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대학생용 진로발달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영아((주)휴노) ; 김나래(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 박용두((주)휴노) pp.133-156 https://doi.org/10.16983/kjsp.2012.9.2.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의 진로발달 과정의 특성을 반영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발달 상태를 보다 실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한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근간으로 하고 기존의 유사 검사들의 측정변인을 검토하여 8개의 하위 요인(자기이해, 직업이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계망 활용 자기효능감, 진로전환 자기효능감, 진로준비 필요성 인식, 전공진로 적합성)으로 구성된 진로발달검사를 개발하고 개발된 검사의 공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진로발달검사의 8요인 구조는 적합하며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진로발달검사의 공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각각 관련 검사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공인타당도의 경우, 개발된 진로발달검사는 관련 유사 검사 및 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수렴타당도의 경우, 개발된 진로발달검사는 취업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적응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ventory for measuring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status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inventory was based on Social career cognitive theory which suggests the integrated model for various variable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process. We developed the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which consists of eight sub-scales(self-knowledge, occupation-knowledg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exploring self-efficacy, social networking utilizing self-efficacy, career transition self-efficacy,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career readiness, and major and career suitability) and examined its reliabilities, concurre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Proper reliabilities were confirmed. Evidences for validities were found in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were pointed out.

초등학교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통제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우미경(경북대학교) ; 박영신(경북대학교) pp.157-174 https://doi.org/10.16983/kjsp.2012.9.2.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통제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심리통제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아동 423명이 참여하여 부와 모의 심리통제,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네 영역의 자아존중감-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족 자아존중감과 학교 자아존중감-을 평가하였다. 아동들이 부와 모의 심리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낮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를 나타내었고,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었다.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 결과, 부와 모의 심리통제는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 가운데 특히 학교 자아존중감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 과정에서 아동의 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심리통제는 아동들의 건강한 심리적 발달을 돕기 위해서 지양되어야 할 양육방식으로 시사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 esteem, as well 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423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in the Daegu and Kyungpook areas of Korea. Children evaluated their mother's and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maladaptive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esteem in four areas-general, social, family and school. Children tended to display lower self-esteem and higher maladaptiv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en they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be high. Those exhibiting high maladaptiv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lso tended to display lower self-esteem. Maladaptive self-oriented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chool self-estee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a poor parenting style for furthering children's healthy psychological development.

대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김나래(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175-191 https://doi.org/10.16983/kjsp.2012.9.2.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대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이 진로미결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비교 경향성, 자아존중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그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00명(남 80명, 여 120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 경향성, 자아존중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진로미결정을 측정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측정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 경향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고 진로미결정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비교 경향성이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타인과 비교하는 경향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진로미결정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 경향성은 진로미결정에 직접적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비교 경향성은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진로미결정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매개변인인 자존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자존감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indecision. A total of 200 university students (men=80, women=120) responded to the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estee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ndecision sca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estee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ndecision have correlations.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yielded evidence of good fit. Third,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e indirect pathways of self-estee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hich plays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indecision.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low self-esteem then led to greater career indecision.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hi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lso led to greater career indecision. Also, Low self-esteem led to hi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owever,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model did not support the direct pathways fro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career indecision.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청소년의 상담추구행동과 사회적지지 망의 관계연구
장미경(한국방송통신대학교) pp.193-208 https://doi.org/10.16983/kjsp.2012.9.2.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어려움으로 상담을 받으려고 상담실에 자발적으로 내방한 청소년들과 상담이 필요하나 상담을 받고 있지 않은 청소년들 간의 사회적 지지망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집단 청소년의 호소문제유형에 따라 그들의 사회적지지 망의 특징이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상담을 받기 위해 상담실에 처음 내방한 중학생 128명과 학교에서 심리적인 어려움과 문제행동을 보여 상담이 필요하지만 상담을 받고 있지 않은 중학생 110명이었다.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나 상담추구행동을 보이지 않는 청소년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문제행동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대상 모두에게 사회적지지 망의 여러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상담추구행동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사회 망 지향이 상담이 필요하지만 상담추구 행동을 보이지 않는 청소년들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추구 집단의 청소년들이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및 정서적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청소년의 호소문제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담추구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정신건강문제를 호소한 청소년들이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청소년들보다 지각된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 network among adolescents. Participants with showing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were one hundred twenty-eight middle school students who visited counseling center for counseling. Participants with not showing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were one hundred ten middle school students who ranked high 20% in the questionnaire of problem behavior. Thus, two hundred thirty-eight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social support network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showed more positive network orientation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show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The students with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perceived more inform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and also perceived more support from friends and family than those of not showing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With rela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support network by problem areas, students with problems of mental health perceived lower support than students with no problems for the group of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청소년용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지연(인천대학교) ; 송은주(인천대학교) ; 이채희(한국교육과정 평가원) pp.209-226 https://doi.org/10.16983/kjsp.2012.9.2.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정욕구 개념에 기초하여, 청소년용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RMLAM; Martin, 1984)을 기초로 구성개념을 정리하여 청소년용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의 구성요인으로 두 요인을 설정하고 문항을 작성하여 서울과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390명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예비검사와 본 검사 자료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2요인, 11문항으로 구성된 청소년용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 척도를 개발하였다. 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대체적으로 양호하며 내적합치도 계수를 살펴본 결과, 만족할 정도로 높았다.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 우울, 불안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청소년용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우울, 불안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e Validation Needs From Others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a approval motivation definition. Theoretical system on validation from others, considering definitions by based on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RMLAM; Martin, 1984) and new items for this study are developed. 39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were surveyed and validity was verified by preliminary testing and present testing. Validation Needs From Others Scale, which are of composed 2 factor with 11 items, is developed by analyzing data results from the surveys. The 11 items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Reliability from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is also high. Correlation analysis is applied to evaluate between conformity of scale and related propriety. From the analysis suggest that validation Needs from others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xidty and depression. Finally, the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of the study are suggested.

사회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태연(중앙대학교) ; 정혜진(중앙대학교) ; 신선미(중앙대학교) pp.227-249 https://doi.org/10.16983/kjsp.2012.9.2.2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적 사회기술 프로그램과 성격강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두 개의 양적 연구와 하나의 질적 사례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하는 자립원조 기관에 거주하는 결손가정 청소년 5명이었다(남: 3명, 여: 2명, 평균연령: 13세). 연구 1에서 언어적 사회기술 프로그램은 총 6회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 프로그램 종결 한 달 후 등 총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다. 연구 2에서도 성격강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은 총 6회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행복감, 긍정 및 부적 정서 경험, 사회성을 프로그램 실시 전․후, 프로그램 종결 한 달 후 등 총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관련 효과측정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사례분석에서 얻은 결과와 연결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inguistic-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 and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and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y. For this purpose were two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case study conducted. Five adolescents (three boys and two girls with mean age of 13 years) from broken family participated across all three studies. In Study 1, a linguistic-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 was exercised six times over 35 day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right after, and one month after practice of the program. In Study 2,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was exercised six times over 25 day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ir happines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and sociabil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a way similar to Study 1. Results indicated that both of the programs were useful in improving those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social and developmental contexts of the adolescent participants.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진학상담 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장창곡(인천대학교) ; 이지연(인천대학교) ; 장진이(이화여자대학교) pp.251-273 https://doi.org/10.16983/kjsp.2012.9.2.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배치될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학교 현장에 적합한 진로진학상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이 포괄해야 하는 진로상담의 내용 영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방법(Delphi-method)을 사용하였다. 진로상담 모형과 진학상담 모형에 관한 선행연구와 419명의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총 50개의 내용 영역을 선정하였다. 진학상담전문가 27명과 진로상담전문가 21명 등 총 48명으로 구성된 델파이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였는데, 3차에 걸친 설문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45명의 자료만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각 내용 영역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이후 현장에서의 실행도와 비교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진로진학상담이 포괄해야 하는 주요 단계로 상담신청 및 접수, 진로상담, 진학가능성상담, 학습전략상담, 추수상담 등이 선정되었다. 개발된 진로진학상담 모형은 진로상담과 진학상담이 통합된 절차 모형으로 추후연구에서 모형의 타당도와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construct the model that enables the Career & Guidance Counseling Teacher in high school to counsel effectively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Based on the study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using Delphi Method conducted three times by career counsel and care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Guidance Counseling Teacher, high school Counseling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category that should be included in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Teacher counsel model. Constructed high school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contains the elements that should be dealt in counseling and is composed to apply to clients’ circumstances. After constituting the group of the professionals and extracting of items which showed the high importance through the three surveys, the process model is suggested to used at the scene of counseling. Constructed high school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is separated in five categories - Consultation Request and Acceptance, Career Counseling, Counseling the Possibility of college entrance, Counseling the Strategies of Learning, Follow-up Counseling. To increase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stages of Consultation Request and Acceptance, Career Counseling, Counseling the Strategies of Learning, Follow–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procedure of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are suggested.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PAI-A) 긍정왜곡 지표의 효율성
박은영(대구보호관찰소)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275-288 https://doi.org/10.16983/kjsp.2012.9.2.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긍정왜곡 지표(PIM, DEF, CDF)와 국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긍정왜곡 지표(KDF)를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PAI-A)에 적용하여 그 조작적 특성과 효율성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왜곡 지시문을 사용하여 PAI-A를 실시한 자료와 표준 지시문 자료에 대해 PIM, DEF, CDF, KDF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긍정왜곡 지시 프로파일은 PIM, RXR, DOM, WRM 및 MAN이 상승하고 대부분의 임상척도가 평균보다 낮았다. 긍정왜곡 지표의 특성을 자세히 비교하기 위해 ROC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할점수의 민감성과 특이성, 각 분할점수의 진단적 효율성의 추정치를 계산했다. 4개 긍정왜곡 지표의 효과크기 및 AUC를 산출한 결과 KDF, PIM, DEF, CDF 순이었다. 끝으로 각 긍정왜곡 지표 분할점수의 진단적 효율성의 추정치를 살펴보면 특정 분할점수에서의 민감성과 특이성의 합이 PIM, DEF, KDF은 큰 반면 CDF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DF가 기존에 성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PIM, DEF와 함께 청소년의 긍정왜곡 반응을 탐지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다양한 지표를 동시에 적용할 때 보다 정확하게 반응왜곡을 탐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efficiencies of PAI-A positive distortion indicators developed on adults(PIM, DEF, CDF) and KDF constructed on Korean high schoolers. High school students administrated PAI-A under two conditions: positive impression instruction and standard instruction. The profile of positive dissimulation had high score on PIM, RXR, DOM, WRM, MAN and almost all clinical scales were lower than average. Through analysis of effect size and ROC curves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easures using different cutoff scores, the order of the efficiency of positive distortion indicators are KDF, PIM, DEF and CDF. Review of the identification rate estimates for each cutoff score indicates that the sum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n specific cutoff score of KDF, PIM, DEF are high but that of CDF is relatively 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KDF is effective on detecting the positive impression management as much as PIM and DEF developed on adults. Also, adapting more than one indicator are more effective to monitor the response distortion accurately.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연구
신효정(고려대학교) ; 최현주(고려대학교) ; 이민영(고려대학교) ; 노현경(고려대학교) ; 김근화(고려대학교) ; 장유진(고려대학교) ; 이상민(고려대학교) pp.289-309 https://doi.org/10.16983/kjsp.2012.9.2.2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업소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에 있어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유형 간 존재하는 억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단기 종단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중학생 357명이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와 학업소진 척도(MBI-SS)를 사용하였다. 두 시점 자료에 존재하는 개인 내적인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방정식으로부터 표준화된 잔차를 산출하여 각 변수의 변화량 잠재변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하나의 대처방식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유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유형의 대처방식 변화량은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즉,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의 경우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보다 소극적 대처 변화량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부적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한편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적극적 대처방식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발견되었다. 이는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 간 억제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소극적 대처를 줄이고, 적극적 대처를 강화할 때 학생들의 소진을 영향력 있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which analyzed suppression effects of active/passive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35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wo wave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s of student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burnout,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Student Survey(MBI-SS) were used. Latent variables were constructed with standardized residuals computed from a simple linear regression in order to capture the intra-individual changes between two time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under stress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simultaneously. Second, significant suppression effects were revealed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That is, when controlling passive coping strateg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controlling active coping strateg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ue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동기이론의 세 가지 욕구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동서울대학교) pp.311-330 https://doi.org/10.16983/kjsp.2012.9.2.31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동기이론의 세 가지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근거하여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성, 관계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유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722명(남학생 248명, 여학생 474명)의 고등학생이었고, 간략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KS-척도),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비교하기 위해 한 개의 경쟁모형을 구성하여 남녀 집단별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구조모형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녀 집단 모두에서 자율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the three needs variable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on the basi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model, the influences of autonomy and relatedness on internet addiction are mediated by competence. The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722 students(men 248, women 474). The KS-Scal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cale were used. The alternative models suggest relatedness, autonomy and competence have an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without any mediation effect.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difference investigations about internet addiction models between men and wome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effect of only the autonomy variable on the internet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임수진(전남대학교) ; 안진홍(전남대학교) pp.331-345 https://doi.org/10.16983/kjsp.2012.9.2.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애착과 정서조절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광주지역 초등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515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 애착 영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학교적응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년이나 주 양육자에 따른 학교적응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동의 어머니 애착은 초등학생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수록 학교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애착의 하위요인들 중 신뢰감이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적응, 학내생활의 학교적응 하위요인 모두에 의미 있는 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정서조절은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유의미한 부분 매개를 하였다.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수록 정서조절을 잘 하였고, 증가된 정서조절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아동의 어머니 애착은 직접적으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었고, 정서조절을 매개하여서도 간접적으로 학교 적응에 영향을 준 것이다.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이 필요하며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 attachmen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 It was established the study modeling which shows the direct effect of attachme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e emotion regulation variables which can mediate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questionnaire has carried out for 5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follow: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to gender. but there are n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to grade and major fosterer. Mother attach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d on the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rust of attachment subvariables provided significant explanation for relation of friend, relation of teacher, adjustment of study and school life. Mother attachment has influenced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 in the indirect way. Looking on the side of indirect effect, mother attach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 The more they had secure attachment with mother, the more they were good school adjustment.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신현숙(전남대학교) ; 곽유미(전남대학교) ; 김선미(전남대학교) pp.347-366 https://doi.org/10.16983/kjsp.2012.9.2.34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녀 고등학생 95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질문지, 한국판 우울증 척도(K-CES-D), 충동성 척도, 반응적-선제적 공격성 질문지(RPAQ)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통해,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적용하여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이 역기능적 충동성에 영향을 미쳐서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더라도,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변수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에 관련지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 공격성에 대한 통제적 양육행동의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는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심리 개입과 예방에서 부모자문의 간접 서비스와 청소년 대상의 직접 서비스를 병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 aggression. Nine-hundred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K-CES-D scale, the impulsivity scale, and the reactive 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diation models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aggression is mediated by their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either the mediation of depression or that of dysfunctional impulsivity. More importantly, parental control affected adolescents’ depression, which in turn influenced dysfunctional impulsivity, which eventually affected aggression. Furthermore, even when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were taken into account as mediator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s’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pport an integrative framework delineating the role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as multiple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e results also imp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in school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prevention for aggressive adolesc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판 아동․청소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TRF) 표준화 연구
김민영((주) 휴노) ; 김영아((주)휴노) ; 오경자(연세대학교) pp.367-391 https://doi.org/10.16983/kjsp.2012.9.2.3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을 표준화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TRF의 규준집단(남학생 476명, 여학생 462명)은 2005년 대한민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 자료를 참조하여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미국판 원검사의 요인구조를 한국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각 하위척도들의 내적 합치도 수준(Cronbach’s α=.59-.97, 기타문제: .39)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값(.53-.96)이 모두 양호하였다. 내재화 및 외현화 척도에 속하는 하위 척도들과 상위 척도가 높은 상관을 보였고, 한국판 CBCL 6-18을 준거타당도 척도로 활용하여 TRF총점기준 비임상/임상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척도에서 TRF총점기준 임상 집단이 비임상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단축형 Conners 척도와 관련이 있는 TRF의 척도 간에도 .77-.92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지지하였다. 각 하위척도별 평균 점수를 학년급간과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초등/중·고등 학년급간과 남/여 성별에 따라 규준을 제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TRF의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orms and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s Report Form (TRF). The selection of a normative sample for the TRF (476 boys and 462 girls)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5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TRF can be plausibly applied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TRF. Reliability was assess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59-.97; other problems: .39) and test-retest reliability (.53-.96). The subscales of the TRF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ts higher-order-factors such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is provided good evidence of convergent validity. When the TRF was administered to a clinical sample (n=101) and normative sample (n=506),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between the two samples. When differences in mean subscale scores for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were explored,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independent norms for two age groups (the first year ~ the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freshman ~ high school senior) and gender (boys / girl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TRF.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TRF in Korea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남녀 중학생의 부/모 애착과 또래괴롭힘 방어, 방관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 송경희(경희사이버대학교) pp.393-415 https://doi.org/10.16983/kjsp.2012.9.2.3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애착과 또래괴롭힘 방어 및 방관행동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서울, 경기, 부산, 충주 지역 소재의 중학교 1, 2학년 579명(남: 292, 여: 287)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성별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애착에서 방어, 방관행동으로의 직접 경로를 제외한 완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모 애착이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 애착이 정서조절을 통해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유의하였으며, 모 애착이 정서조절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모두를 통해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 효과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나타났다. 한편, 모 애착이 정서조절을 통해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괴롭힘 주변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 개입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paternal/maternal attachment and defending or outsider behaviors. A total of 57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gende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mplete mediation model without the direct effect of attachment was better than a partial mediation model, regardless of gender.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defending behaviors in all gender. However,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ternal attachment and defending behaviors only among boys.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outsider behaviors only among girls. In addition,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efficacy both served as mediators on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defending behaviors only among girls. Based on these findings, effective prevention/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gender-specific approach was also emphasized.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장애와의 관계
김정화(경희대학교) ; 김미경(경희대학교) ; 김진경(숙명여자대학교) ; 고은영(한국외국어대학교) pp.417-442 https://doi.org/10.16983/kjsp.2012.9.2.4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상담에 있어 차별적인 진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두 차원에 따라 어떠한 군집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각 군집별 진로장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총 826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군집별 진로장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네 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군집 1은 진로결정수준보다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은 ‘행동지향집단’, 군집 2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낮은 ‘혼란집단’, 군집 3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높은 ‘이상집단’, 군집 4는 진로결정수준은 높지만 진로준비행동이 낮은 ‘행동지연집단’으로 명명하고 각 군집별 진로관련 특성을 살펴보았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학년별로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이상집단’과 ‘행동지향집단’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혼란집단’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상집단’의 경우 남학생이 더 많았다. 각 군집 별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장애 하위 척도의 설명력과 영향은 군집 1과 2에서는 직업정보부족과 자기명확성 부족, 군집 3과 4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진로장애 하위 척도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기준으로 한 집단 구분과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 상담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areer barriers, and the natural grouping in term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in order to provide a indicator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college students.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is revealed by the result from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826) from 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Cluster 1 ‘Behavior oriented group’ shows by the low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2 ‘Confused group’ shows the low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low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3 ‘Ideal group’ shows the high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4 ‘Behavior delayed group’ shows the high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low career behavior preparation level. Through MANOVA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confirmed by the career barriers in each cluster. In grade, the ratio of ‘Ideal group’ and ‘Behavior oriented group’ a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ment of the grade. In gender, female students indicate the higher ratio in ‘Confused group’ and male students demonstrate the higher ratio in ‘Ideal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the explanation and the effect of the subtypes of the career decision barrier in each cluster. Cluster 1 and 2 show the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the ‘lack of self-identity.’ Cluster 3 and 4 show the relatively distributed effects of the subtypes of the career barriers. Based on this study, the ways of the post-research in the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have been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