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걱정과 정서조절이 수면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이정임(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pp.1-14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걱정이 수면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조절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충청도 지방의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정서조절 어려움 척도, 피츠버그 수면 질 척도, 피로 척도를 사용하였다. 걱정, 수면, 피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걱정 수준이 높을수록 수면 곤란을 더 많이 경험하고, 피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정서조절이 걱정과 수면의 관계, 걱정과 피로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걱정과 수면과의 관계에서는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걱정과 피로와의 관계에서는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걱정이 피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피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걱정수준이 높으면서 피로를 호소하는 개인에 대해 임상적으로 개입을 할 때, 걱정만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 보다 정서조절을 함께 다루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orry on sleep and fatigu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regulation of emotion plays a rol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ry and sleep and worry and fatigue, respectively. The study included 310 university students that completed a questionnaire comprise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ventory, and the Fatigue Scale. The correlation between worry and slee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worry and fatigue were all significant, showing that people who worry more experience greater difficulties with sleep and fatigue.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gulation of emotion plays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worry and sleep,and worry and fatigue respectively.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of regulation of emotion was a mediator between worry and sleep. However, regulation of emotion seemed to play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worry and fatigue. Therefore, worry has an effect on fatigue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worry that complain of fatigue treating the emotional regul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reating the worry itself.

부모이혼을 겪은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탄력성을 중심으로
송옥선(전주 예수병원 임상심리실) ; 김정희(전북대학교) ; 권혁철(전북대학교) pp.15-33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이혼을 겪은 대학생의 경험을 탄력성을 중심으로 현상학적인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이혼을 겪은 대학생 6명이었으며, 이들에게 면접과 문장완성검사, 간이정신진단검사, 부모이혼경험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면접과 질문지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8개의 공통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 ‘이혼가정이라는 편견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이고 위축된 대인관계’, ‘이성관계의 문제’와 같은 위험요인들과 ‘가족에 대한 새로운 관점’, ‘정서적 지지처’, ‘긍정적인 자아상’, ‘뚜렷한 경제적 관념’과 같은 보호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탄력성을 회복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이혼 후 비교적 적응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1회 심층면접만으로 자료를 수집한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적응집단과 부적응집단간의 경험과 탄력성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arent /divorced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resilience by the a method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 /divorced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Symptom Checklist Revised and Parent /Divorced Experience Questionnaire. With data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8 common subjects were generated. Participants had risk factors such as ‘negative emotions about parents’, ‘fear of prejudice against divorced family’, ‘passive and withe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with 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protective factors as ‘new perspective of family’, ‘emotional support’, ‘positive self-image’ and ‘clear economic concept’. This research was limited by data collection from of relatively adjusted subjects and only one in-depth interview session.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include comparison of experiences and resilience between groups with good a poor adjustment.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우울 증상간의 시간적 관계
양윤란(마인드빅 정신건강상담센터) ; 오경자(연세대학교) ; 양재원(경일대학교) pp.35-5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3
초록보기
초록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불안 증상과 우울 증상간의 시간적 관계를 밝히고자 초등학교 4, 5학년 364명과 고등학교 1, 2학년 373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으로 두 차례에 걸쳐 사회불안 증상과 우울 증상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불안 증상의 안정성은 아동 .48, 청소년 .70 이었으며, 우울 증상의 안정성은 아동 .54, 청소년 .65 이었다. 아동 자료에서 1차시기의 우울 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사회불안 증상은 6개월 후의 우울 증상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 증상 또한 1차시기의 사회불안 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6개월 후의 사회불안 증상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청소년 자료에서 1차시기의 사회불안 증상은 6개월 후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1차시기의 우울 증상은 6개월 후의 사회불안 증상에 영향을 주었으나 중복 문항을 제외하고 재분석한 결과, 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s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on the temporal relationship. Children(364 4th-5th graders) and adolescents(373 10th-11th graders) were given self-report measures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same measures were repeated 6 months later.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path coefficient from T1 social anxiety to T2 social anxiety and the path coefficient from T1 depression to T2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ath coefficients from T1 social anxiety to T2 depression and from T1 depression to T2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 in the children's model. T1 social anxiety was not associated with T2 depression, but T1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2 social anxiety in the adolescent model. However, in the adolescent model with modified scales, the path coefficient from T1 depression to T2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시공간 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 김선경(성신여대기초과학연구소) ; 박혜정(성신여자대학교) ; 장희진(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51-68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4
초록보기
초록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공간 재활 훈련을 실시한 후 재활 훈련이 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가를 조사하였다. 사회복귀 시설에 거주하는 2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재활군(n=11)과 통제군(n=11)으로 무선적으로 구분하였다. 재활군에 포함된 환자들에게는 시공간 재활 훈련이 실시된 반면 통제군에 포함된 환자들에게는 재활 훈련이 실시되지 않았다. 시공간 재활 훈련은 10개의 하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시운동 기술, 시지각력, 심상 및 회전, 공간 지각력과 시각적 통합 능력을 훈련하도록 개발되었다. 시공간 지각력/시각 기억(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OCF), 주의(Stroop Color-Word Test, Trail-Making Test: TMT, d2 Test), 언어 기억(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및 집행 기능(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을 평가하는 신경심리검사와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측정하는 임상 검사(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가 재활 훈련 전과 후에 실시되었다. 재활 훈련 전에 실시한 신경심리 검사 및 임상 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재활 후에 실시된 신경심리 검사에서 재활군이 통제군에 비하여 ROCF의 모사, Stroop Color-Word Test의 Color-Word 간섭조건과 TMT, part B에서 유의하게 수행이 향상되었고, 음성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이 결과는 시공간 재활 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과 시공간 재활 훈련이 시공간 기능뿐만 아니라 주의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미루어 시공간 지각의 장애가 주의 등과 같은 인지 기능의 장애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ospatial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in schizophrenic patients. A total of 22 patients living at the Institute for Social Return participated. The rehabilit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consisted of 11 patients. The visuospatial training consists of 10 sub-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to train the visuomotor skills, visual perception, visual imagery & rotation, spatial perception and visual integration skills.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s such as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OCF), Trail-Making Test(TMT), Stroop test, d2 test, K-CVLT,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and PANS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IQ, educational level, age of onset.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on the performances of any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the PANSS scores administered prior to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habili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s on the copy condition of ROCF, TMT, part B and Stroop, Color-Word interference condition, which were administered after the training.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se improvements. 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egative symptoms after training,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suospatial training is effective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of visuospatial functioning, but also for attention. In ad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c patients who are preparing for social return.

부부의 외적 속박감 및 상대적 지위 지각에 따른 분노표현과 결혼만족도
권정혜(고려대학교) ; 이소영(고려대학교) pp.69-84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상대적 지위와 외적 속박감이 우리나라 부부들의 분노경험와 분노표현 및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항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101쌍의 부부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부들은 지각된 상대적 지위, 외적 속박감, 특성분노, 분노를 유발하는 스크립트에 대한 분노경험, 분노표현 및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개별적으로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만족도, 분노 조절 및 분노유발 스크립트를 읽은 후 유발된 분노에서는 남편과 아내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각된 상대적 지위와 외적 속박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APIM 모델(자기-상대 상호의존 모델)을 사용하여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상대적 지위, 외적 속박감, 분노표출, 분노억압 변인의 자기효과와 상대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인의 지각된 상대적 지위는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상대효과), 외적 속박감은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서 자신(자기효과) 뿐 아니라 배우자(상대효과)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남편의 분노표출과 부인의 분노억압이 자신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자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모형검증 결과, 남편의 외적 속박감은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신의 분노표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외적 속박감 역시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자신의 분노억압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인의 지각된 상대적 지위는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erceptions of social rank and external entrapment on anger and anger expression on marital satisfaction. One hundred and one married coup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report how they would respond to a hypothetical situation (after reading an angry script) and fill out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ives and husbands in the induced anger after reading the script, anger-control, and marital dis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perceived social rank and external entrapment. For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for external entrapment of both spouses, was significant, but only the partner effect for the wives' perceived social rank, the actor effect for the husbands' anger-out,and the actor effect for the wives' anger-in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demonstrated that the husband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marital dis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ir anger-out. The wive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marital dis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mediated by their anger-in. In addition, the wives' perceived social rank affected their spouses' marital dissatisfaction, and the husbands' marital dissatisfaction affected the wives' marital dissatisfaction.

강박사고 유형에 따른 의미점화효과
백민정(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85-10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강박증 경향 집단을 대상으로 강박장애와 정신분열형 성격 특성, 특히 사고장애 부분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최근에, 이한주(1999)는 강박사고를, 사고내용과 과정의 특성에 근거해서 자생성 강박사고(autogenous obsession)과 반응성 강박사고(reactive obsession)로 구분하였고, 그 중 자생성 강박사고와 정신분열형 성격 특성, 특히 사고장애 부분과의 관련성을 질문지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군과schizotypy 군을 대상으로 의미점화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신분열증 집단과 schizotypy 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짧은 자극제시시차에서 간접적 의미관계의 의미점화가 강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사고장애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어휘판단과제를 적용하여 점화어-표적어 의미관계 조건(직접적 의미관계, 간접적 의미관계)에 따른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강박증상과 강박사고 질문지를 통해서 3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자생성 강박집단(14명), 반응성 강박집단(15명), 통제집단(15명). 자생성 강박집단의 간접적 의미관계의 점화효과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클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설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것은, 반응성 강박집단의 직접적 의미관계의 점화효과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박장애 내 사고장애 특성은 강박사고 속성에만 의존하는 것 같지 않다. 따라서 강박장애 하위에 schizotypy 특성의 강박장애가 범주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생성 강박장애와 반응성 강박장애를 schizotypy의 연속선상에서 차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chizotypal personality features, such as disordered thinking/perception, in individuals at risk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cently, an obsession model has been proposed, which classifies obsessions into two different subtypes: autogenous obsession and reactive obsession. This model has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autogenous obsessions and thought disorder. Previous studies on semantic priming have suggested that schizophrenia and schizotypy enhanced the indirect semantic priming effects at short prime-target intervals relative to controls. Therefore, semantic priming paradigms were used to test whether autogenous obsessions display increased indirect semantic priming effects. The participants were 3 groups of college students: 14 had elevated autogenous obsessive-compulsive (OC) symptoms and autogenous obsession scores, 15 had elevated reactiveOC symptoms and reactive obsession scores, and there were 15 normal control participants. Subjec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semantic priming task at short prime-target intervals under two experimental conditions (direct semantic priming and indirect semantic priming).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e subjects with Autogenous Obsession (AO)s displayed increased indirect semantic priming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 the with Reactive Obsession (RO)s and normal controls. Contrary to expectation, the ROs exhibited significantly enhanced direct semantic priming compared with the AOs and normal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genous and reactive obsessions, in their relationship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do not appear to be attributable merely to the type of obsession AO, RO may be linked to the schizophrenia spectrum along a continuum of multidimensionality of schizotypy.

어머니와 청소년의 우울증상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평가 일치도
고은정(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103-116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어머니간의 평가 일치도를 조사하고 어머니와 청소년의 우울여부에 따른 청소년 자신과 어머니간의 평가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지역사회에서 422명의 청소년(남자 193명, 여자 229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청소년 자신이 평가하는 K-YSR과 부모가 평가하는 K-CBCL을 동시에 실시하여 평가자간의 일치도를 조사하고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CES-D에 근거하여 우울 어머니와 청소년을 선정한 후, 일반집단과 평가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어머니간의 평가 일치도는 총 문제행동 r=.34, 11개 하위척도의 평균 r=.28로 낮았다. 여자 청소년은 비행 척도에서 남자 청소년에 비해 평가 일치도가 높았고, 고소득층은 우울/불안 척도와 사고의 문제 척도에서 저소득층에 비해 평가 일치도가 높았다. 우울한 어머니는 우울/불안 척도와 사회적 미성숙 척도에서 비우울 어머니에 비해 평가 일치도가 높았고, 우울한 청소년은 외현화 문제 척도에서 비우울 청소년에 비해 평가 일치도가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임상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ross-informant agreement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reports on behavioral emotional problems according to their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4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93 boys and 229 girls) and their mothers. The adolescents assessed their own depressive symptoms by the CES-D as well a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by the K-YSR. The mothers assessed their own depressive symptoms by the CES-D and their children's behavioral emotional problems by the K-CBCL. Depressed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by 15th percentile scores of the CES-D. They were then compared for agreement with a normal group. The agreement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was analyzed with Fisher's z transformation by the T scores of the K-CBCL and K-YSR. The results showed a low agreement between the same subscales of the K-CBCL and the K-YSR with an average r=.28. Girls agreed more with their mothers than boys did on the delinquent behavior. The high SES group agreed more with their mothers than the low SES group did on the anxious/depressed and thought problems. Depressed mothers agreed more with adolescents than non-depressed mothers did on the anxious/depressed and social problems. Non-depressed adolescents agreed more with their mothers than adolescents did on the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both the mothers and adolescent perceptions and to consider their depressive state.

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분석(SASB) 모형에서의 성격병리와 대인관계 패턴
이은영(신촌세브란스) ; 황순택(충북대학교) ; 조윤진(충북대학교) pp.117-13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격병리의 정도와 대인관계 패턴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DSM-IV의 10개 성격장애에서의 대인관계 패턴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들(n=485)을 대상으로 성격병리 및 DSM-IV 성격장애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성격장애질문지(PDQ-4+)를 실시하고, 대인관계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SASB 검사를 실시하였다. PDQ-4+의 총점수와 SASB 검사에서 측정되는 24개의 군집점수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몇몇 행동유형에서 성격장애척도의 총점수와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성격병리의 정도가 심할수록 타인을 비난, 공격, 무시하는 행동, 부루퉁하고 적대적이고 단절된 반응, 자기공격/거부, 자기방치/무시의 행동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DQ-4+에서 측정되는 10개의 성격장애 각각의 점수와 SASB 검사에서 측정되는 24개의 군집점수 간의 상관을 구하였다. 또한, 여기서 얻어진 상관점수를 가시화하기 위해 거리 환산점수로 전환한 후 다차원 척도(MDS)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연극성 성격장애를 제외한 대부분의 성격장애는 타인을 공격, 무시, 비난하는 행동이 높고, 타인을 긍정/이해하고 양육/보호하며 적극적 사랑을 보이는 행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군 성격장애는 타인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높고, B군 성격장애는 타인에 대한 공격성과 자율성이 높고, C군 성격장애는 타인에 대한 공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장애들을 변별해주는 고유한 행동패턴은 SASB 모델에서 자율성 차원에 배열되는 방임, 분리, 순종, 자율, 자기 통제였다. 이 결과는 자율성이 성격장애들 간을 변별해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pathology and interpersonal behavior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behavior patterns of personality disorders(PDs). 45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PDs and interpersonal behavior were measured by the PDQ-4+ and the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SASB).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otal scores on the PFQ-4+ and some of cluster scores on the SASB Intrex. As being severe personality pathologies, actions of blame, ignore, and attack to others, reactions of sulk, recoil, and wall off to other behaviors, and behaviors of self-attack, and self-neglect to self were increased. Correlations between 10 scores of PDs on the PDQ-4+ and 24 cluster scores of the SASB Intrex and mapping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all PDs except the histrionic PD showed higher levels of attack, ignore and blame behaviors to others, and lower levels of love/affirm, protect, and active love behaviors. The cluster A PDs showed tendencies of separation from others. The cluster B PD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ttack on others and self-emancipate and autonomous, and the cluster C PDs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ttacking behavior amonf all clusters. Freeing, separating from others, submit, self- emancipate, self-control were unique factors that differentiate PDs from normals; these factors ranged in autonomy dimension in the SASB. Namely, autonom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differentiating the PDs.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ADHD 아동의 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 김홍근(대구대학교) pp.139-15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09
초록보기
초록

ADHD 아동 19명과 정상아동 19명을 신경심리기능에서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각 측정치는 M = 100, SD = 15라는 공통된 점수 단위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 세 가지였다. 첫째, ADHD군과 정상군을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주의기능, 처리속도, 기억기능,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에서 비교한 결과 ADHD군의 결손은 관리기능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Wechsler IQ와 Executive IQ를 비교할 시 ADHD군은 Wechsler IQ에서는 결손이 없었지만 Executive IQ에서는 매우 큰 결손이 있었다. 둘째, ADHD군은 정상군에 비해 주의기능에서도 결손이 있었지만 그 정도는 관리기능에 비해 미약하였다. 또한 주의력 결손은 단순한 주의과제에서는 없었고 관리기능이 요구되는 주의과제에서만 있었다. 셋째, [Executive IQ − Wechsler IQ] 지표에서 ADHD군과 정상군의 분포는 매우 현격히 분리되어서 임상적 진단의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ADHD의 핵심 결손이 관리기능에 있다는 ‘관리기능결손 가설’을 지지한다.

Abstract

Nineteen ADHD and 19 normal control (NC)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on a batte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to evaluate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attention, processing speed,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All measures utilized a standard score with M = 100 and SD = 1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ficits among the ADHD children relative to the NC children were most severe in the executive functions. The deficits in the children with ADHD was greater for the Executive IQ than the Wechsler IQ. Second, the children with ADHD children had deficits in attention. However, this deficit was apparent only when the attention tasks required executive regulation. Third, the ADHD vs. NC group differed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the Executive IQ − Wechsler IQ index, suggesting use of this index as a supportive diagnostic tool. These findings lend strong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ADHD reflects primar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s.

대학생 편집집단과 우울집단의 분노경험 및 분노사고
정현미(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이숙희(충북대학교) pp.153-165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편집집단과 우울집단에서의 분노사고, 특성 분노, 분노생활사건을 비교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집성 척도, 한국판 Zung 우울척도, 일차적 및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상태-특성 분노척도, 그리고 분노생활사건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총 56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편집과 우울은 분노사고 가운데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 및 무력감, 분노생활사건과 공통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편집은 타인비난/보복과, 우울은 무력감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두 증상 각각에 대한 분노변인들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우울에 비해 편집에 대한 분노변인들의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증상에 대해 무력감, 특성분노, 분노생활사건이 공히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편집은 타인의 부당하고 이기적인 행동에 대한 예민성이, 우울은 낮은 분노통제/건설적 대처가 추가적인 예언변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독립집단 t-검증을 통해 편집집단과 우울집단의 분노경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편집집단이 우울집단에 비해 타인의 부당하고 이기적인 행동에 대한 예민성, 타인비난/보복, 특성분노 수준이 더 높았으며, 분노생활사건 또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ger thought, trait anger, anger life events of paranoia and depression. The Paranoia Scale, the Zung Depression Inventory, the State-Trait Anger Scale, the Primary Anger-Thought Scale, th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and the Anger Life Event Scale were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N=568).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aranoia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regard and disappointment in intimate relationship situations, helplessness, and anger life event. However, while paranoia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derogation of others/revenge, depression had a high correlation with helplessness. A comparison of the anger experience in paranoia with that in depression reveal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anger variables in paranoia was greater than in depression, and helplessness, trait anger, and anger life event were common predict variables. Sensitivity to the wrongful and selfish behaviour of others was determined to be an additional predictive variable of paranoia, and little anger control/constructive coping was determined to be an is additional predictive variable of depress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nger experience between the paranoid and the depressed groups. The paranoid group showed greater sensitivity to the wrongful and selfish behaviour of others, derogation of others/revenge, trait-anger, and frequency of anger life events in comparison to the depressed group.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사고-행위 융합과 사고-사건 융합의 측면에서 본 강박사고의 하위유형
김기환(서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 신민섭(서울대학교병원) pp.167-189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고-행위 융합과 사고-사건 융합이 강박사고의 두 유형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사고-행위 융합과 사고-사건 융합 모두를 포함하는 사고-실재 융합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419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고-실재 융합척도는 자생성 차원에서 5개, 반응성 차원에서 4개의 요인이 나타났으며, 기존 척도와의 공존타당도를 획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사고-실재 융합이 자생성 및 반응성 강박사고와 차별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걱정, 우울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49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고-실재 융합척도, 강박적 침투사고 질문지-단축형, 우울증상 질문지, 걱정증상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박사고는 사고-행위 융합과 사고-사건 융합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자생성보다 반응성 강박사고가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자생성 강박사고의 경우에는 반영 사고-사건 융합, 가능성 사고-행위 융합, 가능성 사고-사건 융합, 대처 사고-사건 융합의 순으로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도덕성 사고-행위 융합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반응성 강박사고의 경우에는 가능성 사고-사건 융합, 반영 사고-사건 융합, 대처 사고-사건 융합, 가능성 사고-행위 융합, 그리고 도덕성 사고-행위 융합의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걱정과 우울은 강박사고에 비해 사고-실재 융합에 대해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ought-action fusion(TAF) and thought-event fusion(TEF) to obsessions. Study 1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Thought-Reality Fusion Scale(TRFS) which can measure TAF and TEF.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9 college student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FS was found to have five factors in autogenous thoughts, while four factors in reactive thoughts. And the TRFS was found to have concurrent validity. In study 2, how TRF is differently related to autogenous/ reactive obsessions or worry and depression was examined. 492 college students were given to answer to the TRFS, Revised Obsessional Intrusions inventory(ROI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Obsess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the factors of TRFS. Over all factors, reactive obsessions were more related to TAF and TEF than autogenous obsessions were. Autogenous obsessio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ikelihood TAF, reflection TEF, likelihood TEF and prevention TEF in the order, while they showed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ral TAF. On the other hand, reactive obsessio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ikelihood TEF, reflection TEF, prevention TEF, likelihood TAF and moral TAF in the order. Worry and depression were less related to TRFS than obsess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ROC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변별: K-CBCL 소척도를 기준으로
이수진(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191-20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이하 CBCL)의 소척도를 이용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진단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단일 ADHD 집단은 정신과 및 심리 클리닉 관련 기관에 내원한 만 6세에서 11세까지의 아동 432명 중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Statistical Manuals, 제 4판: 이하 DSM-IV)에 의거하여 공존 질환이 없는 118명(남아 99명, 여아 19명)을 선정하였으며 ADHD 집단의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각 연령 별로 대응되는 동수를 비교 집단으로 표집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K-CBCL 소척도 T 점수에 대해 단일변량 및 탐색적 로지스틱 다변량 회귀 분석과 수신기 작동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이하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ADHD 집단과 전체 비교 집단 및 남아 ADHD 집단과 남아 비교 집단에 대해 t test한 결과, 학업수행 소척도를 제외한 모든 K-CBCL 소척도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여아 ADHD 집단과 여아 비교 집단에 대해 t test한 결과,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사회성 소척도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전체 ADHD 집단과 전체 비교 집단을 효과적으로 변별할 수 있는 유의미한 최종 예측 변인은 주의집중 문제와 사회능력 척도의 사회성 소척도로 나타났으며, 남아 ADHD 집단과 남아 비교 집단에서는 주의집중 문제 소척도가, 여아 ADHD 집단과 여아 비교 집단에서는 사회적 미성숙 소척도가 최종 예측 변인으로 추출되었다. 탐색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구해진 예측 변인을 ROC 분석에 투입한 결과, 남아 ADHD 집단과 남아 비교 집단에서의 주의집중 문제 소척도의 AUC(area under the curve)는 .88, 여아 ADHD 집단과 여아 비교 집단에서의 사회적 미성숙 소척도의 AUC는 .90이었다. 남아 ADHD 변별에는 주의집중 문제 소척도의 56 T점을, 여아 ADHD 변별에는 사회적 미성숙 소척도 56 T점을 제안하였으나, 절단점의 결정은 민감도와 특이도 중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결과를 통해, 정상 비교 집단에서 ADHD 아동을 최대한 선별해내는 도구(screening tool)로서 K-CBCL을 활용하였을 때 그 유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CBCL subscales for predicting DSM-IV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group without comorbid disorders from non-referred group. The sample included 118 children aged 6 to 11 (99 boys, 19 girls), who were referred to psychiatric hospitals and psychological clinics and were diagnosed by child psychiatrists and clinical psychologists based on the full-battery psychological evaluations and medical interviews. Statistical performance was conducted throug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stepwise logistic regressions as well as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es. The Attention Problems subscale significantly predicted ADHD boys group from non-referred boys group and showed good diagnostic accuracy, as assessed through ROC analyses (AUC = .88). The Social Problem subscale significantly predicted ADHD girls group from non-referred girls group and showed good diagnostic accuracy, as assessed through ROC analyses (AUC = .90). CBCL subscales demonstrated good diagnostic effectiveness for diagnosing ADHD without comorbidity in children.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sex distinction for discriminating ADHD group.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문제 해결 지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설승원(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209-235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지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해결 지향의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 모형들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모형이 현상을 더 잘 설명해 주는지 알아보고, 성별이 문제해결 지향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309명(남자 166명, 여자 143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정서 통제감, 문제해결지향, 걱정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지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적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집단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은 모두 문제 해결 지향을 통해 걱정에 영향을 미쳤으나, 두 변인 모두에서 걱정에 이르는 직접 경로 또한 유의미하여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을 구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남자와 여자 집단에 가장 적합한 대안 모형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문제해결지향을 매개하지 않고 걱정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 통제감은 문제해결지향을 매개하여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통제감은 모두 문제해결 지향을 통해 걱정에 영향을 미쳤으나, 정서 통제감에서 걱정에 이르는 직접경로 또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on worry, and identify the role of problem orientation as mediator variable. Also, gender effect on the role of problem orientation was examined. The sample consisted of 143 female and 166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bout intolerance of uncertainty,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problem orientation and wor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z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blem orientation on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on worry fit in total group. Problem orientation mediated the paths from bo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to worry. In addition, the direct paths from bo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was also significant.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odel when data were analysed separately for the male and female group. In male group, problem orientation mediated the path from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to worry, but path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problem orientation was not significant. In cas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ly the direct path to worry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female group, problem orientation mediated paths from bo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to worry. In addition, the direct path from emotion controllability to worry was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권정혜(고려대학교) ; 박동건(고려대학교) ; 민성길(연세대학교) ; 김종우(경희대학교) ; 권호인(고려대학교) ; 이민수(고려대학교) pp.237-25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4
초록보기
초록

화병은 한국 고유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나타나는 특유한 증상양상을 보이며, DSM-IV에 한국의 문화관련 증후군으로 분류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화병을 측정하는 자기보고형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심리측정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먼저 기존 문헌들을 고찰하고 화병 환자들을 심층 면담하여 화병을 측정하는 예비문항 70개를 작성하였다. 그 다음 화병환자 30명, 우울증 환자 28명, 정상인 33명에게 실시한 후 차이검증을 통해 화병 집단과 정상 집단, 화병 집단과 우울증 집단을 변별해주는 1차 문항 39개를 선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1차 문항을 2차 표본인 화병 환자 63명에게 실시한 자료를 요인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1문항의 화병척도를 제작하였다. 화병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92로 나타났으며, 화병 성격과 화병 증상 하위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각각 .85, .93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최종 화병 척도가 우울증과 화병, 정상 집단을 구별해주는지를 살펴보고, 화병척도가 다른 두 집단을 변별해주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병 증상척도는 화병 집단과 우울증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화병 성격척도는 연구자들이 예상한 바와 달리, 화병 집단과 우울증 집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병 증상척도의 AUC는 .78로 나타나 화병 증상척도가 화병에 대한 1차 선별도구로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Hwa-Byung is a form of psychogenic illness among lay people in Korea and was recently listed as a culture-bound syndrome of Korea in the DSM-IV. However, there has been no self-report measure assessing the severity of Hwa-B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port measure of the Hwa-Byung syndrome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articipants were 111 outpatients visiting the depression clinic and the Hwa-Byung clinic and 33 normal adults. The structured interviews (SCID-I, HBDIS) were first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the participants and then a preliminary pool of 70 items of Hwa-Byung Scale and SCL-90-R were administered.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Hwa-Byung and normal individuals and between Hwa-Byung and depressed patients, 39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rst item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Hwa-Byung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econd sample (63 Hwa-Byung patients, 50 depressed patients, 53 normal controls). Thirty-one items were constructed using factor analysis on the data. The Hwa-Byung scale was divided into two scales: the Hwa-Byung personality scale (16 items) and the Hwa-Byung symptom scale (15 items). Both scales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Hwa-Byung scale are discussed.

한국판 사회적 걱정에 대한 질문지(K-ASC) 타당화 연구: 대학생 및 사회공포증 환자집단을 중심으로
이주영(성균관대학교) ; 이정애(성균관대학교) ; 오강섭(성균관대학교) pp.253-275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의 인지적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Telch 등(2004)이 개발한 사회적 걱정에 대한 질문지(The Appraisal of Social Concerns: ASC)를 우리말로 번안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정상집단과 사회공포증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부정적 평가 및 거절에 대한 걱정’과 ‘신체적 증상에 대한 걱정’의 이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는데, Cronbach α와 문항-총점 계수, 검사-재검사 모두에서 우수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고, 불안 및 사회 공포관련 척도와도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연구 3에서는 사회공포증 환자집단을 중심으로 하여 대학생 정상집단과 다른 임상집단과 사회적 걱정의 정도를 비교해보았는데, 사회공포증 환자집단에서 사회적 걱정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임상적으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K-ASC의 분할점(cut-off score)을 살펴보았는데, 총점은 53점, 요인 1은 56점, 요인 2는 52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K-ASC는 대학생 정상집단과 사회공포증 환자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불안의 정도와 걱정을 평가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생각되며, 임상적으로도 사회공포증에 대한 이해 및 진단, 치료에 유용한 도구로 쓰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The Appraisal of Social Concern(ASC) Scale is a self-report measure of social anxiety-related cognition, especially for social phobia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the Appraisal of Social Concern(K-ASC) and to demonstrate its clinical efficacy. In study 1,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 sample of undergraduates(n=182) and patients with social phobias(n=101) yielded 2 factor structure. The factors tapping is (1) concerns with negative evaluation and rejection, and (2) concerns with physical symptoms. The subscale scores were strongly correlated. In study 2, the K-ASC was found to have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K-ASC was comparable to that of well-established measures in use for social phobia. In study 3,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K-ASC was validated. The scores of the K-ASC in persons with social phobi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ndergraduate normal controls and clinical samples. The specific cut-off scores for the total score and each subscale of the K-ASC would enhances the diagnostic utility for social phobias. Therefore the ASC was useful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on and cognitive changes in patients with social phobia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III) 단축형의 타당도
전영순(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황순택(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숙희(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277-29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의 Doppelt 방식 단축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Campbell(1998)이 WISC-Ⅲ 단축형으로 제안한 7가지의 구체적인 단축형과 K-WISC-Ⅲ 표준화 자료에서 요인부하량이 가장 높은 소검사들로 구성된 단축형을 검증 대상으로 하였다. 만 6세부터 16세 사이의 정상 및 임상 집단 총 294명을 무선적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고 그 중 한 집단의 점수로 8 가지 단축형 각각에 대한 IQ 회귀공식을 산출하고 이 공식을 다른 한 집단에게 적용하여 단축형 추정 IQ를 산출하고 이 IQ와 이 집단의 실제 전체 IQ 간 상관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축형 추정 IQ와 전체 IQ 간 높은 상관이 확인되었으며, 두 IQ의 평균차이는 ‘일반지식+빠진곳찾기’로 구성된 단축형을 제외한 나머지 7 가지 단축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단축형 추정 IQ와 전체 IQ를 지능범주로 분류하였을 때 범주분류의 상관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K-WAIS-III 단축형의 타당성을 말해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hort forms of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Ⅲ; Kwak et al., 2001). K-WISC-III data from 294 normal and clinical samples aged 6 ~ 16 were used to examine eight short forms of Doppelt type short forms of the K-WISC-III: seven from Campbell(1998)'s study and one from K-WISC-Ⅲ factor analysis. Data from 294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used to make regressional equations of the eight short forms to estimate IQs. The second group was used to compare the estimated IQs of the eight short forms with IQs determined using the full scale. There were high levels of correlations between estimated IQ and full scale IQ. Mean differences between two IQ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Information+Picture Completion” short form. Spearman's Rho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IQ categories were very high.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short forms of the K-WISC-III.

인터넷동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곽웅신(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291-310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7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중독의 연구 및 치료에 적용가능한 인터넷동기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인터넷 중독 성향자 22명에 대한 초점집단면접과 문헌 조사를 통해 얻은 107개의 예비 문항을 남녀 대학생 451명에게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47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자극추구동기, 숙달동기, 상호작용동기, 정보동기, 집착동기, 도피동기, 표현동기, 성적동기 등 8개의 1차 요인과 경험동기, 소통동기, 중독동기 등 3개의 2차 요인을 가진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233명의 교차타당화 자료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상위 3요인 - 하위 8요인의 위계적인 요인구조가 재확인되었으며, 인터넷이용동기척도 및 Young의 인터넷중독척도와의 공존타당도(concurrent validity)가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internet motivation scale. A total of 107 items for internet motivation were collected based on previous scal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of 22 internet addicts.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51 undergraduates. By item analysis, 47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Internet Motivation Scale. The model included 8 first-order factors and 3 second-order factors: sensation-seeking, mastery, sexuality (experience motive), interaction, information, expression (communication motive), preoccupation, and escapism (addiction motive). Cross-validation data from 233 subjects supported the 3-8 factor model by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Internet Use Motive Scale and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성격장애 진단검사 의존성과 회피성 소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노은정(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황순택(충북대학교) ; 구형모(충북대학교) ; 이숙희(충북대학교) pp.311-332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재삼과 황순택(2006)의 성격장애 진단검사 중 의존성 소척도와 회피성 소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총 566명의 대학생과 일반인에게 성격장애 진단검사의 두 소척도와 이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준거 검사들이 실시되었다. 이들 중 60명에게는 3주 간격으로 두 소척도의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소척도 모두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산출된 각 소척도의 요인들은 DSM-Ⅳ의 진단준거와도 적절하게 부합하였다. 또한 두 소척도와 준거지표들간 상관분석을 한 결과 두 소척도가 각각 의존성과 회피성의 개념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성격장애 진단검사의 의존성 소척도와 회피성 소척도가 각각 의존성과 회피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pendent subscale and the avoidant subscale of the Diagnostic Test for Personality Disorders(DTPD; Seo & Hwang, 2006). Two subscales of the DTPD and several tests known to measure dependent and avoidant traits were administered to 566 respondents(286 college students and 280 adults). Internal consistencies and test-retest reliabilities of two subscales of the DTPD were considered to an acceptable level. Factors of these two subscales conform to diagnostic criteria of the DSM-IV(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Correlations of two subscales of the DTPD with tests known to measure dependent and avoidant traits proved the concurrent valid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wo subscales of the DTPD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o measure the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respectively.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 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이봉건(충북대학교) pp.333-345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K-MBSR)을 실시하여 한국우울증검사(KDS-30),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집중 자각척도(MAAS), 한국판 몰입척도(absorption) 상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은 충북지역의 00 대학교에서 정규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었다. 처치집단에게는 수업 중에 약 1시간씩 8회기의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건강에 관한 강의를 수강하였다. 이 두 집단에 대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한국우울증검사,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집중 자각척도(MAAS), 몰입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처치집단에서 몰입성의 증가와 우울증의 감소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증을 경감시키고 몰입성을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그밖에 장차의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고찰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on depression, mindful attention awareness, and absorption, using the KDS-30, the Korean MAAS, and the Korean absorption scale in university student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udents attending regular courses at the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South Korea.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eight sessions of the Korean MBSR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attended a course on the psychology of heal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Korean depression scale(KDS-30), Korean MAAS, and Korean absorp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of absorp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This suggests that the Korean MBSR reduces depression and increases absorp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의 양손 운동 수행 능력 차이 비교
류경희,(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347-353 https://doi.org/10.15842/kjcp.2008.27.1.02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ve mood on the functional asymmetry in motor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screened out of 360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BDI-II score: cut-off score of 14 for the High Depression Group (upper 20%) and 5 for the Low Depression Group (lower 20%).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ll right-handed and matched for gender; 32 depressed students (16 males and 16 females) and 32 non-depressed students (16 males and 16 females). A hand dynamometer was used as a standardized measure of asymmetric motor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males,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by Hand interaction effect. The mean grip strength of the right h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eft hand for the Low Depression Group, whereas the High Depression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greater right-hand grip strength. However, no such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in femal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current neuropsychological model indicating relatively low activation of the left hemisphere in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