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이용, 검색결과: 236
91
김지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천희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문서현(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권선영(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219-256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219
초록보기
초록

지능정보사회에서 VR 기술은 차세대 기술로서 주목받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에서도 VR 기술을 접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에서 이용되고 있는 VR 콘텐츠를 조사하여 분류하고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R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도서관을 대상으로 VR 콘텐츠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바탕으로 향후 VR 콘텐츠를 도서관에 적용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VR 콘텐츠를 대상으로 실제 사례에 기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VR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technology, and its importance as been emphasiz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re is a need to incorporate VR technology in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lassify VR content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status. Therefore, in this study, cases of VR cont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to which VR technology is applied and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matters to be noted when applying VR content to the library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study based on actual cases targeting VR content that was not discussed intensively in previous studies.

92
이두영(중앙대학교) ; 김희전(가톨릭대학교) 2003, Vol.20, No.2, pp.73-9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73
초록보기
초록

1970년대 후반 북유럽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시작된 서비스 품질 연구는 기업이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서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면의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인 SERVQUAL과 SERVPERF를 적용하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SERVQUAL과 SERVPERF중 어떠한 방법이 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적합한 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민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Abstract

Research papaers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began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many Northern Europe at the end of 1970, have been found since the companies became much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ervices they offered. Libraries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velop a competitive strategy to offer a high level of services to those who use libraries. The purpose of study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SERVQUAL" and "SERVPERF" of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to determine which of these 2 methods is better in terms of measuring library servic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제시한 주제화 모형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도서관의 운영 패러다임은 논리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장서 구분 및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주제화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셋째,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으로는 ‘광역형 주제화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1) 광역형 주제화의 공간모형은 중앙도서관의 경우 대학생을 위한 ‘학부전용도서관’으로 운영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주로 하는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2) 광역형 주제화의 장서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학부생들의 과제 및 학습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한 서지 및 정보제공에 치중하는 방안이다. 기능적 업무담당사서를 배치하고, 주제도서관은 주제담당사서와 기능적 업무담당사서 그리고 주제와 연관이 있는 학과의 대학원생을 조교나 보조학생으로 확보해 서비스를 주제별과 이용자별로 차별화하는 방안이다.

Abstract

Second, the necessity of adopting subject divisional plan is to secure enough subject librarians and large space. These necessities must be fulfiled prior to adopting th e subject divisional plan. rvice of university library is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model'.1)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spa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is programed as undergraduate librar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operated as research 2) In central library, the collection model of wide-area subjec t divisional plan is practiced as ofering reference and general education centered data f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furnished with research papers, recent journals, and various ma 3) The human resour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 n is aplicated by aranging apropriate librarians at the right place.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reference librarians and librarians who educate the users and take charge of function are set in to hel Subject library needs to secure subject librarians, librarians who take charge of function,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lated to the subject as student assistant. T he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reference service by subjects and users.

94
노효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9, Vol.36, No.1, pp.137-168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1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과 대학도서관 서비스품질 평가, 이용자만족도 및 충성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이용자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J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282부의 유효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변수들의 평균값을 기술통계량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프로그램 모형 4번과 6번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은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따라 이용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서비스 혜택 지각 및 충족감, 상호영향의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서비스 품질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개로 이용자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평가가 높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은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만족도에 따라 이용자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서비스 혜택 지각 및 충족감, 상호영향의식이 서비스 품질평가를 매개로 이용자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가설1), 이용자만족도를 매개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이용자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평가가 높고, 이용자만족도가 높아지며, 이를 통해 이용자충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measures and analyzes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quality assessment,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on university library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mediated by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i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study result,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and user loyalty,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library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and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bject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Central Librar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 National University, and the final 282 sample was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It is the result of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mediated effects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programs models 4 and 6 of Hayes for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Benefi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Mutual sense of influence) effect the user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brary mediated by service quality assessment a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the higher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library. Second,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Benefi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Mutual sense of influence) effect the user loyalty of university library mediated by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user satisfaction. Th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the higher user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library and the higher the user loyalty level of university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95
이현실(원광대학교) ; 배창섭(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이은주(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한성국(원광대학교) 2009, Vol.26, No.3, pp.47-67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ecosystem of the Library has been radically changing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We are already aware of the digital library due to populariz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we are impressed with Library 2.0 and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 of user-centered, service-oriented library. We summarize the ultimate goal of the evolution of library systems as knowledge services and propose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knowledge services. This local model can be applied for a library framework to harmonize the diverse knowledge resources, active users wit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e innovation of library busines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ies to achieve the missions of library in knowledge-intensive society.

96
지선혜(국립중앙도서관 사서)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95-117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95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의 지적․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문화 프로그램의 하나로 전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순회전시 운영 방식과 홍보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순회전시의 이용 정도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 편지’ 수상작 순회전시를 연구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여 5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회전시의 운영 방식에 따라 전시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시 홍보물’과 ‘도서관 홈페이지’는 순회전시 홍보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전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순회전시 효과, 순회전시 평가가 소극적인 이용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순회전시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libraries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for users to meet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needs. Thus, the proportion of exhibitions as one of the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the librarie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operation method and promo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hosted by public librari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us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For this purpose, a research program, the traveling exhibition of the award-winning works: the Hangeul Hand Letters to the People in Book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as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85 users from five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raveling exhibition among library use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promotional material’ and ‘library homepage’ were proven to be a useful way to promote the traveling exhibition. Also, the overall use of library, the effect of traveling exhibition, and the evaluation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users who actively used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sers who passively used it.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to increase the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suggested.

97
노영희(건국대학교) ; 신영지(건국대학교) ; 곽우정(건국대학교) 2019, Vol.36, No.2,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이용경험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의 주제 선정 시, 해당 도서관의 지역적 특징과 역사, 인구분포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지역 주민 및 도서관 이용자의 수요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프로그램의 기획 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프로그램 진행자를 기반으로 하여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 충분한 주제 관련 장서와 공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장서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은 공간은 이용자에게 특화장서와 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자관이 제공하는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적합한 구조여야 한다.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user experie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specialized library users, and based on the ISA method, compare the specialized theme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 specialized program, specialized theme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derive issues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equently, first, when selecting the theme of the specialized library, the theme ought to be selected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istory and demographics of the library, and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library users would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when planning the specialized program, the specialized library ought to consider operating differentiated programs based on the program operator who has the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Furthermore, sufficient theme related books and space must be secured, and moreover, the program must be planned in connection with the book collection. Third, the specialized library should be so structured as to ensure that the space may serve specialized themes provided by the library in order to provide specialized collections,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users. In addi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users in designing the space must be considered.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도서관의 신축 및 리노베이션을 통한 공간구성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인 자료 보존 및 제공 그리고 대학교 구성원의 학습에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자(supporter)의 기능을 넘어서, 공간구성의 변화를 통해 학습과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조력자(facilitator)의 기능으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학도서관 공간 기능의 변화와는 달리 이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리노베이션이나 신축 전후의 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 혹은 도서관 이용의 변화에 국한되고 있어서, 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반영한 도서관의 학습커먼즈(learning commons)로서의 기능을 평가하는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개발과 미래의 공간구성 및 평가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attempting to reorganize their space through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remodeling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university environment. These changes seem to reflect the need for the shift of the university library functions toward the facilitator role of enabling continuous learning and research through space reorganization beyond the traditional supporter role of preserving and supplying library materials and providing learning space and services to university members. Despite all these changes of university library space functions, however, their assessment has been still limited to the library users’ satisfaction and usage changes before and after library building renovation or new construction, calling for the need to develop proper measurement tools for evaluating the library functions as learning commons that reflect university vision and goal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rend of space reorganization practices in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studies of evaluating its effect, in order to develop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pace reorganiz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pace reorganiz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99
정준민(전남대학교) ; 박성우(광주교육대학교) 2004, Vol.21, No.4, pp.265-279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본질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질을 통해 도서관이 가져야할 정체성을 확립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해 정보문화사를 통한 도서관적인 행위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유비쿼터스라함은 인간이 모든 것을 주변에 두고자 하는 욕구 상태를 현실에서 실체화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정보는 유비쿼터스 상태로 존재하며, 도서관은 유비쿼터스 상태의 확장을 통해 진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보행위는 인류의 역사에서 계속되어지고 있으며, 도서관 관념은 도서관적 행위 즉 생산, 축적, 가공, 배포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서관의 최종적인 목적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라는 점이 재인식 되었고, 정보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응용과 내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서관은 유비쿼터스 상태의 확장을 통해 개별화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모형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research quintessence of information service in the libraries by interpreting ‘Information' as it is ubiquitous. For the purpose,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information behaviors of the libraries in information-cultural history. The meaning of ‘ubiquitous' is understood as a practice that everything we need should be inherent in our lives for it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Information is intrinsic in our lives and the librari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evolved by extending the intrinsic value of information, ‘ubiquity'. Human being's history results from information behaviors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ies consists of production, accumulation,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librarie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ibrary services is for their users. Consequently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cal networks in the libraries should be focused on applications and inherence for the purpose. Model studies of the libraries should be developed to user-centered information services that substantialize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as it is ubiquitous. This study is a trial for defining the quintessence of the libraries. Furthermore, it provides foundation of understanding what the libraries are.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도서관은 디지털도서관 개념으로 빠르게 변모되면서 인쇄매체의 디지털화, 디지털출판물의 증가 및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용이해 짐에 따라 디지털저작물에 대한 불법적인 이용과 복제 및 전송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디지털저작물의 저작권관리를 위한 저작권관영성으로 효과적인 유통 구조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효과적인 저작권 관리를 위해서 저작권정보 구축시스템을 개발하고 저작권정보의 이용 프로세스를 구현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adapt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community for the standardisation of expressing rights information in the libraries' content for the control of the rights of the digital work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ights information, that can build effective system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by the public ownership of the rights information and the interoperability of system. This research developed rights information constructing system in order to protect and enforce their rights over digital assets and embodied utilizing use-process of rights inform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