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학생이 경험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 교사역량에 관한 연구

Teachers’ Competency Research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hrough Students' Experience

초록

이 연구는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과 사안처리 과정을 경험한 피해학생 및 가해학생 총 10명을 대상으로 면접하고, CQR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긴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은 총 4개 영역 1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교사역량의 4개 영역은 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안대처의 절차와 방식, 사안대처 관련 능력과 기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역량 등으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에 의하면 사소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인식하며 적극적이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 사안처리 과정에서 절차의 원칙을 지키며 교육적인 관점에서 개입하는 방식, 해당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중재, 지도하는 능력과 기술, 그리고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형성, 학급 관리 및 리더십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등의 교사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교폭력 관련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위한 교사의 차별화된 대응역량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에 나타난 교사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교사역량, 학생경험, 합의적 질적 연구,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eachers’ competency, students' experienc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eachers' competency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students'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a total of 10 students (victims and perpetrator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how it was handled by the school were interviewed. Afterward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competency on school violence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by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4 areas and 16 categories. 4 areas are the following; awareness and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school violence, procedur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by teachers, skills and competence of teachers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issues, and ability of teachers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acknowledging the seriousness of even the minor school violence cases and trying to resolve those cases actively and properly, to have methods to intervene in an educational way to follow the principles of the procedures, to have skills and competence to counsel, mediate and supervise relevant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o have leadership and class managing skills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reinfor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Especi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teachers' competency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 when dealing with victims and perpetrators at school.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monal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from th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competency of teachers concerning school violence were discussed.

keywords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교사역량, 학생경험, 합의적 질적 연구,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eachers’ competency, students' experienc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1.

강소영 (2013). 학교폭력에 대한 근거이론의 접근,폭력적 교실문화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8(2), 5-28.

2.

교육부 (2016). 2016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6.12.5.

3.

교육부 (2015).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교육부.

4.

교육부 (2013).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보도자료. 2013.7.23. www.moe.go.kr.

5.

교육부 (2012a).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보도자료. 2012.2.6. www.moe.go.kr.

6.

교육부 (2012b). 교사 신규채용제도 개선방안 보도자료. 2012.2.15.

7.

권혁운 (2011).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191-214.

8.

김은영 (2008).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6, 88-111.

9.

김창환 외 (201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Ⅲ):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0.

김혜원, 이혜경 (2010).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45-64

11.

김희규, 주영효 (2014). 신규교사 직무역량 실태 분석. 교육문제연구. 27(3), 1-25.

12.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해정 (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99-320.

13.

박효정 외 (2014). 학교폭력예방문화 분석을 위한 중학교 사례연구 우수사례. 한국교육개발원.

14.

방기연 (2011).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2(5), 1753-1778.

15.

법제처 (2016).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http://www.moleg.go.kr

16.

서정기 (2012). 학교폭력 이후 해결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3), 133- 164.

17.

신성자 (2012). 학교폭력 가해․피해학생을 위한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1), 79-100.

18.

신성자, 권신영 (2013).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의 개입수준과 관련요인들의 10년의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 학교사회복지. 26, 177- 207.

19.

신성자, 정숙희 (2010).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업무환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신체적, 비신체적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19, 141-172.

20.

오승환 (2007).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관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5(4), 87-108.

21.

이대성 (2012).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사회과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신장; 법과 인권교육의 관점에서. 법과인권교육연구. 5(2), 87-108

22.

이미형, 임지영, 이순득, 오승은 (2009). 학교폭력에 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2), 87-108.

23.

임재연 (2017).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에 관한 질적연구. 교원교육. 33(2), 143-169

24.

임재연, 박종효 (2015).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역량 진단척도 개발 연구, 교육학연구, 53(3), 407-434.

25.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5).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6.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1).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7.

홍지영, 유정이 (2013). 학교폭력 사건 피해학생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1(1), 107-145

28.

Beran, T .N. (2006). Preparing Teachers to Manage School Bullying: The Hidden Curriculum, The Journal of Educational Thought; 40(2), 119-128.

29.

Dubois, D., Rothwell, W. J., Deborah, J. K. S., & Klemp, L. K. (2004).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Davies-Black. Publishing Palo Alto, California.

30.

Espelage, D. L., & Sweare, S. M. (2004). Bullying in schools; A social-ecological perspective 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alwah, NJ: Lawrence Erlbaum.

31.

Hektner,J . M., & Swenson, C. A. (2012). Linksfrom teacher beliefs to peer victimization and bystander intervention: Tests of mediatingprocesse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32, 516–536

32.

Hill, C. E. (2016).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 W. Joo, E. S.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12)

33.

Hill, C. E. et al.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34.

Humpert, W & Dann, H.-D. (2001). Kompakt Basistraining zur Störungsreduktion und Gewaltprävention für pädagogische und helfende Berufe auf der Grundlage des Konstanzer Trainingsmodells, Bern, Verlag Hans Huber

35.

Iseli, K. (2014). Gewalt an Schulen; Relevanz der Persönlichkeitsfaktoren von Lehrper- sonen für die schulische Gewaltprävention, Dissertation von Universität Hildesheim.

36.

Melzer, W., & Mühl, M., & Ackermann, C. (1998). Schulkultur und ihre Auswirkung auf Gewalt, in; Forschungsgruppe Schulevaluation, Gewaltals soziales Problem in Schulen, Leske+Budrich, Opladen

37.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8.

Troop-Gordon, W., & Ladd, G. W. (2013). Teachers' victimization-related beliefs and strateg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1. 1-16

39.

Veenstra, R., Lindenberg, S., Huitsing, G., Sainio, M., & Salmivalli, C. (2014). The Role of Teachers in Bully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4), 1135-1143.

40.

Weiß, S., Schramm, S., & Kiel, E. (2014). Was sollen Lehrerinnen und Lehrer können? Anforderungen an den Lehrer/innen beruf aus Sicht von Lehrkräften und Ausbildungspersonen, 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 15(3). 1-29.

41.

Wright, L. F. (2005). Teacher desirabil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pecific to bullying intervention and prevention, university of Virginia, Doctor of Education.

42.

Yoon, J., & Bauman, S. (2014). Teachers; a critical but overlooked component of 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heory into Practice (29), unpublished document.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