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코로나 19)의 장기적인 팬데믹 동안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들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코로나 19 관련 여러 가지 스트레스 및 불안 반응들을 다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Taylor 등(2020b)이 개발한 36문항의 COVID Stress Scales(CSS)는 연구와 임상 실무의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 527명을 대상으로 CSS의 요인구조, 내적 일치도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SS의 원저자들이 보고한 CSS의 원래 개념화 및 요인구조, 그리고 다른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요인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19의 위험에 대한 공포, 사회경제적 결과에 대한 공포, 오염에 대한 공포, 외국인 혐오, 외상적 스트레스증상, 그리고 강박적 확인 및 안심추구 등으로 이루어진 6요인 모형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각 요인에 기초한 6가지 하위요인들의 내적 일치도는 양호하였고, CSS의 하위요인들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역시 전반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CSS가 한국 성인들이 코로나 19와 관련하여 겪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불안 관련 반응들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people are suffering from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the long-term pandemic of COVID-19. In this context, the 36-item COVID Stress Scales (CSS) were recently developed by Taylor and colleagues (2020) to measure COVID-19-related stress and anxiety responses. This scale has been drawing much attention for its utility in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SS in a sample of 527 Korean ad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fit of the alternative factor models, based on the original conceptualization and factor structure of the CSS reported by the original developers and the result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m, a 6-factor model consisting of fear of COVID-19-related dangerousness, fears of socioeconomic consequences, fear of contamination, COVID-19 xenophobia, symptoms of traumatic stress about COVID-19, and compulsive checking and reassurance seeking,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collected dat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CSS was good, and thei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These results support the CSS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various stress and anxiety responses related to COVID-19 experienced by Korean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