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The Effects of Study Skill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Underachievers' study hab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underachievers'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the Study Skill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is reconstructed to fit for level of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are two specific classes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H middles school of Incheon city. This students consisted lower 20% group in term test, especially below 60 points in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ach class where contains 10 students were identified as a sample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able group. Belonged to experimental group, eleven 60 minutes sessions of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were performed twice a week whereas session were not provide for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ANCOVA of SPSS 15.0. As a result, in term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sessions, the level of study hab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ho was not provided for sessions. The result imply that both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and special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are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underachievers' study hab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eywords
학습부진아, 학습기술, 특별보충과정, 학습습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Underachiever, Study Skill, Study Habi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ference

1.

강명숙, 이현림 (2007).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의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26(2), 1-18.

2.

강영옥 (2007). 학습부진아동의 학습기술 향상을 위한 독서요법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태용 (2002). 학습기술 훈련이 고등학생의 학습습관,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강혜숙 (2007). 수업참여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습습관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교육과학기술부 (1999).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건설을 위한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부 (199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7.

권응환 (2004).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습습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남옥 (1992). 학습부진아에 대한 진단적-처방적 학습기술 훈련의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동민 (2003).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 구성 및 운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0.

김동일 (2002). 학습부진아 개입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두뇌한국 21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11.

김동일 (2005). 학업상담을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12.

김명생 (2007).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미화 (2003). 학습부진아의 자기 개념 및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애숙 (2004). 수학과 특별보충과정 지도 및 평가에 관한 개선 방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주 (1998). 초등학생의 학업수준에 따른 학습기술간의 차이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준영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대구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진숙 (2005). 중학교 3학년 학교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행자 (2005). 중학교 영어과 특별보충과정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현숙 (2006).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학습기술 차이 분석.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김형립 (1984). 학습부진아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김혜영 (2004). 학습부진아를 위한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나경숙 (2008). 학습전략과 학습관련 정의적 특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민은주 (2004). 자기관리지도가 학습부진 아동의 학습기술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경숙, 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 검사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박인주 (2005). 학습기술훈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 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인주, 박남수 (2006). 학습기술훈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2), 89-106.

27.

박한숙 (2000).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태도,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박한숙 (2009).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3), 159-183.

29.

박한숙, 설양환 (2009).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22(2), 163-184.

30.

박현화 (2006).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 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변영계 (1993). 중·고교 학생들의 학습기술훈련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1(3), 21-36.

32.

변영계, 김석우, 박한숙 (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도구와 훈련프로그램 개발연구. 교육평가과정. 한국교육평가학회, 14(1), 103-125.

33.

변영계, 박한숙 (2004).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생용. 서울: 학지사

34.

부경란 (2008). 중학생 학급단위 학업발달 향상 프로그램이 학습습관 및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서병완 (1983). 학습부진아의 유형분석과 상담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서병완 (1988). 학습습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및 학습활동지도 프로그램. 교육논총, 4(1), 45-70.

37.

심기만 (2004). 제 7차 교육과정의 특별보충과정 운영실태-강원도 소규모 중학교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심상미 (2002). 중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원효헌·김명생 (2009).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해양수산교육연구, 26(2), 151-160.

40.

우옥연 (2004). 학습기술 향상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습기술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윤미선 (2003). 사고 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 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윤순희 (2007). 학습기술 훈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윤옥기 (1980). 학습지진학생의 기억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양재훈 (2003).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상미 (2003).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이신동 (2001). 상보적 교수활동이 학습부진아의 독해전략과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확용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5(3), 164-171.

47.

이순우 (2002). 학업성취관련 학습기술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이진명, 이상민, 남숙경 (2008). 수학교과에서의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을 구별하는 요인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3), 305-323.

49.

이하선 (2007). 자기관리기술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습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장인실, 이성구 (2009). 자기조절학습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4), 327-349.

51.

최은순 (2007).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최은정 (2006). 초등학교에서의 수학 학습부진아를 위한 특별보충과정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5.

한은미 (2003). 영어학습부진아의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안: 특별보충반 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ev. ed.). NY: Academic Press.

57.

Fralick, K. G. (1990). Study skills: A junior high/middle school integrate curriculum study. Bosto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