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The Validation of Conners' Adult ADHD Scale-Korean(Short Vers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를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CAARS) 중 아직 한국 표준화되지 않은 단축형(short version)을 번안하고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및 요인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AARS-K short version 하위척도에서의 남녀 성별차를 분석한 결과, 부주의-기억, 충동성-정서적 불안정성, 자기개념의 문제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과잉활동-초조함의 경우에는 남녀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신뢰도(내적합치도)의 경우 각 하위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모두 양호하였다. 셋째, 수렴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해 CAARS long version 및 Barkley 성인 ADHD 증상척도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 하위척도간의 상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하위요인을 검토한 결과 개발자가 제시한 부주의-기억문제, 과잉행동-초조함,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 자기개념의 문제의 네 요인구조가 국내 표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에 부가하여 Barkley 척도에서 제시한 2요인 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2요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아이겐 값을 기초로 한 3요인 모형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2요인 탐색모형의 경우 부주의-기억 및 자기개념문제가 하나의 요인으로, 과잉행동-초조함 및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3요인 모형 분석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과 과잉행동-초조함이 한 요인으로 묶여져 자기개념, 부주의-기억 문제와 함께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 척도의 4요인구조가 타당한지를 살펴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대체로 양호하였다. 또한 2요인, 3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4요인구조에서 원척도와 다른 요인으로 부하된 2개 항목을 이동시킨 수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요인, 3요인 모형의 경우 연구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더 낮았고, 수정모형의 경우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성인 ADHD,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 adult ADHD, CAARS-K short version,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adult ADHD, CAARS-K short version,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Abstract

The Korean version of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Short Version (CAARS-KS) was used to assess ADHD symptoms in 505 university stud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showed a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items within each sub-scale. As for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AARS-KS, four sub-scales (inattention-memory problems, hyperactivity- restlessness, impulsivity/emotional liability, problems with self concep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ADHD-related sub-scales obtained from both the CAARS-KL (long version) and Barkley's ADHD scales. Results from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rovided further evidence that Conners' four-factor model was adequate for the assessment of ADHD symptoms in adults. Additio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2-, 3- and 4-factor alternative model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howed little improvement or worse fit than the original default model proposed by Conn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CAARS-KS may be useful for efficiently assessing ADHD symptoms in adults.

keywords
성인 ADHD,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 adult ADHD, CAARS-K short version,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adult ADHD, CAARS-K short version,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참고문헌

1.

김은정, (2003) 한국형 성인 ADHD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

김호영 ; 이임순 ; 김지혜 ; 이주영 ; 조상수, (2005)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

문수백, (2007) 구조방정식모형의 이해, 2007 워크샵 자료집(학지사)

4.

이영식, (1998) 청소년, 성인의 주의력결핍 과다활동장애, 신경정신의학

5.

장문선 ; 곽호완, (2007) 성인 ADHD 성향집단의 하위군집 탐색:우울, 자아 존중감 및 대인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7.

Barkley, R. A., (2005)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8.

Barkley, R. A., (1998)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linical workbook, Guilford Press

9.

Conners, C. K., (1999)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technical manual, Multi-Health Systems

10.

Erhardt, D., (1999) Self-ratings of ADHD symptoms in adults II: Reliability, validity, and dyagnostic sensitivity, Manuscripts submitted for publication

11.

Heiligenstein, E., (1998) Preliminary normative data on DSM-IV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12.

wak, H. W., (2007)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of inhibition and interference in adults with ADHD. Poster presented at 115th APA Annual Convention, San Francisco

13.

Ward, M. E., (1993) The Wender Utah Rating Scale: An aid in the retrospective diagnosis of childhoo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

Weiss, G., (1993) Hyperactivechildren grown up, Guilford Press

15.

Wender, P. H., (1995)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Oxford University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