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E-ISSN : 2733-4538
본 연구는 수형자의 성격평가질문지(PAI) 프로파일 특징을 알아보고 범법행위를 예언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상성인(N=229)과 교도소 수형자(N=229)에게 PAI를 실시하여 각 집단의 프로파일 특징을 알아보고 타당성척도를 제외한 나머지 18개 척도의 평균점수를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범법행위 예언지표를 구성하고 그 지표를 대학생과 정상성인 표준화표본에 적용하여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수형자 집단의 평균 프로파일에서 ANT척도가 가장 상승하였고, DRG, ALC, BOR, AGG 척도들도 함께 상승하였다. 범법행위 예언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정상성인과 수형자 집단을 가장 잘 변별하는 판별함수를 산출한 결과 DRG, ANT, MAN, SCZ, RXR, BOR, STR 등 7개 척도가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다. 분석표본과 검증표본에서의 분류정확률은 각각 83.92%, 79.39%, 두 표본의 전체 분류 정확률은 81.66%이었다. 전체 분류정확률은 82%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형자 집단뿐만 아니라 범법행위와 관련된 장면에서 PAI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I profile of inmate group and develop the criminal-behavior prediction index. PAI mean profiles of normal adult(N=229) and inmate(N=229) groups were compare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18 mean scale scores to compose the index that differentiate inmate group from normal adult group. In the mean profile of inmate group, ANT scale was the most elevated scale, and then, DRG, ALC, BOR, AGG.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differentiate both group was composed with DRG, ANT, MAN, SCZ, RXR, BOR, STR. Classification rates of analysis and holdout samples were 83.92% 79.39%, respectively, and the overall percentages of cases correctly classified in two samples was 81.66%. Theses results indicate that PAI can be useful in criminal population and other related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