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인의 사회심리특성과 소비의례화 성향이 명품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인과모형분석

Causal Analysis of the Effect of Koreans'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tualized Consumption on their Attitude of Luxury Goods Consumption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시장에서의 독특한 명품 선호 현상들은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들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시작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론된 한국인의 심리특성 중 사회심리 특성들에 해당되는 체면, 우쭐, 눈치 특성과 소비의례화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체면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쭐 특성은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눈치 특성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면 특성이 소비의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쭐 특성과 눈치 특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의례화 성향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의례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체면과 우쭐 특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눈치 특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 변인들을 토대로 명품구매행동을 연구했다는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학술적 의의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명품 광고 및 마케팅 활동들은 근본적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독특한 심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출발로 하여 실행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ocial face(Chemyon), Boasting(Uzzul), Tact(Nunchi), Consumption ritualization, luxury goods attitude, 한국인의사회심리특성, 체면, 우쭐, 눈치, 소비의례화, 명품태도

Abstract

Recent phenomenon appeared to prefer luxury goods in Korea. This study was that the Koreans' psychological traits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prefer luxury goods assume. Were selected based on inferred to be related to the Koreans for luxury goods consumer attitudes and psychological traits of the existing study.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Social face(Chemyon), Boasting(Uzzul), and Tact(Nunchi) traits and consumption a ritualized research relevance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he Social face(Chemyon) for luxury goods properties that negatively significant affect consumer attitudes. On the other hand, Boasting(Uzzul) characteristics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Was Tact(Nunchi) means that do not affect the characteristics. Second, it means that the ritualized consumption does not affect the Social face(Chemyon) traits were On the other hand, Tact(Nunchi) and Boasting(Uzzul) traits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Thir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for luxury goods consumption ritualized behavior. Finally, the parameters of ritualized consumption effects were identified. The Social face(Chemyon) and Boasting(Uzzul) characteristic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fully mediated the effect noticed Tact(Nunchi)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Korea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xury goods that research purchasing behavior, and academic significance, but also lat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rovide a measure of the significance has both.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scientific significance. Essentially consisting of Koreans in Korea brand advertising and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onsumers on the unique psychological properties should be done, and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marketing executio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keyword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ocial face(Chemyon), Boasting(Uzzul), Tact(Nunchi), Consumption ritualization, luxury goods attitude

참고문헌

1.

김대업 (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학현사.

2.

김미숙, 안수경 (2010). 명품 대중화 시대의 명품 브랜드 인지도와 주요 속성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8(1), 133- 149.

3.

김석우 (2011). SPSS AMOS 활용의 실제. 서울: 학지사.

4.

김재문 (2002). 명품의 조건. LG주간경제, 677호, 34-38.

5.

김지연, 황상민 (2009).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자 유형과 소비 특성: 가치 소비로서의 명품 소비 심리. 주관성연구, 제19호, 43- 59.

6.

맥킨지 (2010). 2010 한국 소비자 에세이.

7.

박상일, 김미정 (2008). 명품브랜드의 가치, 관계품질, 향후 행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0(3), 35-56.

8.

박종삼 (1985). 한국인의 사회행동에서 나타나는 체면-기분-눈치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이해의 가능성. 숭실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 1-22.

9.

박진아 (2010).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명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8), 1303-1318.

10.

박 철, 김기찬 (1995). 소비경험의 의례화와 그 측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산업경영연구, 제3호, 123-142.

11.

서용한, 오희선, 전민지 (2011). 체면이 명품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1), 25-31.

12.

성영신, 이지량, 신주리, 정용기 (2004). 명품 vs 대중품 브랜드 로고에 대한 소비자 심리 비교: fMRI를 통한 지각, 인지 및 정서반응. 광고학연구, 15(4), 249-276.

13.

염동섭, 유승엽 (2012). 한국 소비자의 명품 소비행동은 어떠한가?: 동기, 혜택 및 손실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3권 3호, 323-341.

14.

염동섭, 이철영 (2011). 한국 소비자의 특이 성향과 의례화 성향 요인분석 및 명품 브랜드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제33호, 451-460.

15.

오세철 (1982). 한국인의 사회심리. 서울: 박영사.

16.

유승엽 (2007). 한국인의 문화심리 특성 요인과 의례소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8(2), 205-233.

17.

유승엽, 염동섭 (2012).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광고 제작 시사점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1), 203-213.

18.

윤태림 (1971). 의식구조상으로 본 한국인. 서울: 현암사.

19.

이규태 (2000). 한국인의 의식구조(1, 2, 3, 4). 서울: 신원문화사.

20.

이규태 (1983). 한국인의 의식구조(1, 2, 3, 4). 서울: 신원문화사.

21.

이부영 (1983). 한국인 성격의 심리학적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인의 윤리관 Ⅰ, 227-276.

22.

이석재, 최상진 (2001). 체면지향행동의 이원구조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65-83.

23.

이승희, 이 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24.

임태섭 (1993). 정, 체면, 연줄 그리고 한국인의 인간관계. 서울: 한나래.

25.

정명선, 김혜진 (2009). 체면 민감성, 과시소비성향, 패션 명품 선호도가 패션 명품 복제품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7(2), 189-20.

26.

채서일 (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27.

채진미, 이은영 (2005). 연령과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해외 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빈도. 한국의류학회지, 29(6), 885-895.

28.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29.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185- 202.

30.

최상진, 박정렬, 이장주 (2000). 한국인의 우쭐심리. 중앙대학교, 인문학연구, 제29집, 391-400.

31.

최상진, 유승엽 (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2), 137-157.

32.

최상진, 진승범 (1995). 한국인의 눈치의 심리적 표상체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511-521.

33.

최상진, 최연희 (1989). 눈치의 사회심리학적 구조: 눈치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시안.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212-221.

34.

최상진, 한규석, 이재호, 유승엽 (2001). 한국인 심리학 이론의 구성. 한국과학재단, 목적기초연구결과보고서.

35.

최선형 (2001).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36.

최연희 (1990). 눈치기제가 유발되는 상황과 이유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심리학 연구, 제18권, 62-70.

37.

최재석 (1976).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개문사.

38.

최항섭 (2003). 명품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 한국사회과학, 25(1․2), 225-261.

39.

최항섭 (2001). 사치를 통한 구별. 한국사회학회 전기 학술발표 논문집. 233-254.

40.

한수진 (2007). 명품 구매경험에 따른 명품 구매행동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37-149.

41.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1182.

43.

Bird, F. (1980). The Comtemporary Ritual Milieu, in Ray B. Browne, ed., Rituals and Ceremonies in Popular Culture. OH: Bowing Green University Popular Press, 19-35.

44.

Bollen, K. A., & Long, J. S. (1993).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45.

Brown, P., & Levinson, S. (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Dubois, B., & Laurent, G. (1994). Attitudes towards the concept of Luxury: An Exploratory Analysis, in Asia-Pacific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 eds. Joseph A. Cote and Siew Meng Leong,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73-278.

47.

Dubois, B., & Duq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4.

48.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49.

Fornell, C., Tellis, G. J., & Zinkhan, G. M. (1982). Validity assessment: A Structural Equations Approach Using Partial Least Squares. In B. J. Walker et al. (eds.). AMA Educators Proceedings, 405-409,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50.

Garson, D. (2004). Factor analysi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51.

Grossman, G. M., &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March), 59-75.

52.

Hair, J. F. J.,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2006). Multi 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 J.: Prentice Hall.

53.

Hirschman, E. C., & Holbrook, M.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54.

Ko, E., Kim, E., Taylor, C., Kim, K., & Kang, I. (2007). Cross-national Market Segment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4(5), 629-651.

55.

LaBarbera, A. (1981).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21(1), 179-210.

56.

La Fontain, J. (1985). Initiation. Harmondsworth, G. B: Penguin Books.

57.

Levy, S. J. (1981). Interpreting Consumer Mythology: A Structural Approach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5(Summer), 49-61.

58.

Mason, R. (1992). Modelling the Demand for Status Goods.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Special Volume, 88-95.

59.

McCracken, G. (1988).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es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Minne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60.

Mead, G. H. (1956). On Social Psycholog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

Moore, S. F., & Myerhoff, B. G. (1977). Secular Ritual. Amsterdam, The Netherlands: Van Gorcum.

62.

Nia, A., & Zaikowsky, J.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63.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64.

Oliver, R.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 Boston: Irwin McGraw-Hill.

65.

Rook, D. W. (1985). The Ritual Dimension of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251-264.

66.

Rook, D. W., & Levy, S. (1983). Psychosocial Themes in Consumer Grooming Ritual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329-333.

67.

Shah, D. (2000). A new definition luxury. Textile View, 52, 6-7.

68.

Solomon, M. R., & Anand, P. (1985). Ritual Costumes and Status Transition: The Female Business Suit as Totemic Emble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 315-318.

69.

Tetreault, M. A. S., & Kleine Ⅲ, R. E. (1990). Ritual Ritualized Behavior and Habit: Refinements and Extensions of the Consumption Ritual Construc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31-38.

70.

Veblen, T. (1934).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Cincinnati, NY: Modern Library Inc.

71.

Wright, D. E., & Robert, E. S. (1980). Consumption as Ritual in the High Technology Society, in Rituals and Ceremonies in Popular Culture, ed. OH: Bowling Green University Popular Press.

7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http://stdweb2. korean.go.kr/main.jsp. 2012년 3월 8일 방문.

73.

Field, A. (2000). Postgraduat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vailable online from: http:// www.cogs.susx.ac.uk/users/andyf/teaching/pg/ /pg.htm. 2012년 4월 10일 방문.

74.

Forbes 홈페이지. http://www.forbes.com/2009/05/ 01/powerful-luxury-brands-lifestyle-style-luxury-brands_slide.html. 2012년 3월 8일 방문.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