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대학 진학 시 대학 및 학과 선호도 타협 유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ompromise Types of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and College Adjustment

초록

본 연구는 대학진학 시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도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승인을 받아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 년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47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ttfredson(1981)의 진로타협이론에 근거하여 대학 및 학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호도 타협 유형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학 및 학과 선호도 및 각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 진학 시 선호하는 대학 및 학과로 진학한 집단은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선호도 타협 유형에 있어서는 ‘대학 선호-학과 선호’, ‘대학 타협-학과 선호’ 유형이 높은 대학생활적응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선호 대학에 진학한 경우 수업 및 과제를 어렵게 느끼고, 학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타협 유형 중 ‘대학 선호-학과 타협’ 집단이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학점을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와 진학시점의 대학 및 학과 선호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주는 시사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Gottfredson's career compromise theory, college adjustment, college students, 대학 선호, 학과 선호, 진로타협이론, 대학생활적응, 대학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differences of students’ college adjustment by compromise types between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This study employed a national sample of 2147 freshmen students using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the present study, compromise types of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y applying Gottfredson's theory. As the results of MANOVA,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got the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For the differences of college adjustment level by compromise type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and ‘les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and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preferred university-less 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he GPA.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Gottfredson's career compromise theory, college adjustment, college students, 대학 선호, 학과 선호, 진로타협이론, 대학생활적응, 대학생

참고문헌

1.

강인원, 전성일 (2003). 학벌주의가 학부모들의인식수준과 사교육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4(1), 141-157.

2.

강재연 (2009). 한국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진로태도성숙,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개인주의-집합주의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3). 교육 통계. 교육청 웹페이지:http://www.moe.go.kr/

4.

김영린, 이기학 (2012). 심리적 독립성, 의존부정성향, 자기성장주도성에 따른 하위집단별 대학생활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차이. 상담학연구, 13(5), 2251-2270.

5.

김원형 (2002). 모교 동일시에 대한 탐색적 비교 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2), 25-45.

6.

김화영 (2003). 대학생 진로결정의 흥미타협과자기효능감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효원 (2005). 가족체계유형 및 진로결정과 재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아란, 하 정 (2013).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 및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28, 27-43.

9.

박진영 (2012).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47-75.

10.

신지영 (2000).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양현정 (2003).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호영, 김승보, 정재호 (2006). 대학서열화와기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우선화 (2012).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유찬우 (2011). 성격강점이 외국인 유학생의문화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365-365.

15.

유혜은 (2010). 학벌사회와 대학입시 정책간의관계분석과 대안탐색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아, 신혜린, 유나현, 이기학 (2008). 간편대학생활 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9(2), 739-754.

17.

이학수 (2010). 대학생 성인애착유형 간 관계만족도와 심리적 특성의 차이: 불안, 내외통제성향, 자존감 및 심리적 안녕감.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수영 (2014). 서울지역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대학입학 타협유형과 적응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광원 (2011). 진로의사결정 타협유형에 따른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대학생활적응도의차이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문영 (2005). 대학생의 학과 만족도 귀인성향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전은경, 장은영, 이규혜 (2001). 의류학 관련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전공 만족요인 구조적 모형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5(9), 1614-1620.

22.

조화진 (2005). 부모와의 애착 및 분리-개별화가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영민 (201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허철수 (1989). 대학 및 학과선택 결정과정과학업적응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11, 129-150. 제주대 학생생활연구소.

25.

황매향 (2002). 진로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타협과정: 대학 및 학과 선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황매향, 김계현 (2001).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과정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3(2), 111-124.

27.

황매향, 박혜영 (2005). 대학생의 진로발달과학교적응도와의 관계.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8(2), 157-176.

28.

Arkoff, A. (1968).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McGraw-Hill.

29.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cademic Motivation of Matriculating College Freshme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5(5), 459-64.

30.

Erikson, E. H. (1968). Crisis. NY: Norton.

31.

Gati, I. (1993). Career compromi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4), 416-424.

32.

Gerdes, H., & Mallinckrodt, B. (1994). Emotional,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of reten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2(3), 281-288.

33.

Ginzberg, E., Ginsburg, S. W., & Herma, J. R. (1951). Occupational choices: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4.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6), 545-579.

35.

Harmon, L. W. (1971). The childhood and adolescent career plans of college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 45-56.

36.

Hesketh, B., & Durant, C. (1990). Career compromise: A test of Gottfredson’s (1981)theory using a policy-capturing proced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6, 97-108.

37.

Hesketh, B., E1mslie, S., & Kaldor, W. (1990). Career compromise: An alternative account to Gottfredson‘s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1), 49-56.

38.

Lautz, J., Hawkins, D., & Pérez, A. B. (2005). The High School Visit: Providing College Counseling and Building Crucial K-16 Links among Students, Counselors and Admission Officers. Journal of College Admission, 188, 6-15.

39.

Leung, S. A., & Plake, B. S. (1990). A choice dilemma approach for examining in relative importance of sex type and prestige preference in the process if career choice compromi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4), 399-406.

40.

Scott, C. S., Fenske, R. H., & maxey, E. J. (1974). Change in vocational choice as a functional of initial career choice, interests, abilities, and sex.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 285-292.

41.

Spencer, M. B. (1999).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43-57.

42.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5), 185.

43.

Vandiver, B. J., & Bowman, S. L. (1996). A schematic reconceptualization and application of Gottfredson’s model.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155-168.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