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외부적 섭식과 정서적 섭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Inhibition Control Training on High Calorie Food Intake in Dieters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훈련 이후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영향이 참가자들의 정서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실험에서 음식 갈망 유도 과제를 실시하였고 해당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음식갈망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하여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모의 맛 과제를 통해 초콜릿 섭취량을 측정한 후, 두 집단 간 초콜릿 섭취량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정서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수준의 조절 효과를 조절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 갈망 유도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은 증가하였다. 둘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의 훈련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초콜릿 섭취량이 더 적었다. 셋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이 초콜릿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정서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했지만 외부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 갈망 상황에서 부정정서로 인해 야기되는 정서적 섭식의 경우, 자동적인 수준에서 음식을 억제하도록 하는 억제통제훈련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inhibition control training, food craving, emotional eating, external eating, moderating effect, 억제통제훈련, 음삭갈망유도, 정서적 섭식, 외부적 섭식, 조절효과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s the impact of inhibition control training on high calorie food intake on dieters after inducing food craving.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impact is dependent on the participants' levels of emotional eating and the level of external eating. And participants were women in their 20s. All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crave food through the task of inducing food hunger, and the degree of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and food hunge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 before and after the task, negative emotion and food craving increased; (2) after inducing food craving, chocolate intake was lower in the training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ating on the inhibition control training (on chocolate intake after inducing hunger) was significa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 eating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emotional eating caused by negative emotions, inhibition control training may be more effective at an automatic processing level.

keywords
inhibition control training, food craving, emotional eating, external eating, moderating effect, 억제통제훈련, 음삭갈망유도, 정서적 섭식, 외부적 섭식, 조절효과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