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불안정한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자기자비 및 사회불안(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애착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예측변인으로,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경험검사(ECR-R),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 공포증 척도(SPS), 한국판 자기자비심 척도(K-SCS)를 활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3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8.0과 Mplus 6.0(Muthen & Muthen, 2012)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기자비는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성인들을 위한 심리적 개입으로써 자기자비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mediating variable such as self-compassion. A total of 352 Korean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follow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Social Interactive Anxiety Scale (SIAS), Social Phobia Scale (SPS), and Korean Self-Compassion Scale (K-SCS). Only 334 students (121 males, 213 female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SPSS 18.0 and Mplus 6.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performing the analysis. Additionally,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ir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김미정 (201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병직, 오경자 (2013). 성인 애착 불안/회피 차원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한 정서 조절의 차별적 경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19-548.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혜, 장문선, 조현춘 (2014).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취약성과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가족과 상담, 4(1), 35-57.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혁곤 (1992). 대학생의 사회적 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민선, 채규만 (2013).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2), 111-129.
박선영, 김경미 (2013).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6), 3691-3707.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선주연, 신희천 (2013).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183-3200.
송태민, 김계수 (2012). 보건복지 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
신노라, 안창일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4), 949-968.
신혜린, 이기학 (2008). 성인애착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 사회불안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139-159.
심은수 (2013).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희옥 (2005). 또래 괴롭힘과 대인간 행동특성에 관한 횡단 및 단기종단연구: 참여자 역할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5), 263- 279.
이연규, 최한나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대인존재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2), 21- 42.
이은지, 서영석 (2014). 불안전 성인애착 (애착불안, 애착회피) 과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 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413-441.
이인아 (2013). 초등학교 6학년의 부모애착과 사회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공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원 (2006).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대인불안의 관계: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령 (2013). 성인애착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 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 (1999). 어머니 특성, 아동특성, 타인양육 특성과 애착 안정성간의 관계 연구-취업모 가정을 대상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7, 293-309.
임윤선 (2013).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영호 (2012).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휘숙 (1997). 청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 발달연구, 4(1), 88-97.
조영미, 이희경 (2013).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227- 1245.
조화진, 서영석 (2011).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71-490.
채숙희, 오수성, 조용래 (2000). 완벽주의 성향과 주의 방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2), 231-246.
최영민 (2012).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high on social comparison tendency.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의진, 조영일 (2013).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항공 객실승무원들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4), 117-135.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Adams, C. E., & Leary, M. R. (2007). Promoting self-compassionate attitudes toward eating among restrictive and guilty eate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6(10), 1120-1144.
Allen, A. B., & Leary, M. R. (2010). Self Compassion, stress, and cop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4(2), 107-1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Bartholomew, K. (1990). Avoidance of intimacy: An attachment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7(2), 147-178.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244.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Basic books.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46-76.
Brennan, K. A., & Shaver, P. R. (1995).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function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3), 267-283.
Brennan, K. A., & Shaver, P. R. (1998). Attachment styles and personality disorders: Their connections to each other and to parental divorce, parental death, and perceptions of parental caregiving. Journal of personality, 66(5), 835-878.
Cassidy, J., Lichtenstein-Phelps, J., Sibrava, N. J., Thomas, C. L., & Borkovec, T. D. (200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onnections with self-reported attachment. Behavior Therapy, 40(1), 23-38.
Choi, Y. M., Lee, D., & Lee, H. (2014).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Emotions When Experiencing a Sense of Inferiority across Comparison Situation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4, 949-95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644-663.
Eng, W., Heimberg, R. G., Hart, T. A., Schneier, F. R., & Liebowitz, M. R. (2001). Attachment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style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Emotion, 1(4), 365-380.
Kobak, R. R., & Sceery, A. (1988).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hild development, 135-146.
Leary, M. R., & Kowalski, R. M. (1997). Social anxiety. Guilford Press.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Batts Allen, A.,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5), 887-904.
Leiberg, S., Klimecki, O., & Singer, T. (2011). Short-term compassion training increases prosocial behavior in a newly developed prosocial game. PloS one, 6(3), e17798.
McKay, M., & Fanning, P. (2000). Self-Esteem: A proven program of cognitive techniques for assessing, improving and maintaining your self-esteem.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
Mikulincer, M., & Shaver, P. R. (2005). Attachment security, compassion, and altruism.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1), 34-38.
Mikulincer, M., Shaver, P. R., Gillath, O., & Nitzberg, R. A. (2005). Attachment, caregiving, and altruism: boosting attachment security increases compassion and hel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5), 817-839.
Neff, K. D.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 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Neff, K. D. (2009).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development: A healthier way to relate to oneself. Human development, 52(4), 211-214.
Neff, K. D., Hsieh, Y. P., & Dejitterat, K. (2005).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4(3), 263-287.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3), 225-240.
Potter, R., Yap, K., Francis, A., & Schuster, S. (2014). Self-compa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criticism and social anx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y, 14(1), 33-43.
Rasmussen, M. K., & Pidgeon, A. M. (2011). The direct and indirect benefits of dispositional mindfulness on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Anxiety, Stress, & Coping, 24(2), 227-233.
Raque-Bogdan, T. L., Ericson, S. K., Jackson, J., Martin, H. M., & Bryan, N. A. (2011). Attachment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self-compassion and mattering as medi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2), 272-278.
Ruscio, A. M., Brown, T. A., Chiu, W. T., Sareen, J., Stein, M. B., & Kessler, R. C. (2008). Social fears and social phobia in the USA: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Psychological medicine, 38(01), 15-28.
Shepherd, R. M. (2006). Volitional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Quarterly, 9(4), n4.
Sroufe, L., Carlson, E. A., Levy, A. K., & Egeland, B. (1999). Im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1(01), 1-13.
Stein, D. J., Cameron, A., Amrein, R., Montgomery, S. A., & Moclobemide Social Phobia Clinical Study Group. (2002). Moclobemide is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in the long-term pharmacotherapy of social anxiety disorder with or without comorbid anxiety disorder. International clinical psychopharmacology, 17(4), 161-170.
Strahan, E. Y. (2003).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2), 347-366.
Turner, S. M., Beidel, D. C., Dancu, C. V., & Keys, D. J. (1986). Psychopathology of social phobia and comparison to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4), 389-394.
Weeks, J. W., Heimberg, R. G., Rodebaugh, T. L., & Norton, P. J. (2008).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3), 386-400.
Werner, K. H., Jazaieri, H., Goldin, P. R., Ziv, M., Heimberg, R. G., & Gross, J. J. (2012).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disorder. Anxiety, Stress & Coping, 25(5), 543-558.
Zautra, A., Smith, B., Affleck, G., & Tennen, H. (2001). Examinations of chronic pain and affect relationships: Applications of a dynamic model of affec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5), 786-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