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Benzenesulfonamide 유도체로 GC-MS를 사용한 지표수 및 수돗물 중 2차 지방족 아민의 분석

Determination of secondary aliphatic amines in surface and tap waters as benzenesulfonamide derivatives using GC-M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8, v.31 no.2, pp.96-105
https://doi.org/10.5806/AST.2018.31.2.96
박선영 (강원대학교)
정성진 (강원대학교)
김윤정 (강원대학교)
김희갑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발암 의심 물질인 nitrosamine 화합물의 유기 전구물질인 8종의 이차 지방족 아민 화합물의 분석 방법을 개선한 후, 지표수 및 수돗물에서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여과한 물 시료(200 mL)에 10 M NaOH (8 mL)와benzenesulfonyl chloride (2 mL)를 첨가하고 <TEX>$80^{\circ}C$</TEX>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10 M NaOH (10 mL)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힌 물 시료에 35 % HCl를 첨가하여 pH를 5.5-6.0로 조절한 후, dichloromethane (50 mL)을 가하여 진탕기로 30분 동안 추출하였고, 이 추출 과정은 한 번 더 반복하였다. 추출액(100 mL)을 0.05 M <TEX>$NaHCO_3$</TEX> 수용액(15 mL)으로 씻어준 후 <TEX>$Na_2SO_4$</TEX>(4 g)로 건조하였다. 여과액은 회전증발기와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0.1 mL까지 농축한 후, GC-MS로 이차 지방족 아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TEX>$r^2$</TEX>)로 0.9969-0.9996이었다. 방법검출한계는 <TEX>$0.01-0.20{\mu}g/L$</TEX>이었고, 반복성 및 재현성은 RSD로 나타낼 때 모두 10 % 이내이었다(6.6-9.4 %). 퍼센트 오차로 나타낸 정확도는 <TEX>$0.6{\mu}g/L$</TEX>에 대해 2.4-6.1 %이었다. 확립된 분석 방법을 5개의 지표수와 82 개의 수돗물에 대해 분석하였다. Dimethylamine은 모든 물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농도는 평균 <TEX>$0.79{\mu}g/L$</TEX>이었고 범위는 <TEX>$0.20-2.54{\mu}g/L$</TEX>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 및 수돗물 중 이차 지방족 아민에 대한 분석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지역 및 계절별 농도 분포를 파악하였다.

keywords
benzenesulfonyl chloride, drinking water, GC-MS, nationwide distribution, secondary aliphatic amines

Abstract

이 연구는 발암 의심 물질인 nitrosamine 화합물의 유기 전구물질인 8종의 이차 지방족 아민 화합물의 분석 방법을 개선한 후, 지표수 및 수돗물에서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여과한 물시료(200 mL)에 10 M NaOH (8 mL)와 benzenesulfonyl chloride (2 mL)를 첨가하고 80 °C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10 M NaOH (10 mL)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힌 물 시료에 35% HCl를 첨가하여 pH를 5.5-6.0로 조절한 후, dichloromethane (50 mL)을 가하여 진탕기로 30분 동안 추출하였고, 이 추출 과정은 한 번 더 반복하였다. 추출액(100 mL)을 0.05 M NaHCO3 수용액(15 mL)으로 씻어준 후 Na2SO4(4 g)로 건조하였다. 여과액은 회전증발기와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0.1 mL까지 농축한 후, GC-MS로 이차 지방족 아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로 0.9969-0.9996이었다. 방법검출한계는 0.01–0.20 μg/L이었고, 반복성 및 재현성은 RSD로 나타낼 때 모두 10 % 이내이었다(6.6- 9.4%). 퍼센트 오차로 나타낸 정확도는 0.6 μg/L에 대해 2.4-6.1%이었다. 확립된 분석 방법을 5개의 지표수와 82개의 수돗물에 대해 분석하였다. Dimethylamine은 모든 물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농도는 평균 0.79 μg/L이었고 범위는 0.20-2.54 μg/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 및 수돗물 중 이차 지방족 아민에 대한 분석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지역 및 계절별 농도 분포를 파악하였다.

keywords
benzenesulfonyl chloride, drinking water, GC-MS, nationwide distribution, secondary aliphatic amines


참고문헌

1

F. Ma, Y. Wan, G. Yuan, L. Meng, Z. Dong, and J. Hu, Environ. Sci. Technol., 46(6), 3236-3243 (2012).

2

W. A. Mitch, J. O. Sharp, R. R. Trussell, R. L. Valentine, L. Alvarez-Cohen, and D. L. Sedlak, J. Environ. Sci. Eng., 20(5), 389-404 (2003).

3

H. Zhang, S. Ren, j. Yu, and M. Yang, J. Environ. Sci., 24(11), 1885-1890 (2012).

4

W. Wang, S. Ren, H. Zhang, J. Yu, W. An, J. Hu, and M. Yang, Water Res., 45(16), 4930-4938 (2011).

5

F. Sacher, S. Lenz, and H. J. Brauch, J. Chromatogr. A, 764(1), 85-93 (1997).

6

A. Poste, M. Grung, and R. F. Wright, Sci. Total Environ., 481(15), 274-279 (2015).

7

H. Kataoka, J. Chromatogr. A, 733(1), 19-34 (1996).

8

A. Q. Zhang, S. C. Mitchell, and R. L. Smith, Clin. Chim. Acta., 233(1-2), 81-88 (1995).

9

G. W. Schade and P. J. Crutzen, J. Atmos. Chem., 22(3), 319-346 (1995).

10

U. S. EPA,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s (AEGLs) for dimethylamine, 2008.

11

H. Greim, D. Bury, H-J. Klimisch, M. Oeben-Negele, and K. Ziegler-Skylakakis, Chemosphere, 36(2), 271-295 (1998).

12

K. Rostkowska, K. Zwierz, A. Rozanski, J. Moniuszko-Jakoniuk, and A. Roszczenko, Pol. J. Environ. Stud., 7(6), 321-325 (1998).

13

J. Nawrocki and P. Andrzejewski, J. Hazard. Mater., 189(1-2), 1-18 (2011).

14

Z. Chen and R. L. Valentine, Environ. Sci. Technol., 41(17), 6059-6065 (2007).

15

Y.-Y., Zhao, J. Boyd, S. E. Hrudey, and X.-F. Li, Environ. Sci. Technol., 40(24), 7636-7641 (2006).

16

U. S. EPA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http://www.epa.gov/iris/, accessed 15 April 2009.

17

U. S. EPA, Method 521, Determination of Nitrosamines in Drinking Water by Solid Phase Extraction and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 with Large Volume Injection and Chemical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EPA/600/R-05/054, Ohio, 2004.

18

B. Jurado-Sanchez, E. Ballesteros and M. Gallego, Water Res., 46(14), 4543-4555 (2012).

19

G. Hawksworth and M. J. Hill, Br. J. Cancer, 29(5), 353-358 (1974).

20

C. L. Walters, F. P. A. Carr, C. S. Dyke, M. J. Saxby, P. L. R. Smith, and R. Walker, Food Cosmet. Toxicol., 17(5), 473-479 (1979).

21

S. S. Mirvish, Cancer, 58(8), 1842-1850 (1986).

22

F. Hao, T. Lwin, W. J. Bruckard, and J. T. Woodcock, J. Chromatogr. A, 1055(1-2), 77-85 (2004).

23

R. Herraez-Hernandez, C. Chafer-Pericas, J. Verdu-Andres, and P. Campins-Falco, J. Chromatogr. A, 1104(1-2), 40-46 (2006).

24

M. Abalos, J. M. Bayona, and F. Ventura, Anal. Chem., 71(16), 3531-3537 (1999).

25

N. V. Huy, M. Murakami, H. Sakai, K. Oguma, K. Kosaka, M. Asami, and S. Takizawa, Water Res., 45(11), 3369-3377 (2011).

26

X. H. Yang, M. I. Scranton, and C. Lee, Mar. Ecol. Prog. Ser., 108(3), 303-312 (1994).

27

Y. H. Lee and S. U. Park, Water Air Soil. Pollut., 135(1-4), 23-37 (2002).

28

S. Jung, D. Kim, and H. Kim, Pol. J. Environ. Stud., 25(6), 2689-2693 (2016).

29

K. Han and H. Kim, Anal. Sci. Technol., 23(6), 551-559 (2010).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