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충분한 골량과 골질을 가지고 있는 무치악부위에서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이용한 치료법은 장기간 높은 성 공률을 보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연령증가와 함께 치아 상실후 치조골의 흡수, 위축 또는 외상, 질 병등으로 악골의 일부를 상실한 경우, 상악동과 하치 조신경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등으로 인해 임플랜트 식립에 부적당한 골양과 골질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 한 조건에서 식립된 임플랜트의 성공률은 많이 감소하 게 된다. 그래서 식립전 최적의 골상태를 만들기 위하 여 골이식재을 이용한 골이식술을 시행하는 것이 추후 임플랜트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 고 있다. 여기서 많은 임상가들은 골이식재에 초점을 맞춰 어 떠한 골이식재가 최적의 골 증대를 이룰 수 있는 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학자들 사이에서도 골형성 능력이 뛰어난 이식재를 찾고자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 성골등 다양한 종류의 골이식재의 골형성 능력에 대한 비교연구를 시행하고 있다1,2). 그러나 골이식에 대한 많은 성공적인 보고에도 불구 하고 어떠한 형태의 골이식재를 사용할 것인가, 어떠 한 수술기법을 선택할 것인가, 골이식 후 최상의 임플 랜트 식립시기는 언제인가, 골이식된 부위에 식립된 임플랜트는 과연 안전한가 등등 아직까지 많은 의문점 들이 남아있다. 이러한 해결되지 않은 의문점이 있음 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골이식 재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의 골이식술이 임플랜트 치료 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생존율 또한 높게 보고되었지 만 장기간의 추적연구를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임상가들은 경험적으로 골이식재의 선택 과 골이식술 에 따른 예후를 판정한다. 이러한 골이식과 관련된 임플랜트의 예후에 대해 인 체실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실험이나 임플란트 생존율에 대한 임상 추적연구을 통하여 알 수밖에 없 다. 이에 본 저자는 최신 문헌검색을 통해 비교적 장기 간 추적연구를 시행한 논문을 선별하여 골이식에 따른 임플랜트의 예후에 대해 요약 정리하여 많은 임상가들 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