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여고생의 완벽주의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최슬기(숙명여자대학교) ; 이은아김(숙명여자대학교) pp.129-147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의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한 고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고등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청소년 마음챙김 다요인 척도, 한국판 시험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고생의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시험불안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마음챙김은 시험불안에 대하여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여고생의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적 완벽주의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반면,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와 마음챙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대해 마음챙김 향상을 위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between high school girl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6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girl students in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They were assessed by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Multi-factor Mindfulness Scale for Adolescents (MMSA) and Test Anxiety Inventory-Korea (TAI-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hich were significant in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analyzed by using simple slop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adaptive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were increased, the level of test anxiety was increased. As the mindfulness was increased, the level of test anxiety was decrease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girls’ adaptive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significant.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indfulness on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high school girls’ mindfulness to decrease test anxiety.

중학생용 학교생활참여척도(K-SES-M) 단축형의 개발 및 타당화
신현숙(전남대학교) ; 염시창(전남대학교) pp.149-180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149
초록보기
초록

중학생용 한국형 학교생활참여척도(K-SES-M)는 48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과 학교활동에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학업적으로 참여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K-SES-M이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참여 양상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신뢰롭고 타당할지라도 다소 많은 문항 때문에 학교현장이나 연구에서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용 한국형 학교생활참여척도의 활용도와 심리측정학적 양호도를 높이기 위해 Rasch 측정모형을 활용하여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SES-M과 공인타당도 검정을 위한 준거척도를 사용하여 중학교 1~3학년 73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네 가지 참여(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학업적 참여) 요인별로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문항에 대한 반응범주의 수는 원래의 5개보다 4개가 더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요인별로 문항의 적합도와 곤란도를 분석하고, 성별로 각 문항에 대한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실행한 결과, 일차적으로 24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이들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1차 3요인 모형을 채택하였고, 최종적으로 정서적 참여 7문항, 행동적 참여 8문항, 학업적 참여 7문항, 총 22개 문항을 선정하여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였다. 세 요인의 구인신뢰도와 문항내적일관성이 양호하였고, 단축형 척도의 요인들이 준거척도의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이루어 단축형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용 학교생활참여척도 단축형(K-SES-MS)의 활용방안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Korean School Engag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K-SES-M) is a 48-item self-report scale, which measures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behavioral, social, and academic engagement in school. Although the K-SES-M well reflects how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 in school and is reliable and valid, there still remain psychometric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procedure of item development and quite a number of items restrict its use for both practical and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brief, psychometrically sound version of the K-SES-M using Rasch measurement model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ven-hundred thirty-four students in Grades 7~9 completed the K-SES-M and criterion tests. The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applied to each of the four school engagement factors. Results showed that a 4-point rating scale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K-SES-M short form (K-SES-MS) than was the 5-point rating scale of the original K-SES-M. Based on item fit and item difficulty estimates for each of the four factors as well a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es by gender for each item, 24 items were initially selected. The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it of the first-order three-factor model consisting of affective engagement (7 items), behavioral engagement (8 items), and academic engagement (7 items) was reasonable. Thus, a 22-item short form of the K-SES-M was presented to meet the need for a measure that could be used for periodic monitor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 The three factors of school engagement were found to have adequate construc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K-SES-MS was found to have strong concurrent evidence. Finally, the use of the K-SES-M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학생이 경험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 교사역량에 관한 연구
임재연(목원대학교) pp.181-208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18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과 사안처리 과정을 경험한 피해학생 및 가해학생 총 10명을 대상으로 면접하고, CQR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긴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은 총 4개 영역 1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교사역량의 4개 영역은 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안대처의 절차와 방식, 사안대처 관련 능력과 기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역량 등으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에 의하면 사소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인식하며 적극적이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 사안처리 과정에서 절차의 원칙을 지키며 교육적인 관점에서 개입하는 방식, 해당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중재, 지도하는 능력과 기술, 그리고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형성, 학급 관리 및 리더십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등의 교사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교폭력 관련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위한 교사의 차별화된 대응역량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에 나타난 교사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eachers' competency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students'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a total of 10 students (victims and perpetrator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how it was handled by the school were interviewed. Afterward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competency on school violence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by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4 areas and 16 categories. 4 areas are the following; awareness and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school violence, procedur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by teachers, skills and competence of teachers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issues, and ability of teachers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acknowledging the seriousness of even the minor school violence cases and trying to resolve those cases actively and properly, to have methods to intervene in an educational way to follow the principles of the procedures, to have skills and competence to counsel, mediate and supervise relevant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o have leadership and class managing skills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reinfor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Especi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teachers' competency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 when dealing with victims and perpetrators at school.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monal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from th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competency of teachers concerning school violence were discussed.

남녀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 및 지각된 학급풍토와 괴롭힘 피해의 관계
공미정(부산대학교) ; 이동형(부산대학교) pp.209-234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위축의 하위유형(수줍음형 위축, 비사교형 위축, 절제형 위축) 및 지각된 학급풍토와 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이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학급풍토가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성차를 분석한 결과, 수줍음형 위축과 괴롭힘 피해 중 관계적 괴롭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을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단순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수줍음형 위축과 비사교형 위축, 통제적 및 방임적 학급풍토는 남녀 중학생의 괴롭힘 피해를 증가시키고, 자율적 및 친교적 학급풍토는 괴롭힘 피해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절제형 위축이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는데, 여학생의 절제형 위축은 괴롭힘 피해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남학생의 경우 절제형 위축은 직접적 괴롭힘 및 관계적 괴롭힘 피해와 상관이 없거나 오히려 또래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에만 수줍음형 위축 및 절제형 위축이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방임적 및 통제적 학급풍토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수줍음형 혹은 절제형 위축을 보이는 여학생이 높은 수준의 방임적 혹은 통제적 학급풍토를 지각할 때 괴롭힘 피해를 보다 빈번히 경험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의의,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차례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ocial withdrawal subtypes (i.e., shy, unsociable, and regulated withdrawal) and perceived class climates(PCLs) with peer victimization(PV) and tested if the PCLs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and PV among 382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y gender, in which middle school girls had higher shy withdrawal and relational PV scores, were found, subsequent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boys and girls.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hy and unsociable withdrawal and “controlled” and “laissez-faire” PC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V, whereas “autonomous” and “sociable” PC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V for both boys and girls. Regulated withdrawal wa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PV by gender; regulated withdrawal significantly increased PV among girls, while it was not associated with direct and relational PV and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social behaviors by peers among boys. Further, the moderating roles of controlled and laissez-fair PCLs on the relations between shy and unsociable withdrawal and PV were significant only for girls; socially withdrawn middle school girls who were shy or regulated tended to report increased PV experiences, especially as they perceived higher levels of controlled or laissez-faire classmat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vided.

인지적 유연성이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은설(서울시립대학교) ; 신윤정(서울시립대학교) pp.235-258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Lent와 Brown(2006, 2008)의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삶의 만족 모형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내적인 요인으로 문제의 지각과정 및 해결과정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역량인 인지적 유연성을 설정하는 한편, 환경적인 요인으로 상사의 지지, 사회인지적인 변인으로 교사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설정하여 이들이 직업만족 및 삶의 만족과 갖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219명이었고 이론 모형의 적합성 및 변인 간 직․간접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Lent와 Brown(2006, 2008)에 기초한 연구 모형이 연구대상인 한국 교사들의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한 12개의 경로 중 3개의 경로를 제외한 경로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상했던 대로 직업만족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과 정적인 연관성을 보였고, 인지적 유연성은 직업만족에 상사지지, 교사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를 통해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에서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이르는 직접경로와 상사지지, 교사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직업만족을 통한 간접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만족 및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 sample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do so, we applied Lent and Brown’s(2006,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of Well-being. Specifically, we considered cognitive flexibility as personal trait variable, supervisory support as environmental support component, teacher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as person cognitive components and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study was 219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 area.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s well as direct and mediating path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provide a good fit to the data and 9 hypothesized paths of variables were found as significant. As hypothesized,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via supervisory support, teacher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lso, a direct path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paths via supervisory support, teacher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enhance teachers’ job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w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 상실 외상 경험을 중심으로
김민경(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조성호(가톨릭대학교) pp.259-279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및 타당화 연구로서, 상실 외상을 경험한 뒤 외상후 성장을 이루었다고 판단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무엇이 성장에 도움을 주었는지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연구 1의 개념도 연구를 위해 경기도 S시 내 총 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8개의 핵심문항이 도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분류한 문항들을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개념도로 작성하였다. 차원은 총 2가지로, 인지․정서적 관여-행동적 관여와 개인적 요인-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범주는 총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중요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한 결과, ‘가족들의 의지 및 책임감’, ‘개인적 목표달성 및 성취감’, ‘수용과 의미탐색’,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해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후 연구 2에서는 상실 외상을 경험한 연구 1과 다른 새로운 청소년들 중 성장 집단 8인과 비성장 집단 8인을 각각 선정하여 연구 1에서 밝혀진 성장변인 38문항에 대한 중요도의 차이를 비모수 검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장 집단이 비성장 집단보다 4개의 성장변인에 대해 모두 높은 순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의의하는 바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both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It aims to empirically determine major contributors to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as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of the first study, which was a concept mapping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eight adolescents,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ho were reported to achieve the posttraumatic growth. The researchers summarized them into 38 core components, and created a concept ma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wo dimensions consisted of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engagement and personal-sociocultural factor. The four clusters were evaluated with 5-point Likert scales (1 = strongly disagree to 5 = strongly agree) for subjects to show how important each cluster was to the individual’s context. The result referred to “willingness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members” as the most significant, followed by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 and a sense of achievement”, “acceptance and searching for meaning” and “social support and stress relief activities”. Next, the second study sought to validate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that were revealed in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rough a new non-parametric statistics test. In this study, the 38 components of growth variables drawn from the previous concept mapping, we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to two groups, one of which consisted of an eight people of growth group, and the other an eight people of non-growth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rowth group was ranked higher than the non-growth group, and the difference in the four clusters was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it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