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간의 관계에서 흡연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흡연 동기는 측정도구의 5가지 하위요인을 모두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재 흡연하고 있는 청소년 195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흡연동기, 니코틴의존을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동기의 5가지 하위요인 중 휴식 및 지루, 습관적 흡연 등 2가지 하위요인은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부적 정서통제, 지적 자극, 사회적 매력 등의 하위요인들은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곤란이 휴식 및 지루, 습관적 흡연의 흡연동기에 의해서 니코틴의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moking Motiv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to adolescent smokers. All 5 sub factors of Smoking Motivation Questionnaire(SMQ) used as a mediating factors. For this study, a total of 195 adolescent smokers comple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moking Motivation, Nicotine Depend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ed for Pleasurable Relaxation and Habitual Smok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However, Need for Negative Affect Control, Need for Mental Activity, Need for Social Appeal did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ffect Nicotine Dependence indirect, through Need for Pleasurable Relaxation and Habitual Smokin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25명의 대학생들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 인지적 취약성, 경험회피, 그리고 우울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과 경험회피가 연속매개하였다. 또한 완전매개 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취약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내적 경험 수용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adult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was mediated by cognitive vulnerabiliti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 total of 325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cognitive vulnerabili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a full-mediation model demonstrated a better model fit than a partial-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focusing interven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l experience acceptance capacity, as well as on cognitive vulnerabilit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구성(독립, 관계), 역기능적 태도(성취, 의존)와 자기낙인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역기능적 태도 처치가 상담이점 교육 처치에 비해 심리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자기낙인을 줄이고 상담의도를 증가시키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일반 성인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여 자기구성, 역기능적 태도와 자기낙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립적 자기구성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역기능적 태도(성취, 의존)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계적 자기구성과 자기낙인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성차를 분석한 결과, 낮은 독립적 자기구성 수준이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고, 자기구성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여성의 경우 성취, 의존 역기능적 태도 모두 자기낙인을 추가 설명한 반면, 남성의 경우 성취 역기능적 태도만이 추가설명력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유능, 관계적 자기와 관련된 역기능적 신념을 수정하기 위한 유능성, 관계성 역기능적 태도 처치 집단을 구성하여 상담이점 교육 처치와 비교하였다. 총 71명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사전, 사후, 추후(일주일 후) 시기에 자기낙인, 역기능적 태도, 상담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세 처치 집단에서 시간에 따른 개선 효과가 나타났지만 처치 집단 간 차이,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별로 측정치 변화량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처치의 차별적 경향이 나타났다. 역기능적 태도 처치 두 집단(유능성, 관계성)은 역기능적 태도가 감소함에 따라 자기낙인도 감소하고, 자기낙인이 감소함에 따라 상담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상담이점 교육 집단에서는 이러한 상관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lf-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elf-stigma associated with seeking counseling. The role of self-construal and dysfunctional attitude in the process of self-stigmatization was examined, and whether the change in dysfunctional attitude increases the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by reducing self-stigma was investigated. In Study 1, with the participation of 209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strual, dysfunctional attitude, and self-stigma were examined. It showed that a higher level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ed to the lower level of self-stigma,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lational self-construal and self-stigma. The result also showed that a higher level of dysfunctional attitude(autonomy, sociotropy)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elf-stigma. It showed that self-stigma exerted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Study 2 explored the strategies for reducing self-stigma. For this purpose, the author developed two dysfunctional attitude treatment conditions, each of which was made to modify the dysfunctional belief in autonomous or sociotropic self and was then compared to the educational treatment with counseling benefits that did not directly handle self. Total 71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self-stigma, dysfunctional attitude, and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were measured at three times(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a week following the treatment). The result showed improvement for the three treatment groups after the treatment,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the groups. Howeve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measurements for different groups was examined, treatments showed a differential tendency. Diminished dysfunctional attitude correlated with decreased self-stigma and decreased self-stigma correlated with increased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for the two dysfunctional attitude treatment groups. Futhermore, the treatment effect of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was lasted more on dysfunctional attitude treatment groups than on education group.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329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남자 153명, 여자 176명)이 지연상태척도, CES-D 척도,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한국판 자기 자비심 척도를 사용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SPSS 18.0과 Mplus 6.12(Muthen & Muthen, 2012)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변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고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지연행동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우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지연행동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자기-자비와 우울, 자기-자비와 지연행동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남녀집단에 따라 자기-자비와 지연행동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셋째,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가 부분매개하였다.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남학생집단에서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나,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여학생집단에서는 자기-자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대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A total of 329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153 men, 176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s completed the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CES-D,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PSS 18.0 and Mplus 6.0 program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were used with data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research model,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for investigations into the differences in the interest models by gen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However,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the mean scores of procrastination and self-compassion and model fits. Thir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an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표준화 집단의 자료를 통해 K-WAIS-IV의 단축형 검사를 제시한 최아영 등(2014)의 연구 결과를 환자 집단에서 적용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환자 687명의 K-WAIS-IV 전체 검사 결과를 단축형에 적용하였다. 단축형 A와 B는 최아영 등(2014)이 제안한 소검사와 회귀식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각각 2개 소검사(산수, 상식)와 4개 소검사(산수, 상식, 행렬, 기호)로 구성되었다. 타당도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참가자 전체 집단에서 단축형 A와 B 모두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축형 검사의 실질적인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능 수준별로 집단을 분류하여 단축형 검사를 적용한 결과에서도 타당하지 않았고, 특히 지능이 낮은 집단에 단축형 A를 적용할 경우, 진단 일치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불안장애, 우울장애, 신경인지장애, 정신병적 장애, 정신 지체 등 진단 기준별로 단축형을 적용했을 때에도 모두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추후 연구 방향 제시와 더불어 단축형 검사 도구 사용에 대한 임상가들의 신중하고 보다 보수적인 자세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including validity, of the K-WAIS-IV short forms (SFs) proposed by Choe et al. (2014) when applied to psychiatric patients. The SF A and B are the two subsets (arithmetic, information) and four subsets (arithemetic, information, matrix reasoning, coding) that were introduced by Choe et al. (2014). The results of the validity test indicated that both SF A and B were not valid for the entire study group. In order to confirm the practical usefulness of the SF test, the group was classified by intelligence level; the SF test was applied, but it was not valid. Further, the diagnostic concordance rate was especially low when SF A was applied to the group with low intelligence. In addition, the SFs were not appropriate when administered for each diagnostic criterion such as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neurocognitive disorder, psychotic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cautious and more conservative attitude of clinicians toward the use of SF tools was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