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Impact of Stress on Comprehensive Well-being of Upper-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ing 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relation to stress and comprehensive well-being of upper-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450 fifth 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researchers asked questions to measure the levels of stress, self-esteem, and comprehensive well-being. The analysis of survey data was based on reliability tests of each measur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of major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e conducted to see what impact sub-factors of stress have on comprehensive well-being, stress related to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espondents' comprehensive well-being. In particular, friend-related stress had the highest degree of impact on the respondents' well-being.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comprehensive well-being demonstrate that self-esteem, on the whole, and self-esteem for each sub-factor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at home, and self-esteem at school)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stres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prehensive well-being directly, while reducing the level of comprehensive well-being indirectly by way of other sub-factors as described above. One can see from thi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comprehens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stress, comprehensive well-being, self-esteem, 스트레스, 통합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Reference

1.

강금주, 윤숙영, 신현숙 (2012). 남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학업적 및 사회정서적 변인의 영향. 교육연구, 35, 1-24.

2.

강명희, 박연규 (2015).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활동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교육정책연구, 2(1), 1-24.

3.

경기도 교육연수원 (2016). 평화로운 공동체를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연수 교재.

4.

경기도 교육청 (2014). 회복적 생활교육매뉴얼. 안양: 효광문화사.

5.

고영남 (2012).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18(3), 49-71.

6.

고재홍, 김미정 (2009).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방어기제들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2(4), 161-183.

7.

권순흥, 김진영 (2014).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일상적 스트레스와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치료학회지, 6(1), 1-15.

8.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오미애, 정은희, 최은진, 이봉주, 김선숙 (2013). 2013 한국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범수 (2010). 청소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우울과 불안을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용희 (2009). 아동의 부모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07-124.

11.

김은주 (2015).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인터넷 게임중독이 자아존중감과 비행에 미치는 직, 간접효과. 초등교육연구, 28(3), 95-122.

12.

김인수 (2009).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비교.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 139-152.

13.

김재순, 최외선 (2012).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8(3), 47-70.

14.

김종희 (2011). 저소득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친사회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다도명상 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나기은, 은혁기 (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이 또래관계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1), 75-91.

16.

민하영 (2009). 남녀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009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75-185.

17.

민하영, 유안진 (1998).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2), 77-96.

18.

박경진 (2005).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11(3), 193-221.

19.

박미나, 은혁기 (2013). 초등학생의 부적응행동 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자기조절 상담 사례연구. 초등상담연구, 12(3), 327- 348.

20.

박병기, 노시언, 김진아, 황진숙 (2015).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아동교육, 24(4), 5-29.

21.

박소영, 문혁준 (2005).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32(9), 71-84.

22.

박영애 (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박인옥, 이정화 (2011). 가정환경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1), 21-33.

24.

박정민 (2006). 재즈댄스 참가정도와 몰입이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소영원 (2006).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송의열 (1995). 일상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신은영, 김경연 (1996). 아동이 지각한 스트레스사건, 스트레스사건의 경험빈도,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 대한가정학회지, 34(4), 33- 47.

28.

심우엽 (201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2(2), 261-277.

29.

심우엽 (2014).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2), 1-16.

30.

안민석 (2015). 학생정신건강 빨간불 초중고 학생 25만여명 ‘관심군’ 분류. 보도자료, 2015년 9월 4일.

31.

안수영, 이형실 (2009).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고교육학회지, 21(3), 163-176.

32.

어주경 (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오익수 (2015). 용기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34.

우남희, 김유미, 신은수 (2009). 조기교육/사교육. 아동학회지, 30(6), 249-265.

35.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2010).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9-38.

36.

유설희 (2013).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유설희, 박보경, 도현심 (2015).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학회지, 36(2), 55-74.

38.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39.

윤명숙, 최정민 (2011).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2), 55-78.

40.

이경란, 박종호 (2013).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4), 243-257.

41.

이명순 (1994).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아지각 및 대처방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미숙, 최 영, 유지숙 (2002). 청소년의 신체증상과 자아 존중감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9(2), 323-333.

43.

이순년 (2015).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자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기독교 문학치료.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순희, 허만세 (2014). 아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학교사회복지, 27, 253-274.

45.

이인혜 (1997). 성격, 유쾌한 및 불쾌한 생활 경험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NEO 성격 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209-219.

46.

이현주, 유형근, 조용선 (2011).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2(2), 467-488.

47.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 (2008). 한국 청소년 안녕감 척도(K-WBSA)의 타당화 및 삶의 질 분석. 교육심리연구, 22(1), 301-315.

48.

이혜성 (1998). 청소년 가치발달과 상담. 청소년대화의 광장.

49.

장성민 (2012).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장영애, 이영자 (2004). 아동 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정도, 대처행동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과 권리, 8(3), 543-569.

51.

장영애, 이영자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9(3), 183-205.

52.

정미라, 장영숙, 김순규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간의 관계. 아동교육, 20(2), 221- 234.

53.

정옥분 (2011).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54.

정재찬, 유형근 (2012).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21(2), 41-57.

55.

정종진, 김미경 (2012).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1(2), 133-151.

56.

조붕환 (2006).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아동교육, 15(3), 5-21.

57.

조성자, 서명진 (1997).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아동교육, 6(1), 127-141.

58.

조한익 (2011).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5(1), 153-174.

59.

조한익, 이미화 (2010).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11), 139-158.

60.

최미경 (2010).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8(10), 65-75.

61.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41- 54.

62.

최옥채, 박미은, 서미경, 전석균 (200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경기: 양서원.

63.

통계청 (2015). 2015 청소년 통계. 보도자료, 2015. 4. 28.

64.

표갑수, 성낙현 (2012). 농촌지역 빈곤아동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0(2), 41-63.

65.

한국방정환재단 (2015).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66.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7.

한미현, 유안진 (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68.

한종혜 (1994). 아버지와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아동의 자기역량 지각 및 우울성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1), 85-99.

69.

허수연, 강수연, 정정은, 박지연 (2010).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중재에 대한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43-72.

70.

황혜정 (200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 연구원, 19(1), 193-215.

7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72.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3). Dose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 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73.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In T. A. Wills (Ed.), Basic process in helping relationships. New York: Academic Press.

74.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7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76.

Eccles, J. (1999).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ges 6 to 14. The Future of Children, 9(2), 30-43.

77.

Elias, M. J. (1989). School as a source of stress to children: Analysis of casual and ameliorative influenc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7(4), 392-407.

78.

Kaplan, H. B. (1980).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79.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80.

Keyes, C. L. M. (2005).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merica’s youth: Toward a comprehensive assessment. Adolescent & Family Health, 4(1), 3-11.

81.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as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C. R. Snyder and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82.

Maccoby, E. (1966).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Palo Alto,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83.

Pyszczynski, T., Greenberg, J., Solomon, S., Arndt, J., & Schimel, J. (2004).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0(3), 435-468.

8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86.

Youngs, B. (1995). 청소년 스트레스 이렇게 해결하라. 이일남(역). 서울: 정성출판사. (1986년 원저발간).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