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중학생 내담자와 전문상담교사의 인식비교

Concept Map of Helpful and Dissatisfied Aspect in School Counseling-The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perception and school counselor conjectures-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교상담(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자문, 의뢰 등)을 경험한 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론을 사용하여 학생 내담자의 입장에서 지각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내담자가 학교상담의 어떤 부분을 도움요소나 불만족요소로 인식하는지 그들의 추측을 탐색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경험을 입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네 개의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에게 자발적으로 5회 이상 학교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은 중학생 내담자(남자: 9명, 여자: 12명)를 대상으로 학교상담 서비스의 도움요소, 불만족요소 질문지를 활용 하여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울·경기 소재에 있는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재직한 경력이 2년 이상인 학교상담가(남자: 1명, 여자: 9명)를 대상으로 개인면접 및 전화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 내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전문적 지원’, ‘정서적 지지(미시적)’, ‘상담실 활성화로 인한 정서적 안정’, ‘학교상담프로그램(집단상담, 또래상담)의 수혜’의 군집으로 나눠졌으며, 불만족 요소는 ‘상담실 이용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 ‘비밀보장의 한계와 비자발성’, ‘상담실의 물리적 문제 및 비활성화’의 군집으로 나눠졌다. 다음으로 전문상담교사가 학생내담자의 입장에서 추측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정서적 지지(거시적)’, ‘학교상담실의 활성화’, ‘정보 제공 및 문제해결 개입’, ‘다양한 외부적 자원 활용’의 군집으로 이루어졌고, 불만족요소는 ‘학교상담 성과의 한계’, ‘학교상담실 위치 및 환경 문제’, ‘비밀보장의 한계’, ‘학교상담 운영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상담 서비스의 연구와 실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keywords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ors, helpful and aspects in school counseling, dissatisfied aspects in school counseling, 학교상담, 전문상담교사, 중학생 내담자, 학교상담의 도움요소, 학교상담의 불만족요소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in school counseling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 and compared these with the school counselor's conjectures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total of 21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10 school counselors were interviewed on the helpful and dissatisfied aspects of ongoing school counseling service (5-15 session). The key sentences from the interviews were extracted, sorted and rated by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experienc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were explored,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plores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of school counseling through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point of view. The helpful aspect will enhance the impact of school counseling by strengthening the level of services to be provided, and the dissatisfied aspect analysis will highlight the area of reforms and improvements in order to establish a strong base on school counseling. In addition, the suggestions on methods to practice the result of school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keywords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ors, helpful and aspects in school counseling, dissatisfied aspects in school counseling, 학교상담, 전문상담교사, 중학생 내담자, 학교상담의 도움요소, 학교상담의 불만족요소

참고문헌

1.

구광현, 이정윤, 이재규, 이병임, 은혁기 (2005). 학교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

금명자 (2002). 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 및 문화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29-546

3.

김신애 (2009). 전문상담교사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 곤란도 분석.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5.

박정희 (2008).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역사적 발달과정. 한국상담학회 추계 특별 심포지움: 기조강연 II 원고.

6.

심미향 (2004). 학교 인성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대한 고찰. 연세대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연문희, 강진령 (2002). 학교상담: 21세기의 학생생활지도. 양서원.

8.

이규미, 권해수, 김희대 (2008). 전문상담교사의 초기 정착 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819-837.

9.

이규미 (2009). 학교상담의 중요성과 활성화방안. 학교상담 법제화를 위한 토론회 2009.8.27 발제 I 원고.

10.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11.

정찬석 (2005).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의 도움 측면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2.

진해영 (2007). 중등학교 학생들의 상담인식에 기초한 학교상담 활성화 방안: 전문상담교사 양성과 관련하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삼성중공업 (2008). 2007 학교 폭력 실태 조사 보고서, 서울: 청소년폭력예방재단.

14.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단의 비교. 상담학 연구, 8(3), 1031-1045

15.

한국교육개발원 (2007). 2008 교육통계연보.

16.

한재갑 (2009). 학교상담 법제화에 관한 토론, 학교상담 법제화를 위한 토론회, 2009.8.27 패널토론 V.원고.

17.

홍현경 (2009). 직무스트레스와 그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전문상담교사를 중심으로, 숭실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Caskey, N. H., Barker, C., & Elliott, R. (1984). Dual perspectives: clients' and therapists' perceptions of therapist respons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281-290.

19.

Claire L. Fox, Ian Butler (2007) 'If you don't want to tell anyone else you can tell her': young people's views on school counsel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35(1), 97-115.

20.

Conyne, R. K. (2004). Preventive Counseling: Helping people to become empowered in systems and settings. New York: Brunner-Routledge.

21.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12-28, Pittsburg,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22.

Gol, A.R, & Cook, S.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e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155-171

23.

Heppner, P.P., Rogenberg, J. I., & Hedgespeth, J. (1992). Three methods in measuring the therapeutic process: clients' and counselors' constructions of the therapeutic process versus actual therapeutic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20-31.

24.

Kane, WMK Trochim (2006).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25.

Llewelyn, S.P. (1988) Psychological therapy as viewed by clients and therapist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 223-237

26.

MA Kunkel, S. Newsom. (1996). Presenting Problems for Mental Health Services: A Concept Map,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18(1), 53-63.

27.

Martin, J. (1992). Cognitive-mediational research on counseling & Psychotherapy. In S. G. Toukmanian & D.L. Rennie(Eds.), Psychotherapy process research: paradigmatic and narrative approaches, 108-133, C.A.: Sage.

28.

Martin, J., & Stelmaczonek, K. (1988). Participants' identification and recall of important event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385-390.

29.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317-324.

30.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86-93.

31.

Rogers, C. R. (194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32.

Stefl, M. E., & Prosperi, D. C. (1985).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1(3), 167-178.

33.

Surf, A.L. & Lynch, G. (1999). Exploring young people's perceptions relevant to counselling a qualitative study,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27(2), 231-243.

34.

Trochim, W.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