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y-RPG form on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ducing Negative Emotion in Childr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program which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nimize negative emotion and improve their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This program was a synthesis treatment which include a role playing game and group therapies. A total of 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ruited by a mental health center or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taining 30 students each. The study duration included 10 program events lasting 60 minutes each, which were held once per week. The study program included activities and observations that tested depression, state-anxiety, trait anxiety, anger,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Results after 30 days showed that test, depression, state-anxiety, trait anxiety, and anger score had all decreased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self-esteem score improved. In conclusion, the RPG-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program integrated group therapy produced desirable effects for the purpose of dispelling negative emotion and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keywords
RPG, 게임화, 정서조절, 부정적 정서, 자아존중감, RPG, Gamification,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 Emotion, Self esteem

Reference

1.

강지영 (2002). 피학대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

김성동, 이면재, 송경애 (2012). 게임화를 이용한 대안적 학습모형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5, 82-88.

3.

김신정 (2012). 초등학생의 정서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어머니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영혜 (2010). 대인불안과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 연구, 17(7), 1-20.

5.

김현우, 김옥주 (2013). 고등학생 체육수업 내적동기가 재미거리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1(2), 15-29.

6.

노미라 (2008). 여가활동 참가노인들의 재미요인과 몰입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서정 (2004).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영숙 (2010). 정신건강의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9.

박진아, 정문자 (2001).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07-122.

10.

박형석, 박옥희, 백영균 (2009).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학습자, 게임, 몰입 변인의 사회적문제해결력에 대한 경로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3), 39-62.

11.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0.

12.

심은영, 김정모 (2004). 이야기치료를 통한 우울 성향 아동의 자아개념, 우울수준, 문제행동 변화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8(2), 49-64.

13.

이계성 (2013). 아동의 내외통제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민아 (1998). 초등학생의 집단 괴롭힘 개입유형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1), 95-108.

15.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희경, 박미한, 이지연 (2013), 초등여학생의 우정관계 질투정서와 관계적 공격성에서 정서조절능력을 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지, 22(3), 207-229.

17.

임미혜 (1998). 생각하기․느끼기․행동하기 유아 정서교육과정의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윤선자 (200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정소윤 (2008).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교육용 가상세계의 콘텐츠 연구.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3, 54-76.

20.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 943-956.

21.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 소아의 상태-특성불안척도의 개발. 서울의대정신의학, 14(3), 150-157.

22.

조창호 (2011). MMORPG의 특성요인이 청소년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최은혜 (2010). 초등영재아동의 지각된 성취압력과 스트레스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아동 교육, 19(3), 265-285.

24.

파이낸셜 뉴스 (2011. 9. 4.). 초중고생 정신건강 “빨간불”..3년간 13.5% 정밀진단 要. available from http://www.fnnews.com.

25.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08). 청소년 게임 과몰입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매뉴얼 보완 및 대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6.

홍옥표 (2003). 초등학생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Adam, J. A., & Weaver, J. (1986). Self-esteem and perceived stress in young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 Unexpected finding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Care, 7, 173-177.

28.

Bisschop, M. I., Kriegsman, D. M. W., Beekman, A. T. F., & Deeg, D. J. H. (2004).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Social Science & Medicine, 59, 721-733.

29.

Bridges, L. J., Denham, S. A., & Ganiban, J. M. (2004). Definitional issues in emotion rearch. Child Development, 75, 340-345.

30.

Brezinka, V. (2007). Treasure Hunter-A psychotherapeutic game to support cognitive-behavioural treatment of children. Verhaltenstherapie, 17, 191-194.

31.

Ceranoglu, T. A. (2010). Video games in psychotherap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4(2), 141-146.

32.

Coyle, D., Doherty, G., & Sharry, J. (2009). An evaluation of a solution-focused computer game in adolescent intervention.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4, 345-360.

33.

Eisenberg, N.,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 to children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34.

Gardner,J. E. (1991). Can the Mario Bros. help? Nintendo games as an adjunct in psychotherapy with childre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28, 667-670.

35.

Hawke, R. (1994). Dungeons and Dragons: the use of a fantasy game in the psychotherapeutic treatment of a young adult. Journal of Psychotherapy, 48(4), 624-63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