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K-WAIS 표준화 과정에 사용된 표집을 대상으로 10개의 소척도들에 대해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지식척도 문항들은 비교적 높은 문항적격도를 보여주었으나 높은 난이도의 문항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빠진곳찾기와 숫자외우기 척도는 비교적 양호한 문항적격도와 고른 난이도를 보여주었고 내적신뢰도도 높았다. 차례맞추기 척도의 문항들은 대체로 양호한 문항적격도를 보이고 있으며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까지 골고루 포함하고 있고 새로제작한 문항들의 신뢰도들도 높았다. 어휘문제 척도의 문항들은 문항 수를 줄였는데도 양호한 문항적격도와 고른 난이도를 보여주었다. 토막짜기 척도와 산수문제 척도도 양호한 문항적격도와 고른 난이도 그리고 높은 내적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모양맞추기 척도의 문항들은 다소 쉬운 문항들로만 구성되어 있어 높은 지능집단의 변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이 드러났다. 이해문제와 공통성문제 척도의 문항들은 고른 난이도와 양호한 문항적격도 그리고 높은 내적신뢰도를 보여주었다. 공통성문제 척도문항들은 난이도와 관련하여 문항배치에 다소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Item analysis has been done on 10 Wechsler subscales using standardization data of korean version of the WAIS-R. Items in the information subtest showed relatively high item-total correlations, but they lack of some difficult items. The Picture Completion and Digit Span subtest turned out to have comparatively high item-total correlations, a wide range of difficulty level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Items of Picture Arrangement showed favorable item-total correlations, cover a large range of difficulty lev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newly constructed items was also satisfying. Items of the Comprehension subtest were highly reliable and consisten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items were reduced. The subscale Block Design and Arithmetic also showed high item-total correlations, a wide range of difficulty level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Item analysis of Object Assembly subtest revealed that they are composed of relatively easy items and therefore might have some difficulty in discriminating high intelligence group. Items in the Comprehension and Similarity subtest showed high item-total correlations, a wide range of difficulty level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but the item difficulty indices of the scale Similarity don`t quire correspond to the order in which the item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K-WAIS(1992) 결과의 성차를 밝히고자 표준화 과정의 규준집단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연구 대상자는 16세에서 64세의 남녀 1,396명이었고 언어성, 동작성, 전체 지능지수와 11개 소검사에 대한 변량분석과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성, 동작성, 전체 지능지수에 있어서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별로는 국졸집단에서 남성의 언어성, 동작성, 전체 지능지수가 여성의 지능지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20-34세군을 제외한 여성군이 언어성, 동작성, 전체 지능지수에 있어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소검사별로 분석해보면 기본지식과 빠진곳찾기가 모든 연령군에서 여성집단의 점수가 낮았고 바꿔쓰기에서는 여성 16-17세집단이 남성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초래한 가능한 요인이 검토되었고 이러한 결과를 보완하는 방책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sed the standardization data of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in an effort to examine sex differences on intelligence. Subjects were 1396 normal males and females whose age ranged from 16 to 64. VIQ, PIQ, Total IQ and 11 subscales were analized by ANOVA, MANOVA and ANCOVA. Th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on VIQ, PIQ, Total IQ and male subjects had higher VIQ, PIQ, Total IQ than female subjects in primary school educated group. All female age groups except 20-34 yrs group performed at lower level significantly than male age groups. All female age groups had lower scores than male groups on General Information and Picture Completion scales and 16-19 female age group gained higher score than same age male group. Possible variables induced to this present results were discussed and possible complemantary stragies were suggested.
청소년기 이후의 연령에 따른 지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WAIS 표준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언어성 및 동작성 소검사 모두에서 20-24세 이후에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능검사의 수행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별 교육수준분포의 차이를 통제한 결과, 언어성, 동작성 검사 모두에서 수행의 저하속도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기본적인 수행저하의 양상은 변하지 않았다. K-WAIS 소검사환산점수를 종속변인으로, 교육수준과 연령을 예측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교육 수준이 언어성 소검사의 경우 54.5%, 동작성 소검사의 경우 49.9%, 그리고 전체 소검사 합에서는 56.5%의 변량을 설명하였으며, 연령 변인을 추가하였을 때, 언어성 검사는 4.1%, 동작성 검사는 13.1%, 전체검사는 8.1%의 유의미한 설명적 증가를 보여 연령에 따른 수행의 저하는 교육수준의 차이로만 설명될 수 없음을 시사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ge associated change in IQ in adulthood by analysing K-WAIS standardization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aled scores of verbal and performance subtests declined steadily with age. When education level was controlled, the rate of decline in scaled scores was considerably reduced, but the basic pattern of decline with age remained unchang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as predictors of scaled scores revealed that education accounted for 54.4%, 49.9%, and 56.5% of variance in the sum of scaled scores of the verbal subtests, performance subtests, and all subtests, respectively. Adding age as another predictor led to an increment of 13.1% of variance accounted for in the sum of performance subtest scaled scores, and 4.1% in the sum of verbal subtest scaled scores. Age increased prediction of the total sum of scaled scores was 8.1%.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mean that age associated changes in K-WAIS performance could not be accounted for by educational attainment alone.
본 연구는 KWIS 분산도 분석을 통한 인지기능을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정신분열증 환자 179명, 조증 환자 48명, 신경증 환자 50명으로서, 환자들의 선정은 DSM-Ⅲ-R(APA, 1987)의 정신분열증과 조증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과 전문의가 최종 진단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KWIS 소검사간 분산도 분석에 의하면 어휘문제 분산도 분석과 언어성검사 평균 분산도 분석에서 정신분열증 집단은 조증집단이나 신경증 집단에 비하여 이해문제 평가치가 가장 낮았다. 소검사내 분산도 분석에 있어서는 세 집단 모두 숫자문제 소검사에서 효율성이 제일 높았고, 어휘문제 소검사에서는 효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정신분열증 환자와 조증환자의 인지기능과 관련지워 논의되었고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기술되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cognitive functions on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KWIS) scatter analysis. Subjects were 179 schizophrenics, 48 bipolar disorders with manic episode, 50 neurotics diagnosed by psychiatrists based on criteria by DSM-Ⅲ-R(APA, 1987). Through the vocabulary scatter analysis and verbal mean score scat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chizophrenics scored significantly the lowest in comprehension subtest compared with the bipolar disorders with manic episode and the neurotics. In the analysis of efficiency, all group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digit span subtest and the lowest efficiency in vocabulary subtes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gard to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chizophrenics and the bipolar disorders with manic episode and were described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 of the results.
본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외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CES-D의 한국판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2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척도의 일차적 목적인 일반인을 위한 간편한 우울 척도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대구, 대전, 경주, 목포 지역에 거주하는 총 220명에게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척도의 내적 일치도가 .89로 나타남으로써 신뢰도가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한편, 요인 분석을 한 결과 원래의 미국판 CES-D의 요인 구조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 주었다. 또한 척도의 공존 타당도론 살펴 보기 위하여 간이 정신 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인 우울 척도와의 상관을 산출한 결과, r=.6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CES-D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만족스러운 수준임을 보여 주고 있다. 연구 2에서는 척도가 부차적으로 임상적 우울증에 대한 간편한 선별 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살피기 위하여 우울증, 정신분열증, 알콜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울 환자 집단(M =30.7)의 척도 점수가 정신 분열증 환자 집단(M=20.8)과 알콜의존 집단(M=20.3)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7). 이러한 결과는 척도가 우울증 환자에 대한 간편한 선별 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판 CES-D가 일차적으로는 일반인을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차적으로는 임상 환자를 위한 선별 검사로서 유용함을 암시 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을 논의하면서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이 시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CES-D in a preliminary level. For this purpose, two independent studies were pursued. In Study 1, employing general popul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CES-D were examined.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220 residents in diverse areas such as Taegu, Taejon, Kyongju, and Mokpo. The results revealed that (1)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 Korean version of CES-D was .89, that (2) a Korean version of CES-D consisted of 4 factors showing similar factor structure to that of the original CES-D (Radloff, 1977), and that (3) Pearson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ubscale of a Korean version of SCL-90-R was .69. These results, as a whole, suggested that a Korean version of CES-D was satisfactory in terms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general population. In Study 2, participants were clinical patients diagnosed by psychiatrists as depressives, schizophrenics, and alcohol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pressives(M=30.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chizophrenics(M=20.8) and alcoholics(M=20.3) in terms of CES-D scores(P<.007). Thu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Korean version of CES-D could be used as a convenient screening test for clinically depressed patients as well. Taken togeth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Korean version of CES-D could be a valuable depression scale primarily for general population and secondarily for clinical pati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made.
본 연구는 우울증환자가 BGT도형을 모사하는데 있어서 다른 진단집단과 어떻게 다른 수행을 보이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고 이를 감별진단하는데 유용한 준거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도구로는 Hutt의 채점체계인 HABGT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인집단으로 대학생집단과 BGT가 감별목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뇌손상환자를 대조집단으로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울증환자는 정신병리척도와 접근-기피척도의 총점에 있어서 다른 두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쇄곤란과 높이 등 몇몇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상인보다는 병리적인 점수를, 뇌손상환자보다는 덜 병리적인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점에 의한 집단의 분류는 그다지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세 집단을 변별하는 더욱 효율적인 준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항목에 따른 집단별 패턴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개의 판별함수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생집단과 뇌손상환자를 가장 잘 변별해주는 함수 I은 단편화, 지각상 회전, 각의 변화, 곡선곤란등을 특성으로 하였고, 우울증환자와 다른 두 집단을 잘 변별해주는 함수 II는 지각상회전, 단편화, 각의 변화, 폐쇄곤란등을 특성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수도출에 사용된 준거집단의 경우 함수에 의한 분류의 정확도는 83.00%였고, 교차타당화집단의 경우 78.00%로 판별함수에 의한 분류는 매우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trie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BGT performance on depression and to distinguish from other diagnostic groups. The BGT copy phase of 50 depressed patients were analyzed. 50 college students and 50 brain-damaged patients were used control groups. Hurt scoring method, Psychopathological Scale and Adience-abience Scale, was adapted to score dat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HABGT's total score among three groups. In the most items, the depressed patients were scored secondly among three groups except some items. But the result that only 20% of depressed patients was correctely classified when use scale's total score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by total score was not effective. In order to establish more effective norm,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two discriminant function were producted. Function I which differentiate college students and brain-damaged patients was characterized fragmentation, perceptual rotation, change in angulation and curvature difficulty. And function II which differentiate depressed patients and other two groups was characterized perceptual rotation, fragmentation, change in angulation and closure difficulty. A discriminant function using some items as prediction variables showed that 83.00% is successful in classifying the three groups used for criterion while 78.00% is successful in classifying the three groups used for cross validation.
본 연구는 알콜중독자의 인지적 손상과 이러한 손상이 경험에 따라 호전될 수 있는 정도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알콜과 관련된 문제때문에 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집단과 환자집단의 연령 및 교육수준에 따라 짝지워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Stark과제를 사용하였는데, 이 과제는 언어성 과제와 시공간적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실험 1에서는 알콜중독집단과 정상집단 간에 Stark과제에 대한 수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언어성 과제에서는 알콜중독집단과 정상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시공간적 과제에서는 알콜중독집단의 수행이 정상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알콜중독집단의 시공간적 과제에 대한 해결능력이 저하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 시공간적 과제와 관련이 깊은 뇌의 우반구가 알콜에 더 취약하다는 대뇌 우반구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알콜중독집단이 손상을 보이는 시공간적 과제에 대한 경험에 따른 과제수행의 호전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러한 호전이 다른 과제에 대한 전이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적 과제에 대한 인지적 손상이 경험에 의해 호전되었으며 이러한 호전은 새로운 과제에 대한 전이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ognitive deficit and experience-dependent recovery in alcoholi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is problem. Experiment 1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on Stark Task between alcoholic and normal subjects. Experiment 2 was to examine the recovery pattern and the possibility of transfer on Stark Task in alcoholics. The research hypothesis of interest in this study was : (1)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score on Stark Verbal Task between alcoholic and normal group. (2)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scores on Stark Visuo-Spatial Task between alcoholic and normal group. (3) There will be improved performance, if the alcoholics were repeatedly exposed to the original Stark Task. (4) The improved performance on Stark Task will be transfered to a new similar task. Alcoholic patient group and a matched normal control group were selected. The primary diagnosis of each patient was Alcohol Dependency. 2(alcoholic/control group)×2(young/old group)×2(verbal/visuo-spatial task) was employed as a research design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error scores on Stark Tas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alcoholic subjects' and control subjects' visuo-spatial error score. (2)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alcoholic subjects' and control subjects' verbal error score. (3) Alcoholic group was improved on the training task with repeated practice. (4) Enhanced performance improvement was transfered to a form of the Visuo-Spatial task with which alcoholic subjects were not yet familiar, the transfer version of the Stark Visuo-Spatial Task.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초기 지각과정이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지각조직과 관련된 변인들을 조작하여 그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정상인과는 달리 자극들을 제대로 조직화하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이미 조직되어 있는 자극들로부터도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해내지 못하였다. 또한 정상인은 자극들이 이미 조직되어 있는 조건에서는 방해자극이 제시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데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상당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초기 지각과정에서 자극을 분석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상인은 병렬과정에 의해 전체적으로 자극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조직화함으로써 처리해야 할 정보단위를 축소시킨다. 그러나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자극들을 전체적으로 보기 보다는 단편적이고 부분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서 정보단위를 정상인처럼 효율적으로 축소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데 정상인보다 더 많은 정보단위를 처리해야만 하며 따라서 수행이 손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arly visual perceptual process in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tasks with variables related to perceptual organ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schizophrenic subjects organiz the unorganized visual field less efficiently than normals and their information extracting ability from visual field is impaired significantly. Distractors have significantly more influence on schizophrenic patients than normals, so patients make significantly more errors with unorganized and organized stimuli, but normals make more errors only with unorganized stimuli. It i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s inability to organize visual field efficiently and of information extracting are due to their inability to deal with stimuli as a whole, which result in increasing informational units to be processed.
본 연구에서는 Treisman과 Souther(1985)의 탐색비대칭 현상을 사용하여 정상인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초기 시지각과정을 비교하였다. 이 현상은 시각탐색과제에서 동일한 자극이 탐색자극의 역할을 하는 조건과 방해자극의 역할을 하는 조건의 수행양상이 뚜렷하게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초기 지각과정에서 자극을 부호화할 때 기초단위로 사용되는 특성이 탐지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 단계에서 수행되는 자동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결과를 보면 정신분열증 환자도 정상인과 비슷한 양상의 탐색비대칭 현상을 보였다. 반응시간도 정신운동속도의 차이를 제거하면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오답수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많았고 오답의 양상도 달랐다. 정상인은 탐색자극이 있는 조건에서 탐색자극이 없다고 하는 오답이 많은 반면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탐색자극이 없는 조건에서 탐색자극이 있다고 하는 오답이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기초특성을 탐지하는 초기 지각과정이 정상인에 비해 비효율적이며 이 단계에서 작용하는 자동과정도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손상은 차후의 정보처리과정의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데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병적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상태지표가 아니라 정신분열증의 고유한 특성지표로 생각된다.
The search rate for a target among distractors may vary dramatically depending on whether the stimulus plays the role of target or distractor. The pattern of performance suggests parallel processing when the target has a unique distinguishing feature while it suggests serial self-terminating search when the target is distinguished only by the absence of a feature chat is present in all the distractors. Treisman and Souther(1985) refer to this pattern as a search asymmetry.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preattentive, automatic processes in schizophrenic patients. Search asymmetry in schizophrenia is similar to that in normals. But patients' detection accuracy was poorer than normals' and their error pattern was different from normal controls'. This suggests that preattentive and automatic process in schizophrenic patients funtions inefficiently. In this study, schizophrenic patients are all remitted. So, inefficient preattentive and automatic process in schizophrenics might be their trait marker.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증상으로 진단한 5-10세의 남자아동 15명에게 중추신경각성재인 Methylphenidate를 1일 몸무게 기준 0.5mg을 한달간 투약하여 치료 전과 치료 후 모-자 상호행동과 인지적 증상, 행동적 증상 등을 비교하였고, 치료시작 6개월 후 치료현황과 행동증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약물치료 한달 후 모-자 상호행동에서는 과제수행단계에서만 치료 후 아동과 어머니의 부정적-공격적 행동이 감소되었다. 인지적 증상을 연속수행과제로 평가한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오류수는 감소되었고, 기본적인 지각력을 평가하는 민감도(d')가 증가되었으며, 충동적인 반응성향을 평가하는 반응결정기준(β)은 감소하는 경향성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행동적 증상을 어머니가 평정한 결과 과잉활동성 정도와 가정상황의 문제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정신과적 문제행동을 종합적으로 평정한 행동조사표에서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단기간의 약물치료 후 지속적인 주의력이 일차적으로 호전되었고,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모-자 상호행동이 감소되었으나, 긍정적 우호적으로 변화되지는 않았고 행동적 증상의 변화도 두드러지지 않음을 알 수 있으므로, 약물치료와 병행하여 인지행동수정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약물치료 후 호전된 집단(N=6)과 호전되지 않은 집단(N=9)으로 나누어 두 집단을 잘 변별해주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인지적, 행동적 증상이 심할수록 호전된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따라, 부주의와 충동성 등 핵심적인 증상이 심하고, 이밖의 다른 복합적인 증상으로 발전하기 전인, 되도록이면 어린 나이에 빨리 이들을 진단하고 치료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on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o identify factors that might predict favorable response to the treatment, and also to study 6 months follow up. 15 ADHD boys(ages 5-10 years) were treated with metylphenidate(0.5 mg/kg per day) for 1 month and their mother-child interaction, as well as attention and behavior rating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were recorded through one-way mirror using video tape in the playroom for 10 minute free play and 20 minute task performance period. Then the videotaped interaction were ra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Class Matrix developed by Mash, Terdal & Anderson (1973). ADHD children's sustained attention were evaluated by computer programmed Continuous Performance Task(CPT), and their behavior problems were rated by their mother using Abreviated Conners Parent Rating Scale-revised(ACPRS-R), Home Situation Questionnaire(HSQ) and Child Behavior Check List(CBCL). Result indiacted that the percentage of negative-aggressive behavior of the ADHD children and mothers during the task performance perio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The ADHD children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rrors and an increase in the sensitivity level(d') and a decreasing tendency in the response criterion(β) after 4 weeks of stimulant medication. In the ratings of mothers on their children, hyperactivity and home situation behavior problems tend to decre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imulant medi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attention difficulties and negative asp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of ADHD children, but it does not bring about overall improvement behavioral symptoms, nor does it bring the level of mother-child interaction to that of normal children. In the analysis of variables discriminating the Improved(N=6) and the Unimproved group (N=9), younger age and more severe cognitive and behavioral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favorable response to stimulant treatme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HD.
본 논문에서는 제어 이론에 기초하여 대처 기제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시도되었다. 우선 제어 이론에 대한 간략한 개념적 설명이 제시된 후, 단순한 기계론적 제어 이론에서 벗어나서 인간에 적용 가능한 제어 이론에 기초하여 대처의 정의, 대처 자원, 대처 기능, 대처 양상, 대처 방식에 대한 제어 이론적 탐색이 시도되었다. 또한 이러한 탐색에 기초하여 대처 자원, 대처 기능, 그리고 대처 방식을 포괄하는 대처에 관한 3차원적 모델이 제안되었다. 이 모델에 의하면, 대처 자원으로는 개인적 대처, 사회적 대처, 그리고 종교적 대처로 구성되었다. 대처 기능으로는 문제 해결적 통제(효과기), 정보적 통제(탐지기), 동기적 통제(동기기), 그리고 의사결정적 통제(통제기)의 증대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대처 방식으로는, 앞에서 언급한 대처 자원과 대처 기능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대처 방식이 상정되었다: (1) 개인적 대처 자원. (효과기) : 적극적 대처, 소극적 철수, 계획적 문제 해결/정서 표출, 정서 억제 ; (탐지기) 행동적 주의 전환, 약물 의존, 적극적 망각, 부인/정보추구; (동기기) 고집, 긍정적 비교, 긍정적 해석, 동화, 가치 평가 절하, 체념/소망적 사고; (통제기) 자제, 자기비판/우유부단; (2) 사회적 대처 자원 : (효과기) 실질적 지원, (탐지기) 정보적 지원, (동기기) 동기적 지원, (통제기) 의사결정적 지원; (3) 종교적 대처 자원 : 종교적 대처. 한편, 본 모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대처에 관한 두가지 주요 모델(Lazarus 모델; Carver와 Scheier 모델)과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끝으로 본 모형의 특징을 논의한 후, 추후 연구에서의 시사점이 언급되었다.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coping mechanism based on a control theory. To begin with, a brief conceptual summary concerning control theory was presented. Then, based on a more applicable control theory to human behavior, various aspects of coping mechanism such as definition, resource, function, mode, style were explored. In addition, a comprehensive three dimensional model of coping mechanism was constructed concerning coping resources, coping functions, and coping styles. According to this three dimensional model, coping resources consisted of personal coping, social coping, and religious coping. And coping function is centered around to maximize the four basic functions of a control system : problem-solving control (effector), informational control (detector), motivational control (motivator), and decisional control (controller). Major coping styles, given the above mentioned coping resources and coping functions, include the following coping styles : (1) Personal Coping Resources ; active coping, passive withdrawal, planful problem-solving (effector); behavioral distraction, addiction, active forgetting, denial/information seeking (detector); perseverance, positive comparison, positive interpretation, accommodation, devaluation, acceptance/wishful thinking (motivator); restraint, self-criticism/indecisiveness (controller) ; (2) Social Coping Resources : Tangible support (effector), informational support (detector), motivational support (motivator), decisional support (controller) : Religious Coping Resources; religious coping. Further,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es between the present model and two other relevant models on coping(Lazarus & Folkman; Carver & Scheier) were presented. Finally,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model are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자기노출의 기능을 자기노출을 경험하는 피험자들에게 직접 물어 분석해 보려 했다. 친밀한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에서 자기 노출의 경험이 가장 풍부하리라는 가정하에, 남ㆍ여 대학생들에게 동성과 이성 친구에 대한 자기노출 경험을 기술하도록 했다. 얻어진 자료를 자기노출자와 수신자 및 성별로 분류된 관계의 유형별로 정리하고, 관계의 유형과 응답 범주들 사이의 관련성을 상응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신의 부적인 측면이나 고통스런 감정을, 답답하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경계가 분명한 폐쇄된 장소에서 털어놓는 것이 자기노출을 하는 사람의 원형적인 개념이었다. 노출을 한 뒤에는, 속이 편안하고 후련해졌다와 후회스럽거나 착잡했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에 반해 노출을 받은 뒤에는 위로하고 도와주고 싶었다와 동질감이나 동병상련의 정을 느꼈다는 반응이 전형적이었다. 자기노출이 둘 사이의 관계에 미친 영향으로는, 더 친해지거나 진정한 친구가 되게 했다는 반응이 많았다. 관계의 유형에 따라 자기노출 기능의 세부적인 차이가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노출자와 수신자 및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기노출의 기능으로 분리해서 논의되었다.
An attempt, based on the subjective reasons for self-disclosure, was made to analyze functions of self-disclosure. 122 college students described self-disclosure experiences in their close relationship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d correspondenc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prototypically, (1) people disclosure their personal difficulties and negative emotions, in closed boundary context, because of distress and bitterness, (2) after self-disclosure, there was not only a sense of relief but also a sense of regret and insecurity, but, (3) after receiving others' self-disclosure, there was an intention of help and a feeling of closeness or companion, (4) seif-disclosure made relationships more authentic, and (5) according to type of relationships,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functions of self-disclosure.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the present results.
암발병 가능성이 큰 사람과 심장병 발병가능성이 큰 사람의 성격특성은 차이가 있으며 때로는 대조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장애에 대한 성격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Eysenck와 Grossarth-Maticek의 가정을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폐암환자집단은 심근경색증 환자 및 정상통계집단에 비해 좀 더 외향적이고 신경증적 경향성 및 정신병적 경향성이 낮으며 Type 1 성격특성을 좀 더 많이 보일 것이다. 가설 II. 심근경색증 환자집단은 폐암환자 및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좀 더 내향적이고 신경증적 경향성 및 정신병적 경향성이 높으며 Type 2 성격특성을 좀 더 많이 보일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두 환자집단과 정상통제 집단 각각 27명씩 총 81명이었고 한국판 성격차원검사와 Grossarth-Maticek 성격검사가 실시되었다. 폐암환자와 심근경색증 환자집단 간의 성격특성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폐암환자 집단이 심근경색증 환자집단에 비해 좀 더 외향적이었고 Type 1 성격특성을 많이 보고하였으며 신경증적 경향성 점수는 낮았다. 두 환자집단과 정상집단 간의 성격특성을 비교한 결과, 심근경색증환자집단과 정상집단에 비해 폐암환자집단이 좀 더 외향적이었고 Type 1 성격특성을 많이 보였다. 6가지의 성격변인인 외-내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정신병적 경향성, 허위성, Type 1과 Type 2 성격특성 변인을 사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Type 1 성격특성, 외-내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순으로 투입되었고 세 집단에 대한 정확판별율은 64.2%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There is some evidence which suggesting personality traits which make a person prone to coronary heart disease(CHD) different from and in some cases are, contrary to those which make a person cancer-prone.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myocardial infarction(MI) based on the hypotheses of Eysenck and Grossarth-Maticek. Specifically,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I, compared to MI patients and control groups, patients with lung cancer will show more extraverted, lower neuroticism and psychoticism scores and more Type 1(or cancer-prone) personality tendencies. Hypothesis II, compared to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the control groups, MI patients will show more introverted, higher neuroticism and psychoticism scores and more Type 2(or CHD-prone) personality tendencies. Korean version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and Grossarth-Maticek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three groups : 27 patients with lung cancer, 27 MI patients and 27 normal controls. In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ng cancer and MI groups, the lung cancer group showed more extraverted, Type 1 personality tendency and lower neuroticism scores. In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patient group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lung cancer group showed more extraverted and Type 1 personality tendency than the subjects in the MI and normal control groups. The two patient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lassified by mean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together with 6 personality variables, namely, extraversion-introversion, neuroticism, psychoticism, lie(or social desirability), Type 1, Type 2 personality. Type 1 personality along with the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variables were selected and had been correctly classified in 64.2% of the case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문제를 보이는 국민학교 남자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중추신경각성제인 Methylphenidate로 한달 반 동안 치료한 후 인지ㆍ행동의 일차적 증상과 사회, 학습, 정서의 실제적인 적응측면에서의 변화 양상및 약물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치료 전과 치료 후를 각각 평가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자아개념, 사회적인 기술과 학습태도및 실제 학업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연속수행검사 및 아동행동조사표와 단축형Conners척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인 주의력, 과활동적인 문제행동, 학습태도, 부정적인 사회적 기술의 인지ㆍ행동적인 일차적 증상에서 뚜렷한 호전을 보였으나 자아개념이나 학업성적, 긍정적 사회기술등 종합적인 사회적응적 기능에서는 의미있는 향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아동의 자아개념이 높고, 행동문제가 적고, 학년이 낮을수록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활동의 인지ㆍ행동적인 일차적 증상은 단기간의 약물치료로도 호전될 수 있으나 사회, 학습, 정서에서의 부적응등 이차적 증상은 약물치료만으로는 변화가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stimulant medication, methylphenidate, on the cognitive and the behavioral symptoms and the emotional,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of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ADHD) children. Fifteen ADHD elementary school boys were treated with methylphenidate for one and a half month, and the secondary symptoms, social skill, learning, and self-concept, as well as the primary symptoms, attention and behavior, were ra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might predict favorable responses to the treatment, and found how the change of primary symptoms are related to that of the secondary symptoms. The Continuous Performance Task, the A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 self-concept questionnaire, a Social Skills questionnaire,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Rating Scale as well as percentile rank in class were examined. The short-term medication treatment resulted in clear improvement in the primary symptoms : the attentional problem, the hyperactive behavioral problems. However, in aspects of social adjustment, the self-concept, the percentile rank in class and the approptiate social skills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academic behaviors attitudes, and the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were improved. In addition, the children with higher self-concept, milder behavioral symptoms and the lower grades showed more favorable responses to the stimulant treatment. Therefor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secondary emotional, social and academic difficulties do not easily improve by the short-term medication treatment, even though the primary cognitive and behavioral symptoms of the ADHD can be reduced.
본 연구는 발표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연구에서는 57명의 피험자들이 발표불안 질문지에 의해 발표불안이 높은 집단(30명)과 발표불안이 낮은 집단(25명)으로 할당되었다. 그 결과 발표불안이 높은 사람은 발표때에 발표불안이 낮은 사람보다 불안에 대한 자기 보고, 생리적 반응 및 외현행동에서 보다 더 각성되었다. 또한 불안이 높은 발표자는 자기초점적 주의를 가진 반면, 불안이 낮은 발표자는 외부 초점적 주의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예비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HR 바이오피드백이 발표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발표불안이 높은 피험자를 HR 바이오피드백 훈련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하였다. 최종 분석에서, 각 집단의 피험자는 15명으로 모두 30명이었다. 분석 결과, HR 바이오피드백훈련 전에는 두 집단이 불안(주관적, 생리적 및 외현행동)과 자기초점적 주의의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HR 감소 훈련 후, 바이오피드백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불안의 정도와 자기초점적주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HR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relation of speech anxiety and self-focused attention. In preliminary study, subjects were 57 undergraduate students. Among them 32 subjects were high speech-anxious individuals and 25 subjects were low speech-anxious individu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igh speech-anxious group was higher than low speech-anxious group in self-report anxiety measures, physiological respons(HR), and overt motor behavior during public speaking performance. Also high anxious speakers pay attention to their self-focused cont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anxious speakers were more self-focused during their public speaking performance than low anxious speakers, which leading to less effective public speaking performance. The study was them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HR biofeedback on speech anxiety and self-focused attention. The high speech-anxious individuals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HR biofeedback training group and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There were 15 subjects i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R biofeedback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heir anxiety levels(self-report anxiety measures, HR, and overt motor behavior) and self-focused attention. Finally, implications, restric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흰쥐를 대상으로 위궤양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부위임을 시사하는 후외측핵군(PLA)을 손상하였다. 그 후 만성 활동 스트레스(A-S)절차를 실시하고 PLA손상이 만성 활동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했다. 피험동물을 PLA 손상군과 모의시술 통제군으로 나누어 시술하고 3일 간의 적응기간을 둔 후 4일 째 되던 날 하루 1시간 씩 제한급식을 실시하며 7일동안 활동바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후외측핵 손상집단은 모의시술 통제군에 비해 위궤양의 전체길이가 긴 경향을 보였다. 행동지표인 활동량, 체중감소, 물/먹이 섭취량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구금 등 전통적 스트레스 절차와 마찬가지로 활동 스트레스 절차에서도 PLA손상이 위궤양에 촉진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erolateral amygdala(PLA) lesion on chronic ulcer induced by activity-stress(A-S) procedure. The PLA is suggested to play an inhibitory role in stress-induced stomach ulcer. Albino rats were used as subjects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PLA-lesioned group and sham-operated control group. After 3 days of adaptation, they had a limited feeding schedule of one hour per day, and except for the feeding time they were always allowed to access to the activity wheel for 7 days. Results showed that PLA-lesioned group had a tendency of increasing ulcer in the A-S procedure, which was indicated by the increased total length of ulcer. Running activity, weight loss and food/water intake, which are behavioral indices,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 lesion plays an facilitatory role in activity-stress as well as in traditional restraint procedure.
본 연구는 naloxone과 열자극의 배쌍으로 생긴 역설적인 통각감소현상이 naloxone사전투여로인해 발생한 공포 때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발바닥 핥기, 일어서기, 튀어오르기까지의 잠재기를 통각에 대한 반응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날록손을 사전처치한 쥐들은 생리식염수를 처치한 통제 쥐들보다 튀어오르기 반응의 잠재기가 더 짧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발바닥 핥기 반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naloxone 투여 집단의 경우, 용량에 따른 차이가 세반응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항 우울제 약물검사에선, diazepam이 naloxone과 열자극을 배쌍지어 훈련시킨 쥐들의 발바닥 핥기 반응만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이 결과들은 공포가 naloxone과 열자극의 배쌍으로 생긴 역설적인 통각감소현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해준다.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paradoxical hypoalgesia induced by naloxone-heat pairings is due to fear elicited by naloxone pretreatment and the latencies with paw-lick, rearing, and jump were recored as an index of response to the pain. In the result of experiments, the rats pretreated with naloxone were tended to shorter latenceis than saline control rats in jump but, they di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aw-lick response. However, naloxone pretreated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the paw-lick latencies according to drug dosage. In the test of anxiolytic drug, diazepam did not influnced rearing and jump but, significantly reduced paw-lick latency in the rats trained with naloxone-heat pairings.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fear is important factor in the paradoxical hypoalgesia elicited by naloxone-heat pair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