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유머를 활용한 재평가가 대인관계 외상경험자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appraisal Using Humor on the Emotions of the College Student with Interpersonal Trauma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경험자를 대상으로, 각 재평가 처치에 따라 부정 정서를 촉발하는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정서조절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처치는 긍정유머 재평가와 부정유머 재평가, 인지적 재평가, 통제 조건으로, 참가자는 긍정유머 재평가 집단 21명과 부정유머 재평가 집단 21명, 인지적 재평가 집단 23명, 통제 집단 20명이었다.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을 사전에 통제한 후 모든 참가자는 유인가와 각성가 측정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재평가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유인가 측정치가 높았고 부정유머 재평가 집단에서 유인가 측정치가 가장 높았다. 각성가 측정치는 부정유머 재평가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더 낮았다. 이 결과는 대인관계 외상경험자들에게 부정유머 재평가를 포함한 인지적 재평가가 효과적인 정서조절 전략 중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
유머를 활용한 재평가, 인지적 재평가, 정서조절, 대인관계 외상, reappraisal using humor, cognitive reappraisal, emotional regulation, interpersonal trauma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reappraisal treatment conditions in the situation of triggering negative emotions in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that is positive humor reappraisal group (n = 21), negative humor reappraisal group (n = 21), cognitive reappraisal group (n = 23) and control group (n = 20).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valence and arousal measur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ree reappraisal groups had higher valence measu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valence measure was the highest in the negative humor reappraisal group when negative emotions were triggered. And the level of arousal was lower in the negative humor reapprais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cognitive reappraisal, including reappraisal of negative humor, is effective to regulate negative emotions in interpersonal situations.

keywords
유머를 활용한 재평가, 인지적 재평가, 정서조절, 대인관계 외상, reappraisal using humor, cognitive reappraisal, emotional regulation, interpersonal traum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