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211
고은빛(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현정(서울여자대학교) 2022, Vol.22, No.1, pp.109-132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109
초록보기
초록

대학기록관은 국가기록원이 시행하는 기록관리 기관평가에서 평가 대상으로 지정된 2016년 이래로 타 기관 유형과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미진하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의 기록관리 수준의 향상을 위해 위험관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와 사후 인터뷰를 통해 대학기록관의 위험관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학기록관 위험관리의 문제점과 한계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위험관리에 관한 법적 효력을 강화하고, 관련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대학기록관 위험관리의 문제점 진단과 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셋째, 독립기구로서의 대학기록관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전문적⋅적극적으로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넷째, 대학기록관의 위험관리 실무를 반영한 표준 및 매뉴얼을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기록원, 대학 간의 협력, 개별 대학 등이 모두 기여해야 한다. 다섯째,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여 위험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관장과 조직 구성원들의 대학기록관 및 기록관리에 관한 인식을 고취하여, 기록관리 및 위험관리 업무 수행에 협조를 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records management by enhancing the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Through surveys and post-interviews, the current status of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limitations in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were made. First, the legal effects of risk management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matters related to risk management should be stipulated. Seco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actively intervene to identify problems in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problem-solving. Third, the identity of university archives as independent organizations should be secu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and active records management tasks. Fourth, standards and manuals reflecting risk management practices for university archives should be prepared. Fifth, a sufficient budget must be secured to meet all necessary requirements for risk management. Lastly, cooperation in the performance of records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tasks should be achieved by raising awareness of university archives and their records management tasks among the heads of the institutions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212
이해영(명지대학교) ; 김은영(명지대학교) ; 남경희(공주시청) ; 이미라(대전보건대학) ; 김영은(명지대학교) ; 김현지(명지대학교) ; 이은화(명지대학교) ; 전혜영(명지대학교) ; 최정윤(명지대학교) 2007, Vol.7, No.2, pp.25-42 https://doi.org/10.14404/JKSARM.2007.7.2.0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항목들을 선정하여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세 곳의 다양한 기록관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로 정보서비스 평가를 시행하였다. 대상 기록관에 대한 방문, 관찰을 통해 평가 항목별로 검토하여 서비스의 현황과 부족한 점, 문제점 등을 평가해 보았다. 기록관들은 전문직원 부족, 규정 등 체제 및 열람실 환경 미비, 서비스보다 보존 중심의 정책 및 홍보 부족 등의 문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기초연구로, 이를 토대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규모의 평가 및 실제 개별 기록관에서의 평가 실시, 평가항목 보완 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evaluation criteria of information services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were prepared. Using those criteria, service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re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s a case study. By visiting and observing th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current status, weakness,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Identified problems include limited professional staff, lack of policy, systems and reading room facilities, emphasis on retention rather than services, and weak outreach program. This is a preliminary study, and larger scale evaluation is suggest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in other centers and supplementary evaluation criteria.

213
최주호((주)세미콘네트웍스) ; 이재영((주)세미콘네트웍스) 2012, Vol.12, No.1, pp.7-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1.007
초록보기
초록

전자기록물의 이관할 때, 전자기록물의 필수 메타데이터의 검증과 실제 문서에 있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증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물에 포함된 다양한 형식의 전자파일 중에서 본문파일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한 후 이관되는 메타데이터 항목과 비교 검증을 위한 기술 개발을 연구하였다. 해외에서 개발된 추출 도구와 달리 국내 전자결재 형식을 감안하여 첨부된 본문파일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기록물 문서 메타항목에 저장된 원 메타데이터와 추출 메타데이터간 비교 검증을 수행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Abstract

When migrate electronic records, the validation of the required metadata in electronic records and verified with the metadata in the document are also important.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and implements a tool to extract data from files in various formats and use them to validate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files in electronic records. Compared to other metadata extraction tools, especially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the standard form of documents used in Korean government is taken into account and metadata is extracted from the content of files. The tool compares the extracted data to encapsulated metadata for validation.

214
왕호성(국가기록원) ; 설문원(부산대학교) 2017, Vol.17, No.3, pp.23-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3.0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조사에 의하면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전체 행정정보시스템의 수는 18,000여 종이 넘는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모든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기록이라고 선언하고 있지만, 현행 전자기록관리정책으로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세트 기록의 진본성은 기록의 내용, 구조, 맥락뿐 아니라 외형과 기능을 함께 보존함으로써 확보되며, 데이터세트를 전자객체가 아니라 전자기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데이터세트 기록의 재현 및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모형과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over 18,000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have numerous different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lthough every dataset that is created and maintained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is declared as a collection of records according 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curr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cannot cover dataset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for dataset records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It emphasizes the necessity to preserve the appearance and behavior (function) of database systems to ensure the authenticity of dataset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emulation” as a representation and long-term preservation methodology for dataset-type records. It also suggests a dataset records model.

216
강대신(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박지영(연세대학교) 2004, Vol.4, No.2, pp.92-117 https://doi.org/10.14404/JKSARM.2004.4.2.09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Korea has the glorious documentary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Memory of the World, from old times. But We had been felt into serious situ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ome records of late years, through rapid changes of society in modern history. Fortunately, in 1999, “law of archives management in public sector” was enacted but It is some difficult to apply to field. Accordingly, We studied archives laws and record management systems, education systems in Japan and China, neighborhood countries and compared them with Korea's. Life cycle of Gathering, Managing, Using records & archives is reflected in China's archives law, “Dangan” and It is useful to referred to Korea. On the other hand, Japan and Korea's archives law focus on administering and capturing records and archives. In case of Management agency of archives, China has a linear managing system from state to regional agency and Japan and Korea have different system in State and Region. We recommend following items ; reform archives law, status of goverment archives, professional education and arrangement etc.

217
이은주(동의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2020, Vol.20, No.4, pp.129-1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조직의 의미와 지식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기록조직과 관련된 그간의 연구성과를 분석하여 학문적 공과(功過)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조직의 범주로 간주되는 150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이들로부터 정제된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이를 대상으로 기록조직에 사용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용어 분석에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통해 통시적인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 등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조직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함께 방법론이나 연구대상, 연구주제가 갖는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studies on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published in Korea. In particular, it will serve a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this area of research to the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country’s records management field. To this end, 150 journal articles related to the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were gathered. After extracting refined keywords from the titles and author-assigned keywords, terminology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one hand, terminology analysis (frequency an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frequently discussed top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study revealed the detailed contents regarding the two main topics and their meanings.

219
설문원(부산대학교) ; 천권주(학생중앙군사학교) 2005, Vol.5, No.2, pp.49-72 https://doi.org/10.14404/JKSARM.2005.5.2.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기록의 계층구조와 유형을 조사 분석하고, 전자기록의 각 계층 중 관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계층인 기록철(records folder)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국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위한 기능요건"을 기준으로 전자기록의 계층모형 및 기록철 관리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표준에서 제시한 전자기록의 계층구조를 가상의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각 계층의 의미를 분명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진사례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분류체계에서 전자기록철의 개념 도입 시 고려해야할 점, 전자기록철의 개시와 종결 기준 설정, 전자기록권(part) 개념의 도입 등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electronic records classification and suggest managing requirements for electronic folder as basic entity for ERM. This present study begins with analyzing th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folders based on the Requirements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Functional Requirements of U.K. It designs some examples of classification structures for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electronic folders, components and markers. Finally, it analyses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environments including application of electronic folder concept, principles of folder open and closure, and introduction of electronic part entity for efficient folder management.

220
임진희(명지대학교) ; 최주호((주)이산티에스) ; 이재영((주)이산티에스) 2014, Vol.14, No.3, pp.55-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055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공공기록의 디지털 컴포넌트를 장기보존하면서 다양한 기능성을 충분히 재현해내기 위해서는 에뮬레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대표적인 해외의 에뮬레이션 프로젝트인 CAMiLEON, KB, Planets, KEEP 등에 대한 사례를 통해 디바이스 에뮬레이션, 운영체제 에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에뮬레이션 등의 전형적인 에뮬레이션 방안을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디지털 컴포넌트 포맷 현황을 살펴본 결과 아래아한글문서와 엑셀문서가 전체 디지털 컴포넌트의 90프로에 가까운 비율을 보인다는 점과 파일의 확장자와 실제 내부 포맷이 상이하게 관리되고 있기도 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아래아한글문서와 엑셀문서 등 주요 포맷들이 문서보존포맷으로 변환되어 보존될 경우 상실하게 되는 기능성과 렌더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운영체제 에뮬레이터와 애플리케이션 에뮬레이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이들 문서의 기능성을 손실없이 재현해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하여 에뮬레이션 전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emulation strategy in the long-term preservation for the digital components of Korean public agencies. First, this study analyzed four major emulation projects that were conducted in the world, such as CAMiLEON, KB, Planets and KEEP. Second, it compared the three different emulation approaches, such as device emulation, OS emulation and application emulation. Third, it searched all the digital components that one public agency produced during the last six years. Through the search,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HWP and XLS format files comprised around 90% of the files. Fourth, it examined the functionalities of the formats, which may have been lost when the format was converted to PDF/A. Last, this study introduced the two prototype emulator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One is a type of OS emulator, while the other is a type of application emulato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