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에 관한 단기 종단적 탐색
이귀숙(계명대학교 교육학과) ; 정현희(계명대학교 교육학과) pp.97-118 https://doi.org/10.16983/kjsp.2008.5.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의 단기 종단적인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 1학년 아동 481명(남아 234명, 여아 247명)과 아동의 어머니 481명 및 담임교사 56명(남 2명, 여 34명)을 대상으로 1학년 시기(1차시기)와 2학년 시기(2차시기)의 두 차례에 걸쳐 아동의 문제행동, 모의 양육태도, 교우관계 및 교사-아동관계, 그리고 아동의 유능감을 측정하였다.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의 탐색은 모의 양육태도를 예언변수로, 교우관계와 교사-아동 관계, 아동의 유능감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문제행동을 결과변수로 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하여 검증과 수정을 거쳐 최종적인 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의 주요한 경로는 모의 양육태도가 학령초기 동안 직접적으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유능감이나 교우관계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둘째, 교우관계는 학령초기 동안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었다. 셋째, 교사-아동의 관계는 학령초기 동안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유능감은 1차시기에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2차시기에는 교우관계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령초기 동안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방안을 계획함에 있어 모의 양육태도, 교우관계, 교사-아동관계, 그리고 아동의 유능감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processes of problem behaviors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A total of 481 first grade children(234 boys and 247 girls), their mother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a two-wave longitudinal study. The instruments employed for the Study wert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ositive-Negative Nomination,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and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 procCS5CS of problem behavior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hange processes of problem behaviors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had two paths composed of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classroom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rceived competence. Classroom peer relationship and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ors betwee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problem behaviors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classroom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rceived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problem behaviors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유상미(고려대학교) ; 이승연(고려대학교) pp.119-136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19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유학 초기 심리적 적응의 차이
송원영(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 리난(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pp.159-173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한국 내 중국인 한족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유학 초기의 심리적 적응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의 4년제 대학에 유학중인 학생 중 입국한지 1개월 미만의 대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Berry(1989)의 모형에 따라 문화적응 유형(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을 구분하였고, 이들의 우울(BDI), 불안(STAI), 외로움(UCLA 우울척도), 자존감(Rosenberg 자존감척도)및 행복감(MUNSH)이 그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동화 유형의 외로움과 불안이 낮았고, 행복감이 높아서 이들의 적응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주변화 유형은 전반적으로 가장 부적응적인 모습을 보였다. 동화 유형의 심리적 적응상태가 좋았다는 결과는 통합유형이 가장 적응적이라는 이전의 가설과는 차이가 있었고, 그 원인의 하나로 유학의 매우 초기(1개월 미만)의 특성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주변화 전략을 택하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기타 결과의 의미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하였고 종단적 연구 등 후속연구의 필요성 및 가능한 주제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 studying in Korea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strategy. To this aim, 116 Chinese student who come to Korea in last 1 month completed scales 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ategy(acculturation, assimilation, isolation, marginalization), depression, anxiety, loneliness, and happ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similation type showed low loneliness, anxiety, and high happiness. However, marginalization type showed most maladaptive aspect. It suggests that assimilation strategy is most useful to foreign student's adaptation in early sta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분석
이수진(국민대학교 교육학과) pp.175-192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75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교사용(KPRC-TRF)의 단축형 구성
이희경(가톨릭대학교) pp.193-211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93
낙관성과 상황의 통제 가능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통제력 지각과 대처방략
의희경(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193-211 https://doi.org/10.16983/kjsp.2008.5.2.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고등학교 2학년생 242명(남 123, 여 119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수준과 상황의 통제 가능성 여부가 통제력 지각 및 다양한 대처방략(문제 접근 대처, 회피 대처 및 긍정적 재구성)의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2(낙관성 수준 상·하) x 2(통제 가능성 유·무)다변량 분산분석(MANOVA)결과 낙관성의 주 효과와 통제 가능성 조건의 주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낙관성 수준과 통제 가능성 조건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낙관성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통제력 지각 점수, 문제 접근 대처 및 긍정적 재구성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회피 대처 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통제 가능 조건에서 통제 불가능 조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통제력 지각, 문제 접근 대처 및 긍정적 재구성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하게 낮은 회피 대처 점수를 보였다.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undertaken with a 242 2nd-grade high school students(123 men and 119 women), examined the effect of optimism levels(high vs. low) and controllability of the situation on their perceived control and three types of coping strategies(problem approach coping, avoidance coping, and positive reframing). A 2x2 MANOVA results revealed two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optimism and controllability but their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students in the high optimism group, compared to the low optimism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score on perceived control, problem approach coping and positive reframing, but not on avoidance coping. In addition, students in the controllable situation, compared to the uncontrollable situation,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 score on perceived control, problem approach coping, and positive reframing, and a significantly low score on avoidance coping.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