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self-esteem plays a role in relation to adolescent attachment to parents perceived by them and smart phone addiction. To fulfil its objective, the current study targeted 984 smart phone users from the data of year 2015 adolescent addiction to smart phone in Seongnam-si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attachment to parents and addiction to smart phone. Also, based on its theoretical background, a mediation model was set using measured variables fo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level of adolescent addiction to smart phone were the same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adolescent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esteem both negatively affected addiction to smart phone. Third, self-esteem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in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nd addiction to smart phone. The more stable their attachment to parents was, the higher their self-esteem got and elevated self-esteem lowered adolescent addiction to smart phone. Conclusively, attachment to parents directly affected the addiction to smart phone and even self-esteem mediation had indirect grip on smart phone addiction. Lastly, what these results may mean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indications and limitations shown in this study.
감형지, 김정환, 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곽민주, 이희숙 (2009).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생활과학연구논총, 13(1), 183-205.
구용근 (2014). 부모 양육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0), 67-98.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1), 1-25.
김성아 (2008). 모애착이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 자기위로능력을매개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남 (201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숙 (2003). 휴대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신 (1999).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금혜 (2008). 청소년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인간발달연구, 15(3), 131-147.
문두식 (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아존중감 매개변인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박경순 (2000). 영아기 어머니 역할 교육프로그램이 모의 상호작용과 영아발달에 미치는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미진, 김광웅 (2015). 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과 개인 심리적 요인 및 임상적 개입에 대한 논의: 2011년~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8(2), 97-113.
박민수 (2013). 스마트폰 중독과 학업스트레스가고등학생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용민 (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희, 최은실 (2015)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1), 57-79.
박주신, 강문희 (2007).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애착과의 관계. 심리치료, 7(1), 1-15.
박현주, 정대용 (2010).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고통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성차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381-401.
박희경, 권경인 (2012).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분리개별화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12), 301-329.
백혜정, 황혜정 (2006).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3), 1-27.
석말숙, 구용근 (2014).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 19(4), 905-928.
성윤지 (2013). 청소년의 소외감이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준모 (2014).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3), 5-32.
신보라, 이희경 (2013). 청소년의 모 애착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 질을통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된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2), 1-22.
신흥식, 배연려, 안진숙, 최원지, 장성화 (2011). 고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아존중감의관계.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2(1), 31-44.
여지영, 강석영, 김동현 (2014). 초기 청소년의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1), 47-69.
오광수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초당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현희, 김현진 (2014).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ㆍ모애착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5(4), 35-57.
옥 정 (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영숙 (2013).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인천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관내 학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민, 강민주 (2015). 고등학생의 아버지와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물질주의 가치관에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3), 323-350.
윤태희, 조영일 (2014). 부모-자녀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자아존중감과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61-87.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2002).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이해경 (2008).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 사회및 성격, 22(1), 133-157.
이혜선, 강차연 (2007).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애착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0, 79-95.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임수진, 안진홍 (2012).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학교적응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2), 331-346.
임진형 (2007).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천, 여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혜진, 채규만 (2006). 기술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휴대폰사용중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39-852.
장휘숙 (1997). 청소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4(1), 88-106.
장휘숙 (2002). 애착과 사랑양식 및 관련변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4), 93-111.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延世論叢, 11(1), 107~130. 연세대학교 대학원.
조수연 (2014).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경아, 김봉환 (2014). 고등학교 남학생들의자아탄력성이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1), 55-74.
최이순 (2007).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허지혜 (2013).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rachment: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 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1177.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3). 350-373.
Bowlby, J. (1989). Secure and insecure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Craig, R. J. (1995). The role of personality in understanding substance abus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13, 17-27.
Flores, P. J. (2010). 애착장애로서의 중독[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김갑중, 박찬이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년에 출판).
Huntsinger, E. T., & Luecken, L. J. (2004).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health behavior:The mediational role of self-esteem. Psychology & Health, 19, 515-526.
Laporta, L. D. (2006). Cellular Telephones: A New Addiction? Psychiatric Times, 23(11), 64-69
Lewin, T. (2010). If your kids are awake, they’re probably online. The New York Times, 20.
Loeber, R., & Dishion, T. J. (1984). Boys who fight at home and school: family conditions influencing cross-setting consisten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759-768.
Maccoby, E. E., & Martins, J. A.(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Parent-child interaction. In EM. Hetheringt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4th ed.). New York: John Willey & Sons.
Main, M., & Weston, D. R. (1981). The quality of the toddler’s relationship to mother and to father: Related to conflict behavior and the readiness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52(3), 932-940.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ston, NJ: Prinston University Press.
Sahin, S., Ozdemir, K., Unsal, A., & Temiz, N. (2013). Evalu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level and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Pakist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9(4), 913-918.
Stern, S. (2008). Gender constructed on line, streotypes reified offline: Understand Media Representation of Adolescent Girls on MySpac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anFrancisco.
West, D. J., & Farrington, D. P. (1973). Who becomes delinquent? N.Y.; Crane, Russak & Co.
Wilkinson, R. B. (2004).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3(6), 479-460.
Zsolt, D., Beatrix, S., & Sandor, R. (2008). The three-factor model of Internet addiction: The development of Problematic Internet Use Questionnaire. Behavior Research Methods 40(2), 563-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