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상의 새로운 측정 기법인 역상관 기법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자기상을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얼굴 자기상이 자기(self)와 관련된 성격특성 및 심리적 부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자기상을 생성하기 위해 본인과 유사한 이미지를 고르는 양자택일의 역상관 기법을 활용한 자기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성격특성과 심리적 부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존중감 척도, 사회불안 척도(SAS-A), HEXACO-60의 하위척도 중 외향성 척도, 부모 및 또래 애착 검사 개정본(IPPA-R), 소속감 지향성 척도(BOS),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 그리고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얼굴 자기상 긍정값은 자기존중감 및 외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또래 애착의 하위 요인인 화 및 소외감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부적응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visualize early adolescent self-image using reverse correlation (RC) method, a new measurement method for self-image examinatio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ized self-image (facial self-image),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self,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82 sixth-grade students. To generate facial self-image,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two-image forced choice RC task where they selected an image that bore a stronger resemblance to themselves.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self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measured us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10 items from the HEXACO-60,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Revised-Version, the Belongingness Orientation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and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Scale for Korean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e value of adolescent facial self-im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extraversion. (2) The positive value of adolescent facial self-im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and alienation of peer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positive mental health.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 facial self-image and social desirability.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