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주도성과 친화성 특성에 따른 병리적 자기애의 암묵적․명시적 자존감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n Pathological Narcissism related to Agency and Communion

초록

본 연구는 병리적 자기애의 표현형인 자기애 웅대성 집단과 자기애 취약성 집단을 대상으로 실패 경험에서 암묵적 및 명시적 자존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울러 자기애 웅대성이 높은 사람은 이상적인 자기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따라 주도성 자기애와 친화성 자기애로 나뉠 것이라는 주도성-친화성 모델에 따라, 병리적 자기애와 주도성(Agency) 및 친화성(Communion)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03명에게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를 실시한 후, 자기애 웅대성 집단(16명)과 자기애 취약성 집단(15명), 통제 집단(17명)을 선정하였다. 암묵적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주도성과 친화성 각각의 단어로 구성된 암묵적 연합 검사(주도성 IAT, 친화성 IAT)를 제작했으며 명시적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 자존감 척도(RSES)를 사용하였다. RSES와 IAT를 실시한 후 해결 불가능한 애너그램 과제를 제시하여 실패 경험을 유도하였고 RSES와 IAT를 반복 측정하여 자존감 변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병리적 자기애의 표현형에 따라 암묵적 자존감 변화의 방향이 달랐다. 특히 주도성 IAT에서는 자기애 웅대성 집단이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친화성 IAT에서는 자기애 취약성 집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병리적 자기애 집단의 자존감이 불안정하며, 표현형에 따라 실패 경험에 대처하는 기제가 다름을 보여주는 한편, 병리적 자기애가 주도성 및 친화성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keywords
주도성, 친화성, 병리적 자기애,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 Agency, Communion, Pathological Narcissism, Implicit self-esteem, Explicit self-esteem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changes in the experience of failure in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and the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which are the phenotypes of pathological narcissis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gency-communion model, people with high narcissistic grandiosity were divided into agency narcissism and communion narcissism according to the means to maintain their ideal self-im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agency and communion was conducted. After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PNI) was administered to 303 university students,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n = 16),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n = 15), and control group (n = 17) were selected. To measure implicit self-esteem,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Agency IAT, Communion IAT) consisting of each word of agency and communion was produced, an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was used to measure explicit self-esteem. After RSES and IAT, unsolvable anagram tasks were presented to induce failure experiences, an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esteem was examined by repeatedly measuring RSES and IA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implicit self-esteem chan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henotype of pathological narcissism. In particular,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gency IAT, whereas the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mmunion IAT. It shows that the self-esteem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tic group is unstable, while different phenotypes show different mechanisms for coping with failure experiences. This suggests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is associated with agency and communion.

keywords
주도성, 친화성, 병리적 자기애, 암묵적 자존감, 명시적 자존감, Agency, Communion, Pathological Narcissism, Implicit self-esteem, Explicit self-esteem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