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화학분석 분야에는 ISO 17025에 따른 체계적 품질 관리/보증의 요구가 커지면서, 측정 불확도의 표기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 측정품질의 정량화를 위하여, 화학분석의 QA/QC 문헌들로부터 화학분석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불확도 요소를 선정하였고, 이것을 측정결과 평가 요소의 기본인 7개의 품질요소로서 반복성, 직선성, 소급성, 변동성, 매질효과, 균질성, 안정성으로 구분하였다. 화학분석의 QA/QC를 위한 이 7대 품질 요소의 측정 모델화, 표준불확도의 계산 및 합성방법을 각각 예로서 제시하였다.
화학분석 분야에는 ISO 17025에 따른 체계적 품질 관리/보증의 요구가 커지면서, 측정 불확도 의 표기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 측정품질의 정량화를 위하여, 화학분석의 QA/QC 문헌들로부터 화학분석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불확도 요소를 선정하였고, 이것을 측정결과 평가 요소의 기본인 7개의품질요소로서 반복성, 직선성, 소급성, 변동성, 매질효과, 균질성, 안정성으로 구분하였다. 화학분석의 QA/QC를 위한 이 7대 품질 요소의 측정 모델화, 표준불확도의 계산 및 합성방법을 각각 예로서 제시하였다.
(1997.) “Practical Statistics for analytical Scientist”,
(1992.) “Data fitting in the Chemical Sciences by the Method ofLeast Squares”,
(1990.)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Testingand Calibration Laboratories”,
(1993.)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s”,
(1993.)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Expressing theUncertainty of NIST Measurement Results”,
(1999.) “측정불확도 표현 지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995.)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s”,
(2005.) “불확도 평가 및 표현 사례집 한국표준과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