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간광고 도입에 따른 주요 쟁점에 대한 마케팅 관점에서의 재평가

New Perspective and Reevaluations about major Issue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자주 논란이 되어 왔던 중간광고 도입에 따른 주요 쟁점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중간광고 도입에 관한 찬반양론은 관계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고, 각 관계자들은 기관의 입장을 반영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기된 찬반양론들은 공급자 관점에 따른 기본 전제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간광고의 도입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시장경제와 광고주의 구매행태 관점에서 재해석하였고, 그에 따라 기본 전제에 대한 재평가를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중간광고의 도입이 방송사의 광고수입 증가를 보장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방송광고의 구매는 광고비용의 효율성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중간광고의 도입은 공급자 논리에 따른 방송사의 수입증가 가능성보다는 광고시간대 구매효율성 측면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간광고가 가져다 줄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시청률을 의식한 선정적이고 폭력적 프로그램의 증가 가능성)는 인과관계 측면에서 다시 해석되어야 한다. 셋째, 시청자의 시청권 제한도 뉴 미디어에 따른 환경변화에 따라 다시 평가될 필요가 있고, 보다 넓게 시청만족도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중간광고의 도입이 광고 산업 전체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로 인한 문제점들이 최소화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될 수 있기 때문에 중간광고 도입방법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식이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keywords
between-program advertising, cost efficiency of advertising, infringement of program selection right, audience rating and sensationalism, 중간광고, 광고의 비용효율성, 광고의 사회문화적 효과, 광고의 경제적 효과, 시청권 침해, between-program advertising, cost efficiency of advertising, infringement of program selection right, audience rating and sensationalism

Abstract

This study reevaluated the issues that have been controversial about the effects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in TV. Although various pros and cons about the permiss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across constituent members have been provided, each constituent member has incorporated each organization’s perspective. Also, those pros and cons are based on several premises from a suppliers’ perspective. Thus,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effects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from a perspective based on market economy and advertisers’ purchase behavior and provided reevaluations on basic premises accordingly. First, this study insists that the introduct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does not guarantee the increase of broadcasters’ advertising revenue, because the advertisers’ purchases of TV advertising depend on cost efficiency of the program. Thus, the introduct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need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st efficiency rather than revenue increase. Second, negative effects(potential increase of suggestive and violent programs resulting from program production accounting audience rating)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should be discussed from a perspective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Third, the issues about the restriction of audiences’ program selection right need to be reevalua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from new media era and from a audience satisfaction perspective. Overall, we suggest that the introduct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can provide positive effects to advertising industry and the problems can be minimized.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concrete scheme for the introduction of between-program advertising need to be developed more openly and actively.

keywords
between-program advertising, cost efficiency of advertising, infringement of program selection right, audience rating and sensationalism

참고문헌

1.

권호영 (2008). 광고 정책에 대한 재조명. 한국방송학회 기획학술세미나, 57-77.

2.

김관명 (1997). 프로그램 중간광고-KBS 수신료 인상. 한국일보, 11월 13일.

3.

김상훈, 박현수 (2002). 방송광고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총량제와 중간광고의 활용. 광고학연구, 13(5), 137-158.

4.

김동훈, 안광호, 유창조 (2007). 촉진관리: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접근, 학현사.

5.

김상훈 (1999). 중간광고 도입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44(가을호), 105-127.

6.

김상훈 (2007). 광고제도의 글로벌 스탠다드와 중간광고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007년도 광고학회 연차학술대회, 12-22.

7.

김영 (2006). 케이블TV 중간광고의 광고순서에 따른 개별 광고시청률 차이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7(4), 373-402.

8.

김재영 (2007).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 재도입에 관한 하나의 시각: 중간광고는 공익성을 저해하는가?.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5-26.

9.

김재휘 (1999). 중간광고 분산화 연구. 광고업협회 보고서.

10.

김효규 (2008).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소비문화연구, 11(2), 105-125.

11.

김희진, 이혜갑, 조정식 (2007). 광고매체기획론, 학현사.

12.

문철수 (2007). 지상파 방송의 재원구조 개선 방안 연구: 방송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 도입 논의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7(4), 46-78.

13.

박노성 (2004). 중간광고의 경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보고서.

14.

방송위원회 (2007).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허용범위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15.

박원기, 오완근, 이승연 (2003). 광고매체론(마케팅/광고 총서 4). 케이에이디디.

16.

오명환 (1998a). 중간광고는 필요선이다. 광고정보, 1월.

17.

오명환 (1998b). 중간광고는 광고의 제자리 찾기. 방송문화, 3, 22-25.

18.

유흥식 (2003). 디지털 미디어 시쟁의 방송저널리즘 윤리 재정립에 관한 연구: 보도의 선정성, 폭력성과 디지털 영상조작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56(여름호), 61-87.

19.

유창조 (2008). 소비자의 역할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새로운 소비문화 발현자로서의 소비자. 한국마케팅저널, 10(2), 153 -159.

20.

윤석년 (2008). 방송광고 규제정책의 변화와 영향에 관한 연구: 민영 미디어렙 도입과 중간광고 허용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9(2), 37-66.

21.

윤정호 (1997). 시청권 침해하는 중간광고. 조선일보, 2007년 11월 12일.

22.

이규완, 박원기 (2004).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재도입시 광고시청량 변화에 관한 예측. 광고학연구, 15(3), 113-133.

23.

이수범 (2007). 방송광고 규제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광고인과 소비자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3), 7-28.

24.

이유재 (2000). 고객만족 연구에 관한 종합적 고찰. 소비자학연구, 11(2), 139-166.

25.

이재록 (2007). 중간광고 효과 있나?. 광고계동향, 6월.

26.

이학식, 최명진, 전선규 (2007). 소비자 만족/불만족 판단과정에서 이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의 효과: 제품성과에 대한 기능적 편익과 심리적 편익의 구분에 따른 연구. 마케팅연구, 22(2), 1-19.

27.

이현선 (2008).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3, 282-314.

28.

이호배, 박현수, 박창희, 박은아 (2003). 방송프로그램 및 광고 선정성과 시청률의 관계연구. 한국방송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372-385.

29.

이희욱, 백병호 (1998). 중간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Marketing Communication Review, 4(2), 69-80.

30.

임동욱 (1999). TV 중간광고 허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광고홍보학회. 2(2), 151-169.

31.

임동욱 (2000). 중간광고 허용은 시청자 주권의 심대한 침해.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공동주최 학술세미나, 10-18.

32.

정걸진, 김상훈 (2001). 방송광고 환경변화에 따른 TV중간광고에 관한 탐색연구(광고관련 전문가 중심). 한국광고학보, 3(1), 137 -165.

33.

정연우 (2005). 수용자 주권과 방송광고제도: PPL과 중간광고, 총량제. 한국언론정보학회세미나, 24-35.

34.

조은기 (2005). 방송광고시장 규제원칙에 관한 소고 - 최근의 방송광고 제도 개선 논의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겨울호, 7-27.

35.

조전근, 문윤수 (2008). 광고개발(도입)에 따른 사회적 평판연구: 중간광고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각적 판단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9(6), 135-164.

36.

조정식, 한정호, 박남숙 (1997). 우리나라 광고주들의 광고예산 수립과정의 실제. 광고연구, 35, 79-93.

37.

주창범 (2001).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정주의와 정부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원 석사논문.

38.

최영묵 (2001). 방송광고제도 개선방안 연구. 방송위원회 위탁연구과제.

39.

한국방송개발원 (1997). 방송프로그램의 폭력성, 선정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40.

한국방송진흥원 (2000).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정성 분석(1997-2000). 한국방송진흥원.

41.

Shimp, Terence A. (2007). Advertising and Promotio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Thomson Learning Academic Research Center.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