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on Problem of School Violence-Students Who have been both victims and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on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on problems for students with bo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in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0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by ten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program once in a week and total 8 week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measure anything at all.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on problem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ar more improved than that of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on problems for students with bo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in school. This study was the first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therapy and students who have been both victims and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and have great significance for the application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keywords
school violence, self-esteem, coping behavior on problem,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학교폭력 중복경험자, 자아존중감, 문제대처행동,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

Reference

1.

곽금주 (1999). 학교폭력의 학술적 사회적 대안/학교폭력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모색: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외국사례. 대외심포지움, 55-72.

2.

김명아 (2002). 현실요법이 비행청소년의 통제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1(2), 172-181.

3.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 (2008).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6, 31-59.

4.

김정숙 (2000).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내적 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9(2), 209-219.

5.

김준호, 박정선, 김은경 (1997).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김현자 (2003). 현실요법(YQMT) 집단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도기봉 (2008).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성과 생태체계요인의 상호작용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0(2), 73-92.

8.

도기봉 (2006). 학교폭력 경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2(2), 127-147.

9.

도기봉 (2007).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도기봉, 오현숙, 박명호 (2006). 현실요법 집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복지행정논총, 16(2), 101-120.

11.

박경 (2005).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자살사고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31-147.

12.

박현숙 (2008).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자살․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4), 513-521.

13.

서울대학교 발달심리연구실 (2006). 시우보우프로그램. http://down.edunet4u.net/KEDTLC/school/elem/index.htm.

14.

서초구립 반포종합사회복지관․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07).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 나눔의집.

15.

송정아, 김영희 (2001).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심리적․행동적 학교적응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3(1), 79-94.

16.

신성자 (2005). 학교폭력 가해, 피해 그리고 대응관련요인. 사회과학, 17, 111-142.

17.

신혜섭 (2005). 중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가해경험, 피해경험, 가해, 피해 중복경험에 대한 분석. 청소년학연구, 12(4), 123-149.

18.

신희경 (2006). 가해 청소년, 피해 청소년, 가해/피해 청소년 집단유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17(1), 297-323.

19.

아영아․정원철 (2007). 부모위험요인이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이르는 발달경로. 청소년학연구, 14(3), 29-52.

20.

양정호 (2004). 중학생의 왕따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제1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발표자료집, 16-46.

21.

오주․아영아 (2006). 중학교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개발연구, 12(1), 79-100.

22.

이태인 (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의 효과: 학교사회사업 도입을 위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규미, 김대식, 김영혜 (2003). 심각한 폭력(살인) 가해 학생에 대한 사례 분석; 폭력 유발요인과 예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367-382.

24.

이무영, 강기정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25.

이문자 (2003).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아동복지학, 19, 141-170.

27.

이진숙, 한영숙 (2006).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아동에 미치는 효과: 학교폭력 피해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9(2), 21-31.

28.

장금순 (2005). 민속놀이를 활용한 초등학생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정은실, 박애선 (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리더쉽 기술에 미치는 영향-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07-927.

30.

조유진 (2006). 집단괴롭힘 목격과 피해경험의 가해화 경로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02). 내가바로지킴이. 청소년폭력예방재단.

32.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3.

허승희, 최태진 (2008).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Ⅰ): 가해 성행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교육연구, 21(3), 175-197.

34.

Akiva, M., LeTendre, G. K., Baker, D. P., Goesling, B. (2002). Student victimization: National and school system effects on school violence in 37 nat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9(4), 829-853.

35.

Astor, R. A., & Meyer, H. A. (2001). The conceptualization of violence-prone school subcontexts: Is the sum of the parts greater than whole? Urban Education, 36, 374-399.

36.

Ellickson, P., Saner, H., & McGuigan, K. A. (1997). Profiles of violent youth: Substance use and other concurrent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6), 985-991.

37.

Esposito, C. L., & Clum, G. A. (2002).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as a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uicidality: applications to a delinquent populat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5(2), 137-146.

38.

Furlong, M. J. (2000). The School in School-related violence: Definitions and fact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ummer. Retrieved May 15, 2001 from Findarticles.com database on the World Wide Web site: http://www.findarticles.com.

39.

Glasser, W. (1985). Control theory. New York: Harper & Row.

40.

Glasser, W. (1990). The quality school: Managing students without coercion. New York: Harper & Row.

41.

Litz, B. T., Blake, D. D., Gerardi, R. J., & Keane, T. M. (1990). Decision making guidelines for the use of direct therapeutic exposure in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r Therapy, 13, 91-99.

42.

McCubbin, H. I. & Thompson, A. I.(eds.) (1991).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43.

Maschi, T. (2006). “Unraveling the link between trauma and male delinquency”, "the cumulative versus differential risk perspectives". Social Work, 51(1), 55-70.

44.

Rosario. A. D. (1971). The Interaction of Counseling Strategy and Locus of Control.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5.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46.

Tremblay, R. E. (2000).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during childhood: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129-141.

47.

White, H. R., Loeber, R., Stouthamer-Loeber, M., & Farrington, D. P. (1999). Developmental associations between substance use and violence.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y, 11, 785-803.

48.

Williamson, R. (1992). Using group Reality therapy to raise self-esteem in adolescent girls. Journal of Reality Therapy, 11(2), 3-11.

49.

Wubbolding, R. E. (1988). Using Reality Therapy. New York: Harper & Row.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