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토착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 초기 대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는 행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와 FGI를 통해 설문문항 102개를 추출하였다. 예비검사로 565명 남녀 대학생의 설문조사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전공만족, 외모지향, 사회성, 가족관계, 성취지향, 이성친구의 6요인에 대한 23문항을 구성하였다. 378명 남녀 대학생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여 행복 척도에 대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의 행복 요인구조는 6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의 요인계수도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대해 요약하고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6개 요인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후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Happiness Scale for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previously developed empirical evidence and FGI, 102 preliminary items are yield. The data of 565 students were used for conducting an exploring factor analysis. In result, the 23 items scale consist of six-factor of a Happiness subscale(4 items of majority satisfaction, orientation for appearance, sociability, family relationship, orientation for Achievement and 3 items of opposite-sex relationship). For the final scale, 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the data of 378 students. A result revealed that the six- factor structure of a Happiness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happy structur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reasonably high ranging from .86 to .68.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교상담(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자문, 의뢰 등)을 경험한 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론을 사용하여 학생 내담자의 입장에서 지각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내담자가 학교상담의 어떤 부분을 도움요소나 불만족요소로 인식하는지 그들의 추측을 탐색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경험을 입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네 개의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에게 자발적으로 5회 이상 학교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은 중학생 내담자(남자: 9명, 여자: 12명)를 대상으로 학교상담 서비스의 도움요소, 불만족요소 질문지를 활용 하여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울·경기 소재에 있는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재직한 경력이 2년 이상인 학교상담가(남자: 1명, 여자: 9명)를 대상으로 개인면접 및 전화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 내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전문적 지원’, ‘정서적 지지(미시적)’, ‘상담실 활성화로 인한 정서적 안정’, ‘학교상담프로그램(집단상담, 또래상담)의 수혜’의 군집으로 나눠졌으며, 불만족 요소는 ‘상담실 이용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 ‘비밀보장의 한계와 비자발성’, ‘상담실의 물리적 문제 및 비활성화’의 군집으로 나눠졌다. 다음으로 전문상담교사가 학생내담자의 입장에서 추측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정서적 지지(거시적)’, ‘학교상담실의 활성화’, ‘정보 제공 및 문제해결 개입’, ‘다양한 외부적 자원 활용’의 군집으로 이루어졌고, 불만족요소는 ‘학교상담 성과의 한계’, ‘학교상담실 위치 및 환경 문제’, ‘비밀보장의 한계’, ‘학교상담 운영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상담 서비스의 연구와 실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in school counseling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 and compared these with the school counselor's conjectures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total of 21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10 school counselors were interviewed on the helpful and dissatisfied aspects of ongoing school counseling service (5-15 session). The key sentences from the interviews were extracted, sorted and rated by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experienc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were explored,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plores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of school counseling through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point of view. The helpful aspect will enhance the impact of school counseling by strengthening the level of services to be provided, and the dissatisfied aspect analysis will highlight the area of reforms and improvements in order to establish a strong base on school counseling. In addition, the suggestions on methods to practice the result of school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과 특별보충과정을 함께 실시하여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습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학습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특별보충과정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보충학습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정한 것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직전 학기말 성적이 하위 20%에 해당하며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점수의 평균이 60점 이하인 학생들 중 20명을 선발하여 10명은 실험집단으로,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고,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매주 2회 60분씩 총 11회기를 실시하였고, 특별보충과정은 매주 2시간씩 20차시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 학습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각각 실시 한 후 SPSS 15.0을 사용하여 ANCOVA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과 특별보충과정이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습습관 형성에 효과가 있었다. 주의집중행동, 학습기술적용 행동, 자율학습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과 특별보충과정이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습자아개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습부진 중학생을 위한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과 특별보충과정은 학습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underachievers'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the Study Skill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is reconstructed to fit for level of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are two specific classes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H middles school of Incheon city. This students consisted lower 20% group in term test, especially below 60 points in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ach class where contains 10 students were identified as a sample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able group. Belonged to experimental group, eleven 60 minutes sessions of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were performed twice a week whereas session were not provide for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ANCOVA of SPSS 15.0. As a result, in term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essions, the level of study hab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ho was not provided for sessions. The result imply that both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are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underachievers' study hab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본 연구의 목표는 읽기부진아동을 대상으로 이미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읽기 전략들을 게임 활동으로 변환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초등학교와 공부방에서 교사에 의해 추천된 12명의 읽기부진아동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주의집중력과 읽기이해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2에서는 공부방에서 표집된 12명의 읽기부진아동을 지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주의, 계획, 동시기억 인지능력과 읽기이해력에서 두 집단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1과 2의 결과를 종합하면 읽기게임 프로그램은 아동의 기초 인지력 특히 주의집중력을 향상시켰으며 읽기 과제에서의 수행을 향상시켰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rogram in which various evidence based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are applied to game activities for the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study 1, twelve children selected from elementary classrooms and an after school study group, who have decoding skills bu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exts participated as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In study 2, twelve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selected from an after school study group and assigned to two groups: a high IQ and a low IQ group, participated in the game reading program.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transformed into game acitivities are: repetition, reading with pause, making image, predicting the next story, question making, story mapping, analysis of grammatical constituents, and understanding theme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1 and study 2, the game reading program increased the children's attention span and reading capabilities.
본 연구는 아동기 우울과 관련된 인지적 취약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아동용 역기능적 태도척도(Dysfun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 DAS-C)를 우리말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763명(남 398명, 여 365명)이었다. 한국판 DAS-C 척도의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자기-비판적 완벽주의(Self-Critical Perfectionism)와 개인 기준적 완벽주의(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의 2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판 DAS-C의 전체척도와 하위척도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관련 척도들과 양호한 상관을 보였으며, 문항들 간의 내적합치도도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나,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국판 DAS-C의 전체척도와 하위척도가 성별 및 학년, 우울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년별로는 자기-비판적 완벽주의 하위척도에서 6학년이 4학년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한국판 DAS-C는 전체척도와 하위척도 모두에서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비판적 완벽주의에서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DAS-C),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cognitive vulnerability of depression in childhood.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63 children in the 4th, 5th, and 6th grade at 2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DAS-C is consisted of 2 factors: Self-Critical Perfectionism(SCP)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PSP).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Korean DAS-C and its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a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orean DAS-C was found to be adequate,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79) indicated temporal stability of the scale. The current study explored whether the Korean DAS-C scores differed depending on children's gender, grade, and depression level. Results showed that 6th graders received a higher score on SCP than 4th graders. In addition, children in the depressed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all DAS-C subscales, especially on the SCP, compared to those in the nondepressed group.
본 연구는 자아상태 검사와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검사 간의 상관연구를 통하여 자아상태 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려고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873명을 대상으로 자아상태 검사와 LCSI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와 여자 간에 그리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5개의 자아상태 하위요인 모두에서 평균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문계와 전문계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를 제외한 여자, 중학교, 고등학교, 인문계, 전문계 집단에서는 NP(Nurturing Parent)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FC(Free Child)가 높으며, 그 다음으로 A(Adult), AC(Adapted Child), CP(Critical Parent)순으로 평균이 M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P의 경우 도전성과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교성 및 신중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용성과 안정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FC와 NP가 동시에 높은 M형으로 감정이 풍부하고 감각적으로 사물을 판단하지만 논리적인 전개가 부족한 다정다감한 형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자아상태 검사와 LCSI 성격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자아상태 검사가 타당한 검사인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Ego State Scale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go State Scale and 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LCSI) Personality Tes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1,073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of ego state which consists of CP, NP, A, FC, and AC showed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s well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ttending general and technical high school. Girl students showed high average in NP and FC in comparison with A, AC and CP, which appear 'M' in ego gram. Second, CP showed high positive co CP showed h with challenge, no CP showed h with sociability and prudence, and negative co CP shoed h with acceptability and stabil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most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catagorized into M type with high FC and NP. Therefore, they are thought to be emotional, sensible, and warm-harted but insufficient of logical thinking.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Ego State Scale and LCSI Personality Test indicates high validity of Ego State Scale.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ossible follow-up projects a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유형에 따른 전두엽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인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하노이타워 검사, 그리고 스트룹 검사를 청소년 비행의 두 하위 유형인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과 제한형 비행청소년, 그리고 일반청소년 집단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는 일반청소년,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 제한형 비행청소년 간 인지적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하노이타워 검사를 이용한 계획 및 조직화 수행에서는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 간은 차이가 있었으나 비행집단 간에는 첫 번째 수행에서의 계획시간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트룹 검사에서는 일반청소년,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 제한형 비행청소년 간 억제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청소년의 실행기능 결함에 대한 가설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행청소년의 하위 집단 간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의 전두엽의 결함 혹은 발달상의 미숙함을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신경심리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생지속형 비행청소년만이 신경학적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비행 원인을 추론해 봄으로써 비행청소년의 효과적인 선도 및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differences in frontal lobe executive function of delinquency juveniles. In order to find out fundamental factors of the delinquency, this study divided the group into Adolescence- 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with the use of delinquent classification scale. Then, this study was executed by three mai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s(Wisconsin Card Sorting Test, Tower of Hanoi, go-no-go and the like)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executive function between sub-domain groups. The participants are normal juvenile group(n=28), Adolescence-Limited Delinquency juveniles(n=23),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n=27).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in the course of using WCST(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normal juveniles and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delinquent juveniles on the Tower of Hanoi Test which is assessed the planning and organizing ability, but no out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he sub-domain delinquent groups at the first operation except the concept of the planning time. Third, through the Stroop Task, the study was also able to focus on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hibition between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by indica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defect of the executive function of the delinquent juveniles and shedding light on the differences between sub-group of them, it is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re was defect or developmental immaturity on the frontal lobe of the delinquent juvenile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is proved that there was neurological defect only in Life-Course-Persistent Delinquency juveniles with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cales. Moreover, the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proper guidance and education can be put into effect by reasoning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괴롭힘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괴롭힘에 대한 아동의 반응 척도(the children's reactions scale to bullying, CRSB)는 직접적 또는 관계적 괴롭힘 상황을 묘사하는 16개의 그림과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에게 또래 괴롭힘 상황을 목격한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질문한 후, 4개의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각 보기에 대한 아동의 반응 빈도를 합산하여 4개의 하위척도, 즉 가해아동에 대한 보복, 괴롭힘에 대한 동조, 방관 또는 피해아동에 대한 도움 행동 점수가 산출된다. CRSB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26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CRSB를 비롯한 몇 가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CRSB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양호하였고(Cronbach's alpha = .71~.86), 동조행동과 가해경험(r=.36, p<.01), 방관행동과 친사회적 행동(r=-.30, p<.01) 및 도움행동과 친사회적 행동(r=.34, p<.01), 그리고 가해경험(r=-.27, p<.01) 간에 상관이 유의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 즉 방관, 보복 및 동조행동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들은 각각 변량의 36.5%, 24.30% 및 21.07%를 설명하였다. 사회경험질문지에 기초하여 아동을 가해, 피해, 가ㆍ피해 및 일반 아동으로 분류했을 때 가해아동은 다른 아동에 비해 도움행동을 더 적게, 그리고 동조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measuring children's reactions to peer bullying. The children's reactions scale to bullying(CRSB) consisted of 16 pictures and episodes, each of which described direct or relational bullying situations. Children were asked what they would do if they witnessed peer bullying situations and forced to choose one of four response options for each episode. Four subscale scores were computed by summing the number of each response, retaliating on perpetrators, advocating bullies, watching bullying and doing noting(bystanding), or helping victims. The CRSB and a serie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66 grade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stablish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4 subscal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ies(Cronbach's alpha = .71~.86).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construct validit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dvocating behavior and bullying experience(r=.36, p<.01), bystanding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r=-.30, p<.01), and helping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r=.34, p<.01), and bullying experience(r=-.27, p<.01). A three-factor solution emerged, consisting of a bystanding/helping, retaliating, and advocating behavior factor.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6.5%(bystanding), 24.30%(retaliating), and 21.07%(advocating) of the variance on the CRSB, respectively. When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bullies’, ‘bully/victims’, ‘pure victims’ or ‘not involved’ on the basis of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 bullies were less likely to help the victims and more likely to advocate the perpetrators than other childre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에게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학업성취와 자율성 발달에 관한 영향 요인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을 매개변인으로 가정하여 이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요인들을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3개 중학교에 다니는 109명의 남녀 중학생(남=55, 여=54)과 그들의 어머니(n=109)가 기질 및 성격검사 성인용 및 청소년용, 부모의 사회적 지원 설문지,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관한 설문지, 학생의 평균성적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로서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은 어머니와 자녀 개인 관련, 그리고 가족의 인구통계학적 차원에서 조사된 총 10개의 변인 중 오직 가족 경제에 의해서만 유의하게 설명될 수 있었다.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중에서는 특히 정보적 지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자율성 발달에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통해서 가족 경제는 어머니의 정보적 지원을 매개로 하여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율성 발달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학생의 자극추구 기질은 어머니의 정보적 지원에 의해 조절되는 효과 없이 자신의 학업성취와 자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것은 어머니의 정보적 지원은 자녀의 행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결과들이 학업성취를 높이고 자율성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방법과 관련되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factors on school achievement and self-directed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ath model. In particular, it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the mother’s social support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the temperament of adolescents and their school achievement and self-directedness development. We tried to seek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support provided by mother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a total of 116 middle school students (male=57, female=59) and their mothers were assessed through the TCI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he Junior-TCI, Questionnaire on Parental Social Support, and a questionnaire about school records. As a result, we determined that the mother’s social support was influenced only by the financial status among a total of 20 variables concerning the mothers’ and children’s personal and demographic information. Under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s’ social support, the informational support was especial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school achievement and self-directedness. In the analysis of the path model, the family’s financial status had a significant yet in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school achievement and a simultaneous indirect, negative effect on their self-directedness through the mother’s informational support mediator.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a mother’s social support between the adolescent’s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their school achievement or self-directedness. This outcome wa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mothers’ social support, for the researched group, is not affected through the children’s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