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임상군의 MMPI-2, PAI 반응에 대한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관련성 탐색

Verifying classification and influence for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results from MMPI-2 and PAI responses of clinical outpatients group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MMPI-2를 실시하여 잠재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에 대한 PAI 관련요인을 탐색하여 치료적 개입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MPI-2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여 잠재집단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PAI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총 224명의 임상군이 응답한 MMPI-2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가지 잠재집단이 산출되었다. 각 잠재집단은 MMPI-2 프로파일에 따라 ‘잠재 증상 내재군’,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 ‘고위험 가능군’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PAI 변인들의 영향요인 탐색 결과, ‘공격성(AGG)'척도의 T점수가 높을수록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보다 잠재 증상 내재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자살관념(SUI)’척도의 T점수가 높을수록 잠재 증상 내재군과 신경증적 증상 호소군보다 고위험 가능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MMPI-2, PAI, Latent Profiles Analysis(LPA), MMPI-2, PAI, 잠재프로파일 분석(LP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MMPI-2 and PAI in outpatients and to propose therapeutic intervention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each group. Latent profiles analysis of MMPI-2 was conducted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s of latent class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PAI. Results showed three latent classes,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and “Potential high-risk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showed the influence of PAI variables, the higher the T score of ‘Aggression(AGG)’ scal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contained in the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than in the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Also, the higher the T score of ‘Suicide ideation(SUI)’ scal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contained in the “Potential high-risk group” than in the “Potential underlying symptoms group” and the “Neurotic symptoms by self-report grou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MMPI-2, PAI, Latent Profiles Analysis(LPA), MMPI-2, PAI, 잠재프로파일 분석(LPA)

참고문헌

1.

공성회, 채정호, 이종훈, 한상우, 박은진, 최경숙 (2012). MMPI-2와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타당도 척도를 이용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증상과장 평가. 대한불안의학회지, 8(1), 22-30.

2.

김나라, 남희정, 홍경수, 김지혜 (2011). PAI를 통해 본 관해기 시기의 정신분열병 환자의 심리적 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2), 459-474.

3.

김시업, 이혜선, 손지선, 전우병 (2004). 여성살인범의 범행관련 특징과 PAI에 나타난 성격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3), 111- 129.

4.

김정안, 최성진 (2016).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서 MMPI-2와 Rorschach의 진단적 유용성과 진단변별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411-430.

5.

노언경, 홍세희 (2012).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3), 51-76.

6.

두정훈, 오상우 (2003). MMPI와 PAI를 이용한 우울증의 평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3(1), 149-150.

7.

문경주, 이주영, 허자영 (2015). MMPI-2-RF 척도로 본 대학생 자살 위험군의 심리적 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3), 809-827.

8.

박은영, 홍상황, 정상문, 김영환 (2002). 수형자의 PAI 프로파일과 범법행위 예언지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41-954.

9.

신택수 (2010).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교육평가연구, 23(3), 641- 664.

10.

신혜진 (2016).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진로동기의 영향력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2), 349-373.

11.

이남희, 이봉건 (2009).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 따른 재범 위험성 차이에 관한 연구: 비행촉발요인 조사서와 PAI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127-140.

12.

이슬아, 김근향, 육기환 (2012).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평가와 진단에서 K-CBCL과 MMPI-A의 유용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 (1), 391-399.

13.

이정은, 이현수 (2009). 공황장애 환자와 비공황 불안장애 환자의 심리적 특성 비교: MMPI와 로르샤하 반응 특성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2), 437-458.

14.

정선훈, 이은호, 김지혜, 한경희 문경주 (2013). MMPI-2-RF 척도의 진단적 유용성-주요우울장애 환자들과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감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71- 394.

15.

채숙희 (2005). 남녀 알코올 의존 환자의 심리적 특성: MMPI, BDI, BAI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555-572.

16.

최희영, 신민섭 (2008). MMPI-2와 로샤 검사에 나타난 강박장애 환자의 분노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2), 505-522.

17.

허은혜, 강희양 (2016).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는 우울한 환자 중 자살사고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인지기능과 MMPI-2의 차이. 201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217-217.

18.

홍상황, 김영환 (2002). PAI 임상척도의 진단변별기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3), 609- 630.

19.

Eric F. Crawford, Patrick S. Calhoun. Loretta E. Braxton, Jean C. Beckham. (2007). Validity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ggression Scale and Violence Potential Index in Veterans With PTSD.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8(1), 90-98.

20.

Morey, L. C. (1991).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1.

Morey, L. C. (1996). An interpretive guide to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2.

Morin, A. J. S., Madore, I., Morizot, J., Boudrias, J. -S., & Tremblay, M. (2009). Multiple Targets of workplace affective commitment: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workplace affective commitment multidimensional questionnaire.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59, 45-75.

23.

Muthén, L. K., & Muthén, B. O. (2006). Mplus.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24.

Ingram, Paul B. & Ternes, Michael S. (2016). The detection of content-based invalid responding: A meta-analysis of the MMPI-2-Restructured Form’s (MMPI-2-RF) over-reporting validity scales.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30(4), 473-496.

25.

Nelson, Nathaniel W., Hoelzle, James B., Sweet, Jerry J., Arbisi, Paul A., Demakis, George J. (2010). Updated meta-analysis of the MMPI-2 Symptom Validity Scale (FBS): Verified utility in forensic practic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Vol 24(4), 701-724.

26.

Piotrowski, Chris. (2017). The status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in training and practice: Evidence from the emerging literature. Journal of Projective Psychology & Mental Health, 24(2), 83-9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