 완벽주의와 정서적인 측면인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를 규명하여, 완벽주의와 시험에 따른 압박감과 불안으로 부적응을 겪고 있는 아동의 병리적 특성을 밝혀 이들에 대한 개입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4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아동·청소년 완벽주의 척도, 일반적인 상황의 자기효능감 검사, 학업적인 상황의 자기효능감 검사, 초등학생용 시험불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아동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 회귀분석 결과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쳐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시험불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 결과 아동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가 유의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아동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시험불안을 유발할 때 일반적 상황이든 학업적 상황이든 개인 내적인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시험 불안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of children. The subject were 421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socially-scribed perfectionism in children was affected more the test anxiety, whereas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ffected the test anxiety less. Seco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scribed perfectionism in childr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st anxiety. Third,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co test anxiety, and as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increased the test anxiety was decreased, furthermor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s 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test anxiety. Consequently chis study shows that wh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is found to cause test anxiety in both general and academic cases, a level of self-efficacy in the children's psychological make-up can decrease test anxiety.

분노유발사건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의 매개효과
김택성(국산초등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pp.269-287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분노유발사건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인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분노표출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인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을 알아보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분노표출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초등학생 4~6학년에게 분노유발사건, 특성분노, 비합리적 신념, 자아존중감, 분노표출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4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한 결과, 분노표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특성분노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분노유발사건과 비합리적 신념 및 자아존중감의 순서였으며 전체 설명력은 55.7%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분노유발사건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인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몇 가지 모형을 가정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노유발사건을 접할 때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이 매개작용하여 직접적으로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특성분노가 인지적 평가자원에 직접 영향을 주어서 간접적으로 분노표출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된 부분매개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이 분노유발사건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해석이나 비합리적 신념 때문에 반응하고 아동 자신의 특성분노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달리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ger and irrational belief and self-esteem as cognitive appraisal resour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inducing events and anger-out.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variable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es co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anger-out were selected to be performed of stepwise regression, and, from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several models were established to be verified for explaining anger-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0 fourth- to sixth-graders who were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ungsangnam Do, and they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anger-inducing events, trait anger, irrational belief, self-esteem, and anger-out. Among the subjects, 442 were analyzed as the data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including anger-inducing events, trait anger, irrational belief and self-esteem on anger-out, trait anger showed 50.0% in the explanatory power, followed by anger-inducing events (4%), irrational belief (2%), and self-esteem (1%). The whole explanatory power of the four variables was 55.7%.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several models were produced and performed of comparing t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ducing events and anger-out when trait anger and irrational belief and self-esteem as cognitive appraisal resources were established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rait anger and cognitive appraisal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ducing events and anger-out were mediated to lead co anger-out. At the same time, a partial mediation model was reveled to be most appropriate in which the trait anger was assumed to directly affect cognitive appraisal resources to lead to anger-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ren respond to not anger-inducing events but the interpretation of such events or irrational belief and they may respon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ersonal trait anger or the level of self-esteem.

대학생의 자존감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승인 욕구의 중재효과
김민정(연세대학교) ; 이동귀(연세대학교) pp.289-304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89
초록보기
초록

자존감과 우울, 불안 및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ogers의 조건화된 자기 가치감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련성에 대한 개념화를 토대로 승인(承認) 욕구가 자존감과 우울, 불안,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중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147명(여자 9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해서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이 낮은 개인은 승인 욕구가 클수록 삶에 대해 덜 만족하고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낮은 자존감과 외부의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과도한 집중이 심리적 부적응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불안에 대해서는 승인 욕구의 중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우울과 불안의 상이한 특성을 반영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Carl Rogers' conceptualization about conditioned self-wort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approv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dices(depression, anxiety, &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147 (97 women)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completed the research packet. Thre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r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anxiety. Participants low on self-esteem experienced more 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 life satisfaction), but not for anxiety. Participants low on self-esteem experienced more depression and less life satisfaction when they exhibited a high level of need for approval. The non-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anxiety may reflect a potential,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수학교과에서의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을 구별하는 요인연구
남숙경(고려대학교) ; 이상민(고려대학교) pp.305-323 https://doi.org/10.16983/kjsp.2008.5.3.305
초등학생의 부적 정서와 또래관계문제에서 인지변인의 매개효과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325-350 https://doi.org/10.16983/kjsp.2008.5.3.325
곤란학급의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영향력 자원과 학교스트레스 지각 간의 관계 -학년별, 성별 비교검토-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351-370 https://doi.org/10.16983/kjsp.2008.5.3.251
초, 중, 고, 대학생 간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서의 차이
정태연(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박준성(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박은미(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371-388 https://doi.org/10.16983/kjsp.2008.5.3.3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대학생의 다양한 학년 및 학교에 따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통합교육을 하지 않는 일반학교의 초(N=96)·중(N=101)·고(N=63)·대학생(N=119)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학년 및 학교가 높아질수록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더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장애인 접촉이나 장애관련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경우, 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좀 더 긍정적이었다. 연구 2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과 장애관련교육 등이 서로 상이한 특성을 지닌 세 대학의 학년과 학교의 차이에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장애인과의 밀접한 접촉과 장애관련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한 학교의 고학년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보다 장애인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접촉과 교육의 개별적 효과는 연구 1의 결과와 유사했지만, 이 둘의 통합효과는 매우 커서, 5회 이상의 접촉과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인식은 이 둘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co see the perceptions of disabled persons by students at different school stages. Study 1 investigated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s held by primary school(N=96), middle school(N=101), high school(N=63), and college students(N=119). Results indicated chat generally students at high school stages were more negative to the disabled. The more contact with and education about disabled persons students experienced, the more positive they were to the disabled. In study 2 students from three colleges(N=119, 119, 109, each), which were different in school systems for disabled persons, were compared in their perception of disabled persons. Results indicated chat the most positive were those students from the college with departments and courses relevant to the disabled. Whereas the results about the effects of contact and education were quite similar to those from Study 1, the combined effects of those two variables were remarkable, so that students with experiences more than five times in the number of contact with and education of disable persons were the most positive to the disabled. Tho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cial implications.

부모-자녀가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 일치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이영경(고려대학교) ; 장훈(고려대학교) ; 최진이(고려대학교) ; 허태균(고려대학교) pp.389-404 https://doi.org/10.16983/kjsp.2008.5.3.389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