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외현화, 내재화 문제를 가진 아동 임상집단의 Rorschach 반응 특성에 관한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esponses: Focusing on Children with Internalizing Problems vs. those with Externalizing Problems

초록

본 연구는 아동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정신과적 문제를 경험적이고 통계적인 절차에 따라 외현화, 내재화, 혼재된 문제를 가진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로샤 반응을 비교함으로써 집단 간 심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 특성이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행동문제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1에서는 각 집단의 로샤 반응의 특성을 비교해 심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고찰한 결과, 핵심영역에서 R, EB비율, 정서영역에서 색채반응 총합, 자기지각영역에서 Mor반응, 대인지각영역에서 AG반응, 중재영역에서 X+%, 특수지표에서는 SCZI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문제 2에서는 K-CBCL하위변인과 로샤 반응과의 관계를 상관 분석하여 심리적 특성과 행동문제와의 관련성을 본 결과, 내재화 문제는 AG반응, 소외지표, 색채반응 총합, R과 유의한 역상관 보였고, 외현화 문제는 Mor 반응, P, Mp반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 내재화 문제는 반응수가 적고, 내적 사고활동을 통해 욕구를 해결하며, 자기 손상감이 많고, 관습적인 반응을 보이며, 공격성이 적은 한편, 감정을 표출하는 경향성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외현화 문제는 공격성이 높고, 감정표출을 통해 욕구를 해결하며, 사고나 인지왜곡 같은 인지 오류가 많고, 손상감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 혼재문제의 경우, 심리적 특성은 내재화 문제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행동화된 문제를 보인다는 점에서 내적 갈등을 외현화된 방어기제를 사용해 대처할 가능성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내재화 문제의 경우 내면의 손상감, 낮은 자기 존중감, 심리적 고통감을 경감시키고, 분노나 적개심을 끌어내어 외부로 표현할 수 있도록 놀이치료, 심리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외현화 문제는 계획능력과 통제력 및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행동의 결과를 인식시키는 인지행동치료, 행동수정과 같은 치료적 개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함의가 있다.

keywords
외현화 문제, 내재화 문제, 혼재된 문제, Rorschach, K-CBCL,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Mixed problems, Rorschach, K-CBC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roblems, to contribute to current knowledge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for children with various behavioral problems. We devided 54 children, who were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but excluding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Mental Retardation), into 3 group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mixed problems) using the Korean child behavioral checklist(K-CBCL). Our research investigated two questions; First, Would there be any significant Rorschach responses differences, in accord with Exner’s A comprehensive system(1993) among the three groups? Second, Would the children's Rorschach responses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low- ranking scales of the K-CBCL? We analyzed the data by means of Chi-square test, ANOVA, Tukey test, ANCOVA, Helmett contras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ed via SPSS 12.0 program. The three groups' common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ere ‘higher Lambda values’, ‘D score< 0’, ‘lower Afr values’, and ‘CDI> 3.5’. The Mixed and Internalizing groups had lower energy levels, and more rigid thinking than the Externalizing group did. The Mixe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clination to absorb inner thought activity than the Externalizing group did. The Mixed group also had higher X+%, than other groups did and was more likely to have D>Adj D. The Internalizing group was more likely to show ‘Mor(Morbid response)’ than other groups were, so this group was the most self-critical, most extremely damaged, and had the lowest aggressive movement content. The Externaliz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greater inclination to change personalities to fulfill desires, They externalized their inner hostility and expressed their aggression. The External group's number of Form Qualities responses that were minus or unusual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so they had a greater inclination to perceive unusually and impulsively.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keywords
외현화 문제, 내재화 문제, 혼재된 문제, Rorschach, K-CBCL,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Mixed problems, Rorschach, K-CBCL

참고문헌

1.

강봉규 (2004).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증보판, 동문사

2.

고기원 (2005). Rorschach 반응에 의한 청소년 비행 성향의 예측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만권 (1987). Exner방식에 의한 정상 임상군 Rorschach 반응 특성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상윤, 유영금 (1993). 한국 정상 아동의Rorschach반응의 요인분석. 아동연구(93, 2),

5.

김영환, 김지혜 외 (2000). 로르샤하 워크북. 학지사.

6.

김윤희, 신민섭, 권석만 (2004). 아동 및 청소년 환자군의 정신증적 장애진단에 있어서 Rorschach검사의 PTI와 SCZI의 진단적 유용성 비교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3(3), 815-827.

7.

도상금 (2001). Rorschach 검사의 치료적 활용. 대학생활연구. 제19호 2001.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67-86.

8.

박영숙 (1994). 심리평가의 실제. 하나의학사.

9.

박진희, 조선미 (2001). 아동 로샤검사에 있어서 표준화된 방식과 수정화된 방식의 비교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0(2). 287-298.

10.

배금예 (2005). 로샤 검사에서 나타난 ADHD 아동의 심리적 특성. 정서장애 행동연구: 21(4). 45-69.

11.

신민섭, 김민경 (1994). 아동기 우울증의 평가.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 5(1). 12-27.

12.

신민섭, 고승희 (1995). Multidimensional Scailig을 이용한 아동기 우울증, 우울증적 품행장애, 그리고 품행장애 간의 진단분류적 접근. 신경의학, 20, 94-106.

13.

신윤오, 조수철, 홍강의, 김자성 (1993). 소아정신과 입원 환자의 공존질병. 소아청소년 의학, 4, 91-97.

14.

양익홍 (2000). 품행장애의 로샤 반응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임상, 19(4). 853-881.

15.

오가혜, 고기원, 조선미 (2005). 로샤검사 반응에 의한 청소년 비행성향의 예측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2(4), 195-214.

16.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1). 문항분석을 통한 한국판 CBCL의 임상유용도 검증.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2(1). 138-149.

17.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5). K-CBCL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중앙적성출판사.

18.

이현진, 박영신 외 (2004). 아동정신병리. 시그마프레스.

19.

임진현 (2005). 우울-품행장애 성향 청소년의 기질과 자기개념 및 정서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조윤녕 (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부모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내면화, 외현화 증상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조은정, 이선미, 이문숙 (2003). 우울 동반 여부에 따른 ADHD의 Rorschach 반응 특성 비교, 14, 2, 174-182.

22.

조현춘, 송영혜, 이명희 (1995). 아동의 로샤 반응. 정서. 행동 장애연구. 63-79.

23.

최정윤 (2002).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282.

24.

하은혜 (2006). 청소년기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내용특수성 검증: 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변별하는가?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5권 2호, 429-447.

25.

Achenbach T. M., Ed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Thomas Achenbach, Burlington, VT.

26.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Vermont

27.

Cantwell D. P., Carlson G. A. (1979). Unmasking Maske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J psychiatry 137: 445-449.

28.

Exner, J. E. (1993).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 volume1. Basic Foundations New York: Wiley.

29.

Exner. J. E., Weiner I. B. (1982).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3;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hn Wiley & Sons, Inc., York, pp.129-209.

30.

Exner, J. E., Weiner I. B. (1995).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 volume3: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31.

Holt R. R. (1977). A method for assessing primary process manifestations and their control in Rorschach Responses. In M. A. Rickers -Ovsiankina(Ed.), Rorschach Psychology (2nd ed.)., 375-420. Huntington, NY: Krieger.

32.

Loving, J. L., & Russell W. F. (2000). Selected Rorschach variables of psychopathicjuvenile offender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5(1), 126-142.

33.

Patterson, Barbara DeBaryshe, and Elizabeth Ramsey (1989).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44: 329-335

34.

Quay, H. C., & Peterson, D. R. Manual for the Behavior Problem Checklist. Published by the authors at 59 Fifth, Highland Park, New Jersey, 08904, 1979

35.

Rutter. M., Tizared. J. & Whitmore. K. (1970). Education health & Behavior. London: Longman.

36.

Rutter, M., Tizard, J., Yule, M., Graham, P. J., Whitmore, K. (1976). Research report: Isle of White studies, 1964-1974. Psychological Medicine, 6, 313–332. (s)

37.

Rutter. M, Tuma AH, Lann IS (1988); Assessment and Diagnosis in Child, New York, Guilford Press.

38.

Sol L, Garfield. The Rorschach Test in clinical diagnosis. J of Clinical psychology 2000; 6(3): 387-393

39.

Van der Kolk, B. A., and Ducey, C. P. (1984).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orschach in PTSD. American Psychiatric Press, Washington, DC, p.29-41

40.

Weisz, J. R., & Weiss, B. (1991). Studying the “Referability” of Child Clinic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266-273.

41.

Weiner (1998). Principles of Rorschach Interpret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