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 자기신체이미지가 20대 여성의 자기위협, 광고태도 및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el body type, model presentation type, and self-body image on self-threat,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nd visual attention in 20s female

초록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인 개인에게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노출되면 자기위협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기위협은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에도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위협을 완화할 수 있는 광고방식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실험은 2(자기신체이미지: 긍정적 vs. 부정적) × 2(모델체형: 이상적 vs. 현실적) × 2(모델제시유형: 실상 vs. 실루엣) 참가자 간 설계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위협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모델의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이 실상으로 제시될 경우,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일 때 자기위협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모델의 이미지가 실상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조건에서 광고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는 현실적 체형의 모델 복부를 향한 최초응시까지의 시간이 더 빠르고, 응시횟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자기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실루엣이라는 새로운 변인을 사용했다는 점, 자기신체이미지,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에 따라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또한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자기위협을 높이지만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이상적 체형을 지닌 모델의 사용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keywords
자기신체이미지,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 자기위협, 광고태도, 시각적 주의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deal model body on consumers as the spreading usage of the ideal model body. In general, self-threat occurs when an ideal body type of the model is exposed to an individual with a negative self-body image, and this self-threat causes a negative reaction to advertisements in which the ideal model appea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 advertising method that can alleviate self-threat. In a 2 (self body image: positive vs. negative) × 2 (model body type: ideal vs. realistic) x 2 (model presentation type: reality vs. silhouette) between-subject design, we teste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self-threat and advertising attitudes, and measured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when the model is presented in reality, it was found that when the self-body image is negative, self-threat increas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er under each negative self-body image condition, and in the condition in which the image of the model was presented as reality. Third, the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confirmed a faster entry time, more fixation count towards the target region. This study’s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it used a new variable called silhouette to alleviate self-threat that can be caused by models of ideal body types, and measures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self-body image, model body type, and model presentation type, which yield the same results as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using models of ideal body types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models of ideal body types increase self-threat but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keywords
Self body image, Model body type, Model presentation type, Self-threat,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Visual atten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0-14
수정일Revised Date
2023-11-19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1-1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