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fe factors giving difference to the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For an analysis, hour of sleep, number of private tutori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leisure time, number of close friend, amount of reading book were included in life factors.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on life factors and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15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our of sleep makes difference to athletic competence. Second, number for private tutoring makes difference to scholarship competence. Third, leisure time makes difference to social competence. Fourth,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makes difference to scholarship competence, physical competence, behavior conduct competence, and general self-worth. Fifth, number of close friend makes difference to all six domains of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such as scholarship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thletic competence, physical competence, behavior conduct competence, general self-worth. Sixth, amount of reading book makes difference to academic and conduct competence. As a result, the life factors give difference to the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The major factors that make difference to the perceived competence are number of close friend and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경기도교육청 (2013). 초등 정의적 능력 평가 예시자료.
김경희 (2008). 사교육 수강이 교과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인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헌, 안선영 (2009).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김기헌, 이경상 (2006). 청소년 생활시간 활용실태 및 변화. 한국청소년개발원 06-R14 연구보고서
김동현, 이규미 (2012).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23.
김민경 (2005). 부모-아동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보경 (2009). 수줍은 아동의 친구과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아 (2013).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기유능감과 또래관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민 (2016). 자율성 지지와 유능감,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희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과보호, 사회적지지, 사회적 유능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선 (2016).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목표지향성과 학생의 유능감 수준이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순 (2012). 유아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은 (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유능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자 (2004). 다중지능과 가정변인이 초등학생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주 (2002).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여가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은희 (2015). 동화를 통한 집단독서상담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용구, 윤영선, 안동수 (2016). 대학생의 여가경험이 여가유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5). 529-538
명지영 (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남희 (2009). 초등학생의 독서환경과 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끼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수경, 이무영 (2008).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대한아동복지학회. 아시아아동복지연구. 6(3). 19-33.
박상혁 (2012). 유능감과 운동 행복 및 운동 탈진의 인과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3(4). 321-334.
보건복지부 (2009).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09). 아동, 청소년의 생활패턴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23(4). 321-334.
배지아 (2014). 모-자녀 애착 및 공유시가노가 자아존중감이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미정 (1999). 개인적 변인 및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석진 (2012). 독서치료가 품행장애 청소년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 아동의 삶의 질 3차년도 연구 발표회 자료집.
서재연 (1998).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시회적 유능감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선정화 (2009).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품행장애 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지영 (2012).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애리 (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송미원 (1999).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불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영명 (2011).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3). 647-669
신지영 (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 애착수준, 유능감 수준 및 교우관계의 질적 특성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은미 (1989). 아동의 유능감 지각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경숙 (2001). 초등학생의 친한 친구 사귀기 과정: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인렬 (2011). 초등학생의 뇌 양식과 독서능력 수준에 따른 뇌 기반 독서활동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엽경은 (2016).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윤주 (2009).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복남 (2015). 다문화가정 초등학령기 아동 사회성, 정서 특정 조사기 개발. 충청남도 여성정책 개발원.
유은경 (2000). 아동의 기각된 유능감과 학교학습태도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민, 이혜란, 이건희 (2007). 소아청소년기의 수면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5(2), p.185-191.
윤종효 (2000).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 요인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은수희 (2000). 무용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희 (2006). 학습장애아동의 귀인과 자기유능감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리 (2013). 청소년기 혼자 시간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활동 내용과 심리상태의 차이. 청소년복지연구, 15(2), 175-193.
이미정 (2010).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과 사회성간의 관계.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현 (2009). 교과연계 독서가 학생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애리 (2012). 참여몰입 및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의 매개 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나 (2006).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유능감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영숙 (2003). 부모의 수용-거부와 아동의 자기표현, 자기유능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주 (2012). 청소년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 진, 이학래 (1999). 생활체육 참가, 신체적 여가유능감, 사회적 여가유능감, 및 인지적 여가유능감과 생활만족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8(3). 155-169
이혜진 (2011). 수면이 운동피질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두개 자기자극법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정 (2010). 자기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혜림 (2010).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혜정 (2005). 사교육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상희, 장정미 (2009). 수면장애에 관한 동서 의학적 고찰 및 국내 간호연구 분석. 동서간호학연구지. 15(1), p.43-53
조경서, 남기원 (2011).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4). 161-178
조명화 (2009). 성취결과 피드백 제시 방법이 수행목표 성향에 따라 흥미와 지각된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자 (2008).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여가활용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림 (2012). 운동참가에 따른 중년여성의 건강신념과 무망감, 수면의 질 및 행복지수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정연 (2008). 책 읽어주기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길례 (2002). 가족의 여가 활동이 정서적 역동서과 가족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미나 (2007). 사교육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성희 (2015).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영향력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선, 김동현 (2016) 성별에 따른 아동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초등교육연구. 29(2). 231-255
최윤진 (2007). 다독과 독서일지쓰기가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현 (2004). 초등학교 아동들의 여가활동과 대인관계의 상관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효식 (201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시험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만 15세 대상의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12)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3. 12 .3.)
한신일, 이석열, 박진은 (2012). 학생의 사교육 참여 자기결정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 및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홀리스틱교육연구. 16(2). 67-90.
한정희 (2013). 초등학교에서의 교과연계 독서가 학습부진아의 학업청취도와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함수희 (2008).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표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봉자 (2001). 성취목표와 성적과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유능감의 조절 역할. 홍익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혜순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Connel, J. P. (1987). Context, self and action: A motivational analysis of self-system processes across the life-span. In D. Cicchetti(Ed.). The Self in Transition: Infancy t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 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Y: Plenum.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77-87.
Harter, S. (1985). Competence as a dimension of self-evaluation: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self worth. In R. L. Leahy(Ed.). The development of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Heath, J. H. (1981). Manual fo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iversity of Denver.
Mussen, P. H., Conger, J. J. & Kangan, J. (1980).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ed.). New York : Oxford.
Sadeh A., Gruber R., Raviv A. (2002). Sleep, neuro 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405-17.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37-287.
Touchette E., PetitD., Tremblay R. E. (2009).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of early childhooddyssomnias: New perspectives. Sleep medicine reviews, 13(5), 355-361.
Crick, N. R., & Ladd, G. W. (1993).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eer experience: Attribution,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social avoida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9, 244-254.
Parkhurst, J. T., & Asher, S. R. (1992). Peer rejection in middle school: subgroup differences in behavior,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concern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23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