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초록

본 연구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329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남자 153명, 여자 176명)이 지연상태척도, CES-D 척도,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한국판 자기 자비심 척도를 사용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SPSS 18.0과 Mplus 6.12(Muthen & Muthen, 2012)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변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고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지연행동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우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지연행동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자기-자비와 우울, 자기-자비와 지연행동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남녀집단에 따라 자기-자비와 지연행동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셋째,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가 부분매개하였다.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남학생집단에서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나,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여학생집단에서는 자기-자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대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depression, procrastination,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self-compassion, 우울, 지연행동,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자기자비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A total of 329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153 men, 176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s completed the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CES-D,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PSS 18.0 and Mplus 6.0 program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were used with data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research model,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for investigations into the differences in the interest models by gen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However,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the mean scores of procrastination and self-compassion and model fits. Thir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an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depression, procrastination,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self-compassion, 우울, 지연행동,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자기자비

참고문헌

1.

곽유미 (2010).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 자비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3.

김광숙, 김정희 (2007). 꾸물거림과 성격의 5요인,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33-947.

4.

김선희 (2009).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_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5.

김수지 (2014). 능동-수동 지연행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정서조절양식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6.

김슬기, 박은영 (2018).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수치심과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287-306.

7.

김 환 (1999). 학업적 꾸물거림에서 실패공포가 과제 제출 행동 지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노상선, 조용래 (2014).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에 대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1), 65-93.

9.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 역할.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735-754.

10.

박명희 (2008). 위험회피 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만성적 자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11.

박선영, 김경미 (2013).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6), 3691-3707.

12.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년감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 (1), 123-139.

13.

박승호 서은희 (2005). 여자 대학생들의 학업적 지연행동의 실태 및 원인분석. 敎育學硏究, 43(2), 115-134.

14.

박여정 (2009). 청소년의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5.

박재우, 권정혜 (1998). 과제의 자아 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포스터 발표 논문집. 105-119.

16.

배성우, 신원식 (2005). CES-D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의 요인구조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 사회과학, 18, 165-190.

17.

백소영, 하현주, 권석만 (2018).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수용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처치효과 탐색.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3), 337-357.

18.

백승순 (2014).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 심리적 반발심,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19.

백지은 (2016).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1), 99-122.

20.

송윤희 (2012).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우울, 시험불안, 자기손상전략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209-229.

21.

양병한 (2005). 자기효능감, 우울 및 불안과 지연경향 간의 관계. 인문논총, 12, 89-110.

22.

양유진, 정경미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피적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매개요인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69-688.

23.

오숙영 (2017).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교육방법연구, 29(2), 313-345.

24.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2006). 또래 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1), 31-41.

25.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2006). 정서조절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1), 167-181.

26.

유지원, 강명희, 김은희 (2013). 이러닝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 규명.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1), 81-95

27.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 사건에 다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8.

윤재호 (2011). 지연동기 척도 개발 및 지연동기와 심리적 부적응간 경로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9.

이동귀, 박현주 (2009). 대처양식 집단에 따른 꾸물거림 및 정신건강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43-57.

30.

이은지, 서영석 (2014). 불안전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대인관계 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 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413-442.

31.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2.

이지혜, 이수정, 박은혜, 이상민 (2014).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3), 479-497.

33.

임민주 (2009).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34.

임전옥, 장정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 275.

35.

조진옥 (2012). 자기고양 편향과 정서회피분산전략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36.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 자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37.

최수미, 조영일 (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효과 검증과 남녀 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71-589.

38.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 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39.

홍승일, 현명호 (2005). 지연경향성과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과제의 자아위협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259-277.

40.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41.

Allen, A. B., & Leary, M. R. (2010). Self-compassion, stress, and cop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4(2), 107-118.

42.

Barnard, L. K., & Curry, J. F. (2011). Self-compassion: Conceptualizations, correlates, and interven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5, 289-303.

43.

Beck, A. T. (1997).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The Guilford Press.

44.

Breines, J. G., Chen, S. (2012) Self-Compassion Increases Self-Improvement Motiv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8(9), 1133-1143.

45.

Burka, J. B., & Yuen, L. M. (1983). Procrastination: Why you do it, what to do about it. Reading, PA: Addison-Wesley.

46.

Diedrich, A., Grant, M., Hofmann, S. G., Hiller, W., Berking, M. (2014). Self-compassion as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8, 43-51.

47.

Ferrari, J. R., Diaz-Morales, J. F., O’callaghan, J., & Argumedo, K. D. D. (2007). Frequent behavioral delay tendencies by adults: International prevalence rates of chronic procrastinatio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8, 458-464.

48.

Ferrari, J. R., Landreth, Nicole. (2014). “Guess I Am a Procrastinator”: Self and Other Perceptions among Rural US Citizens,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6(1), 121-128.

49.

Ferrari, J. R., O’Callaghan, J., & Newbegin, I. (2005). Prevalence of procrastination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Arousal and avoidance delays among adults.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7, 2-6.

50.

Kishton, J. M., WIdaman, K. (1994).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3), 757-765.

51.

Klingsieck, K. B., Fries, S., Horz, C., & Hofer, M. (2012). Procrastination in a distance university setting. Distance Education, 33, 295-310.

52.

Krieger, T., Altenstein, D., Baettig, I., Doerig, N. & Holtforth, M. G. (2013). Self-Compassion in Depression: Associ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Rumination, and Avoidance in Depressed Outpatients. Behavior Therapy, 44, 501-513.

53.

Leary, M. R., & Tate, E. B. (2007). The multi-faceted nature of mindfulness. Psychological Inquiry, 18, 251-255.

54.

Martell, C. R., Dimidjian, S., Herman-Dunn, R. (2010). Behavioural Activation for Depression: A Clinician’s Guide. The Guilford Press.

55.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Identity, 2(2), 85-102.

56.

Neff, K. D. (2003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 223-250.

57.

Neff, K. D., Hseih, Y., & Dejitthirat, K. (2005).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4, 263-287.

58.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 139-154.

59.

Neff, K. D., & McGe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 225-240.

60.

Raes, F. (2011).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Symptoms in a Non-clinical Sample. Mindfulness, 2, 33-36.

61.

Ross, S. R., Canada, K. E., & Rausch, M. K. (2002). Self-handicapping and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Medi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 1173-1184.

62.

Silk, J. S., Steinberg, L., & Morris, A. S. (2003).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 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s behavior. Child Development, 74, 1869-1880.

63.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 Methods 7, 422-445.

64.

Sirois, F. M. (2014). Procrastination and Stress: Exploring the Role of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13(2), 128-145.

65.

Sirois, F. M. & Stout, D. (2011). When knowing better doesn’t mean doing better: Understanding the roles of procrastination and self-blame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nurses. Paper presented at the 7th Biennial Conference on Procrastination, Amsterdam, The Netherelands.

66.

Solomon, L. J., & Rothblum, E.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 behaviou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504-510.

67.

Stead, R., Shanahan, M. J., & Neufeld, R. W. J. (2010). “I will go to therapy eventually”: Procrastin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 175-180.

68.

Stöber, J., & Joormann, J. (2001). Worry, procrastination, and perfectionism: Differentiating amount of worry, pathological worry, anxiety, and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 Research, 25(1), 49-60.

69.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 454-458.

70.

Van Dam, N. T., Sheppard, S. C., Forsyth, J. P., & Earleywine, M. (2011).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5, 123-130.

71.

Williams, J. G., Stark, S. K., & Foster, E. E.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self- compassion, motivation, and procrastin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4(1), 37-4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