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폭력적 온라인 게임과 공격성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일반 공격모델(GAM)을 중심으로
안은경(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권정혜(고려대학교) ; 윤혜영(고려대학교) pp.355-371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128명의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의 폭력성과 개인의 공격성이 공격적인 정서와 인지, 생리적 각성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uss와 Perry(1992)의 공격성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중, 상위 25%(n=20)와 하위 25%(n=20)를 공격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선정하고 폭력적인 온라인 게임과 비폭력적 온라인 게임에 각각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공격행동은 폭력적인 비디오와 비폭력적인 비디오를 보고 난 피험자들이 상대방에게 주려고 선택한 소음의 강도를 공격행동 지표로 삼았던 Bushman의 실험 패러다임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공격적인 정서는 Spielberger와 동료들이 개발한 것을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상태-특성 분노 척도로 측정하였고, 공격적인 인지는 서수균과 권석만의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로, 생리적 각성 반응은 혈압으로 측정하였다. 온라인 게임으로 인한 내적 상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게임 전후의 정서, 인지, 생리적 각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게임의 폭력성이나 승패와는 상관없이, 개인의 공격성만이 공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임으로 유발된 내적 상태 변화의 경우, 공격성은 공격적 정서와 공격적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게임 폭력성은 오직 공격적 인지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공격성이나 게임의 폭력성 여부와 상관없이, 게임 후 생리적 각성이 증가하였다. GAM 모델에서 개인의 공격성이 인지적 경로에 주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olent online games and aggressive personality traits on aggressive behavior by assessing aggressive feelings, cognition and physiological arousal. The participants were all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AQ; Buss & Perry, 199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s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op twenty five percent(n=20, the high aggression group) and the bottom twenty five percent(n=20, low aggression group). The high and the low aggression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play violent or nonviolent online games(“the games”). Aggressive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mean intensity of white noise, which is the same experimental paradigm that Bushman used for measuring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feelings, cognition and physiological arousal were measured, respectively, by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Korean version (STAXI-K; Jun et al., 1997), by the Anger Thought Scale(ATS; Seo & Kwon, 2005), and by the blood pressure. To observe the change of the subjects' inner state during the games, we measured feelings, cognition and physiological arousal before and after the gam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less of the outcome-win or lose, or the degree of violence of the games, it's only the aggressive personality traits that affected aggressive behavior. In the case of the change of the subject's inner state during the games, individual aggressive personality traits also influenced the aggressive feelings and cognition, while the degree of violence of the games influenced only aggressive thoughts. Regardless of the aggressive personality traits or the degree of violence of the games, the physiological arousal of both groups increased after the gam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ggressive personality traits had an effect on the cognitive path in the GAM model.

침묵으로서 잠재주도시간의 언어적 특성과 상담 성과:화자 전환 단서와 발언 응집력을 중심으로
신경진(한솔심리상담연구소) pp.373-391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2
초록보기
초록

잠재주도시간이란 한 화자의 하나의 발언 중간에 발생한 침묵을 의미한다. 이전 연구에서 체험척도로 측정하였을 때 내담자 잠재주도시간은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모두에서 촉진적으로, 상담자 잠재주도시간은 비촉진적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내담자 잠재주도시간과 상담자 잠재주도시간의 즉시적 성과를 발언 응집성이라는 언어학적 특성으로 측정하여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런데 침묵 직후의 발언 응집력은 침묵 직전의 발언에 존재하는 화자 전환 단서의 종류와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내담자와 상담자의 잠재주도시간 직전의 화자 전환 단서의 종류와 직후의 발언 응집력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 상담자에 의해 30회로 합의종결한 성공, 실패 두 사례에서 내담자 및 상담자의 발언 중간에 존재하는 5초 이상의 침묵을 모두 추려낸 다음, 침묵 직전 발언의 화자 전환 단서 2종류(발언 종결, 발언권 고수)와 침묵 직후 발언의 응집력 세 수준(높은 응집력, 낮은 응집력, 무관 주제)에 따라 빈도와 비율을 내었고 이를 차이검증 하였다. 체험척도로 측정하였을 때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모두에서 즉시적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 내담자 잠재주도시간이 응집력으로 측정하였을 때는 현저한 차이를 드러냈다. 그리고 응집력의 수준은 침묵 직전 발언의 화자 전환 단서의 종류와 상담 성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성공 사례의 내담자는 잠재주도시간 직전에 발언권을 고수한 다음 뿐 아니라 발언을 종결한 다음에도 침묵 후 대부분 높은 응집력을 지닌 발언을 하였다. 그러나 실패 사례의 내담자는 스스로 발언권을 고수한 다음에도 응집력이 낮은 발언이나 무관한 주제를 이야기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Abstract

The initiative time latency (ITL) is the silence that exists in the middle of one verbalization by one speaker. In a previous study, the client ITL was facilitative and the counselor ITL was non-facilitative when it measured by the client experiencing scale. This study examined the immediate outcome of the client/counselor ITL by measuring the coherence of verbalization in relation to the case outcome, success and failure. The coherence of the verbalization that exists just after the silence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ategory of the turn-taking signals that are included in the verbalizations just before the silence. So the coherence of the verbalization that exists just after the client/counselor ITL must be examined in combine with the category of the turn-taking signals in the verbalizations that exists just before the client/counselor ITL. To do this, we examined one successful case and one unsuccessful case that were managed by one counselor. The cases were continued 30 sessions long with agreed termination. And all the silences that exist in the middle of the clients' and the counselor's verbalizations were extracted. After then the category of the turn-taking signals (verbalization finishing and continuing) included in the verbalizations just before the silences and the level of coherence (high, low, unrelated issues) of the verbalizations just after the silences were coded. The frequencies and the percentages of the silences of each condition were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s were tested (χ2). The client ITL of the unsuccessful case which was facilitative by the client experiencing scale was no more facilitative when it was measured by the coherence. And the level of coh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ategory of turn-taking signals and the case outcome. For the successful case, most of the client's verbalizations after the ITLs were highly coherent after finishing speaking as well as after giving the signal for continued speaking. But in the unsuccessful case, the percentages of low coherence and unrelated issues were relatively high even after giving the signals for continued speaking.

이상 섭식행동에서 대인사회적 요소의 매개효과
장은영(성균관대학교) pp.393-41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3
초록보기
초록

거식행동과 폭식행동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인을 알아내고, 두 가지 이상 섭식행동의 경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대인사회적 요소의 매개효과를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섭식장애 척도(EDI-2)의 완벽주의, 충동성, 신체불만족, 내적혼란 그리고 무능감이 자기향상동기와 자기고양동기를 매개로 하여 거식행동과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공변량 구조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모형을 분석할 때에는 두 가지 경쟁모형을 비교하였는데, 첫 번째 모형은 대인사회적 요소에 해당하는 두 가지 동기가 완전 매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였고, 두 번째 모형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부합도 지수를 보면, 부분 매개 모형이 지지되었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완벽주의는 거식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자기향상동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신에 대한 무능감이 높을수록 자존심을 방어하려는 동기가 높았다. 그러나 이 자기고양동기는 폭식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지는 못했다. 이에 더해서 내적혼란과 충동성은 폭식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신체불만족은 섭식행동과 폭식행동을 모두 직접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과 시사점을 선행연구들과 관련지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predictors of anorexic and bulimic behavior and explore the interpersonal factors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interoceptive awareness, impulse regulation, body dissatisfaction, and ineffectiveness of EDI-2 on anorexic and bulimic behavior were tested.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onal role of interpersonal factors, two structural models assuming full and partial mediational effects separately were compared by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was supported an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predicted directly and indirectly anorexic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self-improvement motive. Second, ineffectiveness predicted self-enhancement motive which could not affect bulimic behavior. Also, interoceptive awareness and impulse regulation had direct effects on bulimic behavior and body dissatisfaction influenced both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direct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위협상황에서 걱정 많은 사람들의 대처 과정 특성
채은옥(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413-429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걱정이 많은 사람들이 위협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일차적 통제 양식과 이차적 통제 양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대학생 300명에게 얻어졌으며, 측정치에는 걱정증상질문지, 우울증상질문지, 강박 증상질문지와 위협 상황에서의 대처 과정 질문지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걱정 많은 사람들이 걱정이 적은 사람들에 비해 통제 가능한 상황에서는 수동적이고 무기력하게 대처하는 부적응적 일차 통제를 보이고,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현실을 인정하고 수용하지 못하는 부적응적 이차 통제를 보였다. 또한, 걱정이 많은 사람들은 걱정이 적은 사람들에 비해 결과의 치명성, 통제 욕구, 통제 의무를 높게 지각하고, 지각된 유능성은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p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high-worriers with a focus on primary control mode and secondary control modes. The subjects were 300 college students, and the measures used were the PSWQ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he BDI (Beck Depressive Inventory), the MOCI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and the Coping Process Questionnaire of Threaten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worriers exhibited maladjusted primary control modes (passive and helpless coping in a ontrollable condition) and maladjusted secondary control modes (excessive need control in an uncontrollable condition). High-worriers also overestimated ‘fatality of consequences’, ‘control need’, and ‘control duty’ more than low-worriers. Furthermore, high-worriers underestimated their own ‘coping ability’ more than low-worriers. Our result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물질 의존자들의 MMPI 하위 유형 특성
신수경(국립법무병원 약물중독재활센터) ; 조성희(백석대학교) pp.431-45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5
초록보기
초록

물질 의존자들은 성격적, 임상적 특성이 다양하고 분노와 저항이 많은 이질적인 대상군이다. 본 연구는 물질 의존자들의 하위 유형을 파악하여, 물질 의존자 하위 유형군 간의 물질 사용력, 범죄력, 임상적 특성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MMPI 군집분석 결과 두개의 하위 유형군으로 구분되었다. 제1유형군은 4(Pd)번 척도가 유일하게 상승한 프로파일로 대상과 상황에 대한 분노와 저항을 많이 드러내는 ‘반사회성향집단’이었다. 제2유형군은 대부분의 임상척도들, 1(Hs)-2(D)-3(Hy)-4(Pd)-6(Pa)-7(Pt)-8(Sc)번이 상승한 프로파일로 우울, 분노, 정신 병리적 양상을 많이 호소하는 ‘정신병리집단’이었다. 정신병리집단은 반사회성향집단에 비해 물질을 더 오랜 기간 사용하였고 물질사용에 대한 치료횟수, 물질사용 이외 복역횟수가 더 많았다. 이 결과는 물질 의존자의 치료적 개입시, 다양한 심리적 및 임상적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물질 의존자들의 재발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변화와 단약으로 이끌기 위해, 치료와 변화에 대한 동기가 낮고 저항이 높은 물질 의존자들에게는 저항과 양가감정을 잘 다루어 변화와 회복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동기면담(Motivational Interviewing)과 같은 효과성이 입증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정서적, 인지적 곤란과 정신 병리적 양상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물질 의존자들에게는 더욱 집중적인 임상적 개입과 더불어 동기를 유발시키는 치료 보상 시스템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sonality and pathology subgroups, as based upon cluster analysis of the MMPI profiles of substance abusers. The Subgroups were compared for their duration of drug use, the frequency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and the frequency of imprisonment for other reason besides substance abuse. There were 2 types of MMPI subgroups. Type1 had a spike on scale 4(Pd). Type2 had high-ranging and floating profiles. The Type2 subgroup, the so-called Pathology subgroup was found have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of drug use than the Type1 subgroup, the so-called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subgroup in duration of use. The Pathology subgroup(Type2) was found to seek treatment more voluntarily than the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subgroup(Type1). The Type2 subgroup also had a higher frequency of imprisonment for reason other than substance abus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ype2 substance abusers had more somatic symptoms, persecutory ideas, emotional confusion and lower tolerance for stress. They are likely to benefit from general treatment programs that addresses their more chronic and serious mental health problems. Those in the Type1 subgroup, the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subgroup, may benefit from Motivational Interviewing or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 that addresses their resistance and ambivalence resolution so that they become motivated to change.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에서 네 가지 시계그리기 조건의 효율성
국승희(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 허정일(광주 보호관찰소)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51-469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 및 정상 노인을 변별하는데 있어서 네 가지 시계그리기 조건(명령조건, 원 제시 조건, 시계바늘 그리기 조건 및 보고 그리기 조건)의 효율성을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도 치매로 진단된 25명의 환자들과 연령, 교육수준 및 성별을 균등화시킨 노인성 우울로 진단된 25명의 환자들 그리고 정상 노인 25명에게 네 가지 조건의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네 가지 조건에서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 경도 치매와 정상 노인, 노인성 우울과 정상 노인집단을 변별하는 절단점수, 효율성, 민감도, 특이도, Positive Likelihood Ratio(+LR), Negative Likelihood Ratio(-LR) 및 Area Under Curve(AUC) 면적이 산출되었다. 또한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 경도 치매와 정상 노인, 노인성 우울과 정상 노인집단을 변별하는데 있어서 네 가지 시계 그리기 조건의 상대적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UC 면적에 대해 z 검증하였다. 그 결과 CDT는 시계바늘 그리기 조건을 제외하고는 노인성 우울환자와 정상 노인으로부터 경도 치매환자를 잘 변별하였으나, 정상 노인으로부터 노인성 우울환자는 잘 변별하지 못하였다. 특히 원 제시 조건은 노인성 우울환자나 정상 노인으로부터 경도 치매환자를 변별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시계바늘 그리기 조건의 효율성은 어떤 경우에서도 가장 낮았다. 아울러, 상대적 효율성에서도 명령조건, 원 제시 조건 및 보고 그리기 조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계 바늘 그리기 조건은 상대적 효율성도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도 치매의 변별에서 명령 조건과 아울러 원 제시 조건의 진단적 유용성을 시사하는 것이지만, 낮은 특이도를 고려할 때 보고그리기 조건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유보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the free-drawn condition, the pre-drawn condition,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and the copy condition)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from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and normal elderly persons. The Clock Drawing Test(CDT), including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as administered to 25 patients with mild dementia, 25 patients with geriatric depression and 25 normal elderly persons, and all of whom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gender and the education level. The cut-off scores, efficien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likelihood ratio(+LR), negative likelihood ratio(-LR), and the Area Under Curve(AUC) for the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four clock-drawing conditions, with using z test on the AUC, were compared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from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and normal elderly pers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the other clock-drawing conditions well discriminated the mild dementia patients from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or the normal elderly persons. All conditions were not able to discriminate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from the normal elderly persons. The pre-drawn condition was the most efficient for differentiating the mild dementia patients from the geriatric depressed patients or the normal elderly persons.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showed the worst efficiencies for all the differentiations. Additio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free-drawn condition, the pre-drawn condition, and the copy condition. The relative diagnostic efficiencies of the examiner clock condition were the lowest. These results suggest the diagnostic utility of using the free-drawn condition and the pre-drawn condition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pati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ow specificity of the copy condition may have influenced its diagnostic utili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dea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편집성향 집단의 초기 애착유형
유혜린(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이경숙(한신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471-48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7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 편집성향 집단의 초기 애착 유형을 알아보았으며, 각 유형에 따라 성인기 주요 핵심 변인들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492명 중 선발된 편집성향 집단 30명에게 초기 애착 표상을 알아볼 수 있는 성인 애착 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을 실시한 결과, 자율형(F)이 9명(30.0%), 무시형(Ds)이 11명(36.7%), 몰입형(E)이 10명(33.3%)으로 분류되었다. 이 세 집단의 자기 및 타인개념 질문지, Beck 우울 척도, 부모양육행동척도, 성인기 애착유형을 비교한 결과, 무시형 초기애착 유형 집단과 몰입형 애착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부정적인 자기·타인 개념을 보고하였으나, 무시형 애착 집단이 몰입형 애착 집단보다 부정적인 타인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부모양육행동의 경우, 무시형 애착 집단은 몰입형 애착 집단보다 더욱 방치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몰입형 애착 집단은 무시형 애착 집단보다 부모의 과잉기대가 높았다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arly attachment styles of students with paranoid tendencie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jor psychological variables among subgroups of students categorized by early attachment style. Thirty students with paranoid tendencies from a group of 492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protocol. The results showed that 9 students (30.0%) had an autonomous attachment style, 11 (36.7%) had a dismissing style, and 10 (33.3%) had a preoccupied style. Self and other concepts, depression scores,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adult attachment styles were compared across the 4 groups (autonomous, dismissing, preoccupied, and the controls). As for self and other concepts, the students in the dismissing and preoccupied groups both reported more negative concept of self and other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tudents in the dismissing group tended to have a more negative concept of others than those in the preoccupied group. With regards to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the students in the dismissing group reported more neglect than those in the preoccupied group, while the students in the preoccupied group reported more excessive parental expectations than those in the dismissing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종교성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483-50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임상심리학적 맥락에서 행해진 종교성 연구의 역사와 그 의의를 소개하고, 종교성의 다차원적 구조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킴과 아울러 저자의 종교성 차원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였다. 또한 심리치료와 종교의 관련성을 논의하면서 구체적으로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종교성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때 게슈탈트 치료와 종교성의 공통적 속성을 게슈탈트 치료가인 Erving Polster의 ‘연결성(connectedness)’ 개념을 통하여 설명 시도하였다. 이어서 저자가 제안한 8개의 종교성 차원들(정통주의, 경건성, 신비주의, 종교사회주의, 종교적 신뢰, 종교적 불안, 의미추구, 무신론)에 대하여 각각 연결성 개념을 중심으로 게슈탈트 치료 이론적 관점과 대비하여 설명하는 한편, 이에 대한 경험 연구결과들을 소개함으로써 게슈탈트치료와 종교성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the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concerning religiosity were introduc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linical psycholog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ocus the readers' attention on the dimensionality of religiosity and to introduce the author's previous research on the dimensionality of religio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therapy and religiosity was then discussed, first generally and then concretely with an example of Gestalt therapy. The concept of “connectedness” proposed by Gestalt therapist Erving Polster as a common factor that explains both Gestalt therapy and religiosity was also discuss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alt therapy and religiosity was discussed as the author explained the eight dimensions of religiosity (orthodoxism, pietism, mysticism, religious trust, religious anxiety, religious socialism, meaning seeking, and atheism) in light of the concept of connectednes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were also reported.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장문선(경북대학교) pp.501-515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를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CAARS) 중 아직 한국 표준화되지 않은 단축형(short version)을 번안하고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및 요인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AARS-K short version 하위척도에서의 남녀 성별차를 분석한 결과, 부주의-기억, 충동성-정서적 불안정성, 자기개념의 문제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과잉활동-초조함의 경우에는 남녀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신뢰도(내적합치도)의 경우 각 하위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모두 양호하였다. 셋째, 수렴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해 CAARS long version 및 Barkley 성인 ADHD 증상척도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 하위척도간의 상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하위요인을 검토한 결과 개발자가 제시한 부주의-기억문제, 과잉행동-초조함,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 자기개념의 문제의 네 요인구조가 국내 표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에 부가하여 Barkley 척도에서 제시한 2요인 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2요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아이겐 값을 기초로 한 3요인 모형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2요인 탐색모형의 경우 부주의-기억 및 자기개념문제가 하나의 요인으로, 과잉행동-초조함 및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3요인 모형 분석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충동성과 과잉행동-초조함이 한 요인으로 묶여져 자기개념, 부주의-기억 문제와 함께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 척도의 4요인구조가 타당한지를 살펴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대체로 양호하였다. 또한 2요인, 3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4요인구조에서 원척도와 다른 요인으로 부하된 2개 항목을 이동시킨 수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요인, 3요인 모형의 경우 연구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더 낮았고, 수정모형의 경우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The Korean version of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Short Version (CAARS-KS) was used to assess ADHD symptoms in 505 university stud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showed a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items within each sub-scale. As for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AARS-KS, four sub-scales (inattention-memory problems, hyperactivity- restlessness, impulsivity/emotional liability, problems with self concep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ADHD-related sub-scales obtained from both the CAARS-KL (long version) and Barkley's ADHD scales. Results from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rovided further evidence that Conners' four-factor model was adequate for the assessment of ADHD symptoms in adults. Additio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2-, 3- and 4-factor alternative model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howed little improvement or worse fit than the original default model proposed by Conn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CAARS-KS may be useful for efficiently assessing ADHD symptoms in adults.

치매환자 보호자에 의해서 보고된 알츠하이머치매와 혈관치매의 증상: 한국판 치매설문지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
박재설(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경과) ; 류경희(연세대학교) ; 강연욱(한림대학교) ; 나덕렬(삼성서울병원) pp.517-53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10
초록보기
초록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 환자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치매환자를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필요성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판 치매설문지(Korean Dementia Questionnaire, KDQ)를 구성할 문항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설문지의 응답자가 될 환자 보호자들과의 면접을 통해서 실생활에서 관찰되는 치매환자들의 증상이 무엇인지를 경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는 86명의 알츠하이머병 환자(AD)의 보호자와 57명의 혈관치매(VD) 환자의 보호자가 참여하였다. 면접을 통해서 환자 보호자들이 보고한 치매 증상은 총 299종류였으며 이 증상들을 33개의 항목으로 요약하여 KDQ의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이 33개의 예비문항들이 치매의 유무뿐만 아니라 치매유형과 심각도에 따른 증상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33개 문항을 중심으로 알츠하이머치매와 혈관치매 집단의 증상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문지의 예비항목으로 선정된 문항들이 치매의 유무뿐만 아니라 변별진단과 치매의 심각도에 대해서도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creases, so doe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There has never been a stronger imperative to develop instruments for dementia screening.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a preliminary stage in the construction of a Korean Dementia Questionnaire (KDQ) for use in the screening of dementia in clinical settings or epidemiological surveys. The family members of 86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and 57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VD)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hey were asked to report the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symptoms that they had observed in their everyday contact with their patient relatives. A total of 299 dementia symptoms were reported by family members are reviewed, and 33 items were selected as preliminary items for the KDQ. When these 33 items were used to compare symptoms observed in AD and VD, valuable information was provided about the differentiation and severity of these two types of dementia. The results confirmed the clinical validity and utility of a KDQ consisting of 33 items selected in the present study.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to collect normative data on healthy elderly subjects is indicated, if the KDQ is to be used as an effective screening tool for dementia.

약물남용자들의 MMPI-2 군집유형에 따른 방어기제 특징
조성희(백석대학교) ; 신수경(국립법무병원 약물중독재활센터) ; 김효은(충남대학교) pp.531-54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약물남용자들을 대상으로 MMPI-2 프로파일을 살펴보았고, MMPI-2 결과로 추출된 두 하위유형의 자아방어기제 특징을 알아보았다. 약물남용자들의 MMPI-2 타당도 척도(L, F, K, S)와 10개 임상척도의 T점수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두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1유형(방어형)은 타당도 척도 중 L척도와 K척도, S척도가 F척도, FB척도, FP척도에 비해 상승하고, 임상척도 중 Pd 척도가 다른 척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하였지만 모든 임상척도가 40점에서 60점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제2유형(호소형)은 타당도 척도는 F척도, FB척도, FP척도가 L척도, K척도, S척도에 비해 상승하고, 임상척도 중 Hs, Hy, Pd, Pa, Pt, Sc 척도가 60점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두 하위유형의 자아방어기제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제1유형(방어형)은 이타주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승화, 허세를 많이 사용하며, 제2유형(호소형)은 허세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행동화, 회피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방어기제는 허세, 수동-공격, 해리, 행동화, 반동형성, 투사, 신체화, 회피, 동일시였고, 제2유형(호소형)이 제1유형(방어형)보다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약물남용이라는 사회적으로 동일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집단 안에 서로 다른 심리적 특성과 자아방어기제를 보이는 하위유형이 있음을 입증해주고,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준다. 끝으로 각 유형에 따라 재발방지를 위한 치료적 개입이 달라야 함과 치료에 어떠한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nse mechanisms used by substance abusers according to subgroups derived from MMPI-2 cluster analysis. Substance abusers who were on probation showed a slight rise on the Pd scale, and cluster analysis resulted in two distinct types of substance abusers. The first type, the defending type, showed relatively high Pd scale scores comparing to others, whereas those of the second type, the complaining type,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on scales, such as Hs, Hy, Pd, Pa, Pt and Sc. The ego defense mechanisms used by the two types of substance abusers was examin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n scales such as Bragging, Passive-aggressive, Dissociation, Acting out, Reaction formation, Projection, Somatization, Evasion, Identification and Displacement. This study found that substance abusers of the defending and complaining types use different defense mechanisms, and suggeste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relapse prevention relevant to the defense mechanisms used by each type of substance abuser.

청소년 성폭력범죄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개발 및 단기 효과 검증
송원영(건양대학교) ; 신의진(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549-571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 후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서 인지적 왜곡의 수정, 공감능력의 상승, 자존감 고양, 대인관계 개선, 정서적 안정성의 확보, 재발방지교육을 주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서 성폭력을 저지른 후 보호관찰 및 수강명령을 부과받은 청소년 73명이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관련 내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Burt(1980)의 강간통념척도, Fernandez(1999)의 피해자공감척도, Rosenberg (1965)의 자존감척도, Cohen 등(1983)의 대인관계지지평가척도, UCLA외로움척도, Beck 우울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 상태-특성 분노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료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였으며 범행의 특징에 따른 효과의 차이 역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은 인지적 왜곡과 대인관계,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적 안정성을 측정하는 척도들에서 치료 프로그램 전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나 피해자 공감과 자존감에서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발견된 결과를 중심으로 성폭력 가해 청소년에 대한 심리치료와 처우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program for juvenile sex offend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this aim, a 15-session group CBT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juvenile sex offenders on probation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received this program. Seventy-three adolescents completed this treatment program as well as pre- and post-treatment scales. The domains of the scales included cognitive distortion, victim empathy,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stability. The resul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subjects' pre- and post- treatment scores pertaining to cognitive distor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make positive changes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sex offenders using this treatment program. However, the changes in victim empathy and self-esteem did not reach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국 임상심리학자들의 역할과 활동: 2007년 조사 보고서
권정혜(고려대학교) pp.573-581 https://doi.org/10.15842/kjcp.2008.27.2.013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임상심리학은 4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임상심리학자들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임상심리학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미래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임상심리전문가 457명에게 임상심리학회 공식 메일링으로 설문지를 첨부하여 보낸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0명이 응답하여 약 33%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지는 총 8문항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임상심리전문가로서 주요 역할, 활동, 이론적 오리엔테이션 등을 알아보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임상심리전문가로서 자신의 주된 역할을 임상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학자/교육자, 연구자의 순으로 나왔다. 임상심리학자로서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7(표준편차: 1.14)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으로는 종합병원과 대학교, 그 다음으로 사설 치료기관이 많은 것으로 나왔으며, 이들 근무기관에 재직하는 임상심리학자가 전체의 반수 가량을 차지하였다. 임상심리전문가들이 현재 관여하는 활동으로는 심리치료 (35.4%), 심리진단 및 평가(33.0%), 연구 및 논문작성(21.0%), 강의(19.2%), 수련감독(18.1%), 행정(10.5%)인 것으로 나왔으며, 심리치료와 심리진단 및 평가에 50%이상의 시간을 보내는 임상심리전문가는 27.3%, 26.0%로 비슷하게 나왔다. 한편 임상심리전문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론적 오리엔테이션은 절충적/통합적 이론(50.00%)과 인지행동이론(32.0%)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조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major rolesand activities of Korean clinical psychologists. A questionnaire was e-mailed to 457 members of the KCPA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33%, and 150 people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8 items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al experiences, employment settings, professional activities, theoretical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74.7%) identified themselves primarily as clinical practitioners, followed by academicians and researchers. The psychologists' primary employment settings were universities, psychiatric hospitals and private practice. The major professional activities of the Korean clinical psychologists were psychotherapy (35.4%), diagnosis/assessment (33.0%), research/writing (21.0%), teaching (19.2%), clinical supervision (18.1%) and administration (10.5%). Among various theoretical orientations, eclecticism/integration (50.0%) was the most popular orientation and the next-most-popular orientation was a cognitive-behavioral orientation (32.0%). The level of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their career was moderate (Mean: 3.27, SD: 1.14 on the 5-point scale).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was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