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아영(아주대학교) ; 김은하(아주대학교) ; 신희천(아주대학교) pp.281-304 https://doi.org/10.16983/kjsp.2017.14.3.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시험불안 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604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시험불안을 측정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시험불안 간의 관계를 학업스트레스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학업스트레스와 시험불안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학업스트레스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는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시험불안 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특히, 반추, 자기비난, 파국화)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A total of 60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367 males and 237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Academic Stress Scal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Test Anxiety Inventory-Korea (TAI-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sing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found. Second, using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d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Third, using SPSS Macr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specially, rumination, self-blame, and catastrophiz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was foun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유능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최윤선(아주대학교) ; 이규미(아주대학교) pp.305-330 https://doi.org/10.16983/kjsp.2017.14.3.3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최근 10년(2007-2016) 동안 이루어진 유능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진행 할 연구의 방향을 논의해보는데 있다. 유능감을 주제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등재학술지 논문 124편을 대상으로 유능감을 개념 및 특성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일반적유능감, 사회적유능감, 기타특정영역유능감)하고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장소, 평가자, 측정도구, 관련변인, 중재프로그램의 8가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어서 척도와 관련변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판연도별 유능감 연구는 2012년 이후 사회적유능감 관련 연구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었으며, 연구장소는 주로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단일연령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유능감의 정의 및 평가자는 자기보고 형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유능감을 측정하는 도구는 유능감 영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능감 관련 변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유능감은 개인내적변인/정서영역, 사회적유능감은 외적상호작용변인/가정영역, 기타특정영역유능감은 개인내적변인/사회영역과의 관련성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끝으로 유능감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유능감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ompetence research conducted during the past 10 years(2007-2016) in Korea, to summarize the results and outcomes of the research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subject of competence, 124 competence journal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concept and characteristics (gener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other specific competence), the evaluator, the measuring instrument,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earch on social competence by publication year has more than doubled since 2012. The research method was biased toward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place was mainl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large proportion of studies on a single age, and the definition of competence and the evaluator were self - repor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etence - related variables, general competence is the internal variable / emotional domain, social competence is external interaction variable / family domain, and other specific domain competence is internal variable / social domain was the most studied. Finally, we analyzed the trends of competence research and added implications for competenc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research.

초기 청소년기의 또래네트워크가 공격성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
김진구(건국대학교) pp.331-347 https://doi.org/10.16983/kjsp.2017.14.3.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 학생의 또래네트워크가 공격성의 사회화(또래선택과 또래영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7학급 960명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여학생 461명, 48%)을 대상으로, 1학기와 2학기 총 2회에 걸쳐 공격성과 또래네트워크를 측정하였다. 공격성의 또래선택과 또래영향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종단사회연결망분석(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SIENA)을 실시한 결과, 공격성의 사회화 경향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유사한 공격성 수준을 보이는 친구와 또래네트워크를 형성하였으며, 또래네트워크의 구성원으로부터 공격성을 학습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공격성의 또래선택과 또래영향 과정에 대한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래 공동체 의식이 낮은 학급에서는 공격성의 또래선택과 또래영향 과정이 나타났다. 반면, 또래 공동체 의식이 높은 학급에서는 공격성의 또래선택과 또래영향 과정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높은 또래 공동체 의식은 공격성의 사회화를 예방하는 주요한 기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급의 생활지도에 있어, 또래네트워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 및 교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eer influence processes on early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friendship networks. 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model (SIENA) was used to test whether similarity in aggressive behaviors contributed to friendship formation (peer selection) and whether aggressive behaviors of friends contributed to changes in students’ own aggressive and pro-social behaviors (peer influence). Participants were fifth and sixth graders in South Korea from 37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N=960, 48% girls) followed from spring to fall within one academic year. In result, early adolescence students sought out friends who are similar to themselves (peer selection) was found in both aggressive behaviors. Peer influence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aggressive behaviors.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peer community was significant. In classes with the high sense of peer community, socialization effect of aggressiv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s a contrast, aggressive behavior was socialized in classes with the low sense of peer community. Results suggest that peer selection and influence processes play a salient role in the co-evolution of friendships, and aggressive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eacher understanding of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eer relationship in classroom management.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관계에 관한 메타연구
조수현(고려대학교) ; 정지현(고려대학교) ; 신효정(아주대학교) pp.349-379 https://doi.org/10.16983/kjsp.2017.14.3.349
초록보기
초록

학업소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하기 위하여 완벽주의와의 관련성을 확인해보기 위해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출판된 38편의 출판물을 대상으로 n = 11,545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로 구분하여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보이는지 효과크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적응적 완벽주의는 학업적 냉소와 무능감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공계열별로 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효과 분석 결과 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무능감간의 부적인 관계는 일반계열 집단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적 탈진과 학업적 냉소간의 정적인 관계는 의학계열 집단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능감간의 관계는 운동계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연구적 의의와 학교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 meta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isk and the protective factor on academic burnout with related to perfectionism. The effec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two types of perfectionism (adaptive-maladaptive) was investigated with 38 published articles (n = 11,545). Adaptive perfectionism wa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inefficacy.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ree components of burnout. Subsequently, moderator analysis by three majors revealed that general group had the highest effec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inefficacy. The medical group reported the highest effect size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cynicism. Thirdly, the athletic group mostly effe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inefficacy. Lastl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ng the further study.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박유리(동부사회복지관) ; 안세영(제주시교육지원청 Wee센터) ; 최보영(제주대학교) pp.381-397 https://doi.org/10.16983/kjsp.2017.14.3.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국내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자료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학술정보원(KISS)과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발행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한 국내 석․박사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 150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군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한 4개의 변인군(개인변인, 근접맥락변인, 자기효능감변인, 목표변인)에 자기개념변인군을 추가하여 총 5개의 변인군을 설정하였고 분석 결과 19개의 변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변인군들 중 자기효능감변인군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자기개념변인군과 목표변인군은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개인변인군과 근접맥락변인군의 경우 변인군 내에 대학생의 진로행동을 유발하는 변인과 억제하는 변인이 함께 포함되어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들 중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특성인 탄력성도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희망,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사회적지지, 부모지지가 중간크기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진로장벽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억제하는 변인으로 중간크기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ta-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year of 2000 to 2015 which dealt the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9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5 variable groups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which were individual variables, proximate context variables, self-efficacy variables, target variables and self-concept variables. Seco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group was self-efficacy variables, which was followed by self-concept variables, target variables, individual variables and proximate context variables. Thir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lso resilience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e effects of hope, self-identity,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and career barriers were moderate.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