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 quality in Adolescent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adolescents. Two hundred and sixty-on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That is, peer relationship quality was only indirectly affected b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rough self-acceptance. Second,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the group with low self-acceptance, but it did in the group with high self-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adolescents self-acceptance by verifying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i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keywords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또래관계 질, 자기수용,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eer relationship quality, self-acceptance

Reference

1.

강병은 (2015).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교육연구, 38, 77-95.

2.

김다정 (2017).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6(1), 56-63.

3.

김빛나 (2014).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외로움의 관계: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사라형선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지, 33(3), 119-130.

5.

김사라형선 (2005).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우울 관계에서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461-481.

6.

김진경, 유안진 (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과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3(2), 111- 131.

7.

김지윤, 이동귀 (2012). 여고생의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수준에 대한 자기불일치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 역할. 상담학연구, 13(3), 1443-1460.

8.

김지윤, 이동귀 (2013).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4(1), 63-82.

9.

남유진 (2017).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류선주 (2018).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문제에 따른 집단 분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격려,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집단간 차이.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민소윤 (2014). 중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현주, 정대용 (2010). 완벽주의 하위집단의 특징: 지연행동, 문제해결 평가, 대인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3), 975- 991.

13.

배민영 (2015). 친구관계 질이 사회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4(3), 177-197.

14.

배성만, 홍지영, 현명호 (2015).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22(5), 325-444.

15.

안상원 (201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수영 (2009).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163-176.

17.

안은미 (2018).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20(2), 127-149.

18.

양하련, 이은주 (2014). 청소년의 사회적 상취목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 친사회성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2(1), 235-260.

19.

오선우 (2016).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외로움의 관계: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적지지 및 관계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4(2), 1-16.

20.

이기은 (2008). 대학생의 성인애착,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불안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동귀, 서해나 (2010).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대학생과 낮은 대학생의 특성비교. 상담학연구, 11(1), 91-110.

22.

이미화, 류진혜 (2002).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한국청소년학회, 9(3), 293-316.

23.

이새싹 (2016).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와 외로움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원경 (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 만족의 관계. 대학생활연구, 17(2), 74-90.

25.

이어진 (2015).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의사고통능력의 매개효과 및 성차분석. 상담학연구, 16(4), 209-224.

26.

이은진 (2014).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 비난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지은 (2017).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찬희 (2014).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태영 (2015).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현미, 하정희 (2015). 완벽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5875-5887.

31.

정단비 (2012). 아동의 자기수용과 타인공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명인, 오수성, 신현균 (2005). 기능적, 역기능적 완벽주의자의 성공 및 실패 사건 경험에 대한 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 709-719.

33.

정원우 (2015).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 관계에서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정은영, 신희천 (2014).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5(1), 183-194.

35.

최명선, 강지희 (2008).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43-53.

36.

최인영 (2018).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2), 133-153.

37.

하정희 (2010).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265-280.

38.

하정희 (2011).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의 개발과 타당화. 상담학연구, 12(4), 1069-1088.

39.

하정희 (2011).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방어유형과 우울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21- 941.

40.

한종철, 김은정, 김영란, 배주미 (1994). 대인관계를 통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연세교육과학, 43, 171-202.

41.

한현아 (2008).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 87-101.

42.

허토실 (2017).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5(2), 45-63.

43.

홍윤정 (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대인간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3), 211-227.

44.

홍주영, 도현심 (2002). 부부갈등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청소년의 또래관계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25-136.

45.

황종건 (2000). 소집단 자기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수용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Berndt, T. J. (1999). Friends’ influence on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15-28.

47.

Chamberlain, J. M., & Haage, D. A. F. (2001).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19, 163-176.

48.

Ellis, A. (1977). Psychotherapy and the value of a human being. Handbook of rational-emotive therapy, 1, 99-112.

49.

Flett, G. L., Besser, A., Davis, R. A., & Hewitt, P. L., (2003). Dimensions of perfectionism,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epression.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21(2), 119-138.

50.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Retrieved form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

51.

Hewitt, P. L, Flett, G. L., Sherry, S. B., Habke, M., Parkin, M., Lam, R. W., et al. (2003).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perfec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303.

52.

Juffer, F, Stams, G, J. M., & van IJendoorn, M. H. (2004). Adop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go resiliency, ego control, and sociometric statu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4), 697-706.

53.

Maccinnes, D. L. (2006). self-acceptance: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hh Nursing, 13, 484-489.

54.

Mackinnon. S. P., & Sherry. S.. B., (2012). Perf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subjective well-eing: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1), 22-28.

55.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611.

56.

Rogers, C. R. (1950). The significance of the self-regard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In M. L. Reymert (Ed.), Feelings and emotions. New York: McGeow-Hill.

57.

Shahar, T. B. (2010). 완벽의 추구. (노혜숙 역).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09 원판 출간).

58.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 641-669.

59.

Somov, P. G.. (2010). Present perfect: A mindfulness approach to letting go perfectionism and the need for control. New Harbinger.

60.

Thompson, B. L., & Waltz, J. A. (2008). Mindfulness, self-estee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26(2), 119-126.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