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A Study of Concept Mapping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Service Training Need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service training need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and thus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in-service training system reflecting these career stages. The study employed a concept map, which is useful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ubjects in depth and comparing small groups. The subjects are 22 in number, 11 of whom wer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the other 11 of whom were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As a result, there were 90 and 62 core sentences reflecting in-service training needs among those who were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in the career growth stage, respectively. As for concept maps of in-service training needs according to career stage, the map for the career formation stage consisted of three clusters of “administration and consultation”,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in two dimensions of “man versus organization” and “formal versus informal”. The concept map for the career growth stage was comprised of four clusters of “counseling and program”, “examining the latest trends and becoming an expert in a certain area”,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and “consultation, research, and self-management” in two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versus practicality” and “counselor versus client”. Based on those findings, the investigator compare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with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in terms of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importance, and analyzed whether to reflect the results on actual in-service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led to an explora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y the kinds of in-service training and a discussion abou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the career stag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keywords
학교상담, 전문상담교사, 연수 요구분석, 개념도, 상담자 발달, school counseli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alysis of in-service training needs, concept map, counselor development

Reference

1.

강남대학교 교육연수원 (2010).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경기: 강남대학교 교육연수원.

2.

강용원, 김정희 (2003). 교사의 전문적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연수제도의 발전 방향 탐색. 한국정책과학 학회보, 7(3), 411-436.

3.

공주대학교 교육연수원 (2012).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충남: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수원.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국민일보 (2012). 학교폭력 방치하면 국가 장래 암울해져. 2012년 3월 15일 검색,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919346&cp=du

6.

권경인, 김창대 (2007).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8(3), 979-1010.

7.

김계현, 문수정 (2000). 상담수퍼비전 교육 내용 요구분석: 상담자의 경력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2(1), 1-18.

8.

김소정 (2005). 중학교 교사의 직무연수 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9.

김수한 (2012). 헤럴드 경제 신문. 2012년 3월17일.

10.

김수혜 (2012). 조선일보. 2012년 3월 6일.

11.

김인규 (2009). 전문상담교사 제도 발전 방안연구. 상담학 연구, 10(1). 517-534.

12.

김인규 (2011). 한국의 학교상담 체제. 서울: 교육과학사.

13.

김정훈 (2012). 우울한 통계, 학생과 교사의 자살률. 전북도민일보. 2012년 10월 11일.

14.

김희대 (2007). 한국의 전문상담교사 제도. 서울:서현사.

15.

명세영 (2002). 초등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연수 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교육대학원.

16.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17.

박세훈, 박영숙, 서정화, 전제상, 조동섭, 황준성 (2011). 교원인사행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18.

손현동 (2007).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개발.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

송은화, 정남운 (2005).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 치료, 17(2), 317-334.

20.

심흥섭 (1996). 상담슈퍼비전에 대한 소고. 인간이해. 17, 1-14.

21.

심흥섭 (1998).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2.

연문희, 강진령 (2010). 학교상담: 학생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3.

윤혜숙 (2009).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따른 자비자율연수에 대한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이기학, 이동귀, 양은주, 배주미, 김영신 (2008).전문상담교사 운영 및 활동 매뉴얼. 서울:교육과학기술.

25.

이현아 (2010).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중학생 내담자와전문상담교사의 인식 비교.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대학원.

26.

임고운 (2008).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에 따른 상담성과. 박사학위논문, 서울여대대학원.

27.

정일환 (1998). 현직연수의 발전방향. 교육부교육행정 연수원. 교육연수, 7, 24-32.

28.

조선일보 (2012). ‘8년째 OECD 자살률 1위’ 원인을 찾아야 할 때다. 2012년 9월 10일사설.

29.

조수연 (2009). 초기 상담에서 상담자 발달수준에 따른 공감정확도와 상담 만족도: 임상실제 자료를 통한 내담자 지각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30.

최해림 (1999).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대학생활연구, 17(1), 1-18.

31.

최해림, 김영해 (2006).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훈련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 석. 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8(4), 713-729.

32.

한국교육개발원 (2012). 위 프로젝트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3.

한세대학교 교육연수원 (2011).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경기: 한세대학교 교육연수원.

34.

America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2010). 2012년 4월 1일 검색, http://www.schoolcounselor.org/files/EthicalStandards2010.pdf.

35.

Barnet, R. I., & Schmidt, J. J. (1986). School counselor certification and supervision: Overlooked professional issue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26, 50-55.

36.

Goodyear, R. K., Tracey, T. J. G., Cal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n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and an illustr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37.

Gysbersr, N. C., Handerson, P. (2006). Developing and managing your school guidance programs(4thed.).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38.

Katz. (1985). Research currents: Teacher as learners. Research Language Arts, 62(7), 778-782.

39.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tion. CA: Sage.

40.

Luke, M., & Bernard, J. M. (2006). The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An extension of the discrimination mode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5, 282-295.

41.

Orlich, D. C. (1989). Staff development: Enhancing human potential. Boston: Allyn and Bacon.

42.

Studer, J. R. (2006). Supervising the school Counselor trainee: Guidelines for practice. Alexander,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43.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