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Traumatic Experienc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traumatic experienc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based on the needs of field experts and the needs of the subjects. This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20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10 session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before, after, and follow-up. independent sample t-analysis was used to examine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beforehand. Mixed ANOVA was also used to verify a hypothesis. In conclusion, the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intentional rumination level with experienced adolescents.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trauma experienced adolescents,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development, rumination, social support, 외상경험 청소년,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반추, 사회적 지지

Reference

1.

강화형 (2004). 인문계 고등학생과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아름 (2012). 수용-전념 치료가 죽음관련 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고통, 부정적 정서수준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정혜, 오현주, 정정숙 (2010). 다시 행복할 수 있을까?. 서울: 학지사.

4.

김윤아, 김미영 (201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332-338.

5.

김정옥 (2016).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희 (2016).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불안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희, 김선희 (2016). 집단미술치료가 남한 거주 북한이탈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12(1), 197-219.

8.

김지은, 이민규 (2015). 청소년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29-146.

9.

김지희 (2016). 유방암 생존자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태국, 정은의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 후성장과 문화적응. 북한학보, 37(2), 147-173.

11.

김현미, 정민선 (2014).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 탐색. 교육치료연구, 6(2), 213- 228.

12.

김희숙, 남춘연, 이호진 (2014).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D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10(10), 103-121.

13.

김희정 (2008). 노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내원지연시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모란, 유성은 (2014).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4(3), 435-453.

15.

박미애, 김세경, 천성문 (2013).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20(3), 627-652.

16.

박선정 (2015a). 상실 경험 청소년의 적극적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19-130.

17.

박선정 (2015b). 관계 상실 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0(30), 71-94.

18.

박수진 (2016). 시나리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예슬 (2013).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심리적 수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은아 (2015).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7(1), 263- 288.

21.

박은아, 조혜정, 이재경 (2016).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7(3), 223-249.

22.

박 정, 장현아, 김보미, 이유리, 차민지 (2015). 실연 경험 대학생을 위한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예비연구. 사회과학연구, 39(3), 311-333.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3.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진희, 정용식, 정영미 (2016). 유방암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6(3), 454-462.

25.

박혜원 (2006).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반응의 매개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71-701.

27.

손강숙, 성부해 (2016). 대학생의 이별경험 후회대처와 외상 후 자기성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8), 262- 262.

28.

송 현, 이영순 (2013).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4), 1231-1246.

29.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송주연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신부균 (2001).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34.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

35.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36.

유새봄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내면화된 수치심,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윤명숙, 박아란 (2015).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7(3), 239-261.

39.

윤명숙, 김남희, 최혜정 (2013). 부모와 사별한 대학생의 애도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9, 83-111.

40.

이동훈, 신지영, 김유진 (2016). 세월호 재난으로 친구를 잃은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89-120.

41.

이유리, 장현아 (2016). 관계 상실 경험 여고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65-80.

42.

이현주, 전성숙 (2016).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8(3), 247-255.

43.

임선영 (2014).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외상 후 성장 촉진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339-358.

44.

전보람 (2012).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전유진, 배정규 (2013).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4(2), 215-228.

46.

전지은 (2016).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 자기효능감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정민선 (2014). 대학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415- 430.

48.

정지선, 안현의 (2008).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45-160.

49.

정연균, 최응렬 (2014).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도권 지역내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48, 243-276.

50.

정인명 (2009).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천성문, 함경애, 박명숙, 김미옥 (2017).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2.

최순옥 (2014).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17(1), 1-9.

53.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4.

최현아 (2014).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정신과 능력이 품행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하영미, 양승경 (2015). 암 생존자의 질병관련 특성과 암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0(2), 1-12.

56.

한승우 (2015).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2009).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2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58.

Allen, J. G. (200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59.

Allen, J. G. (2008).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American Psychiatric Pub.

6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61.

Anesehendel, C. C., & Stone, J. D. (1982). Stress and Depression; A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 13291-13296.

62.

Barlow, D. H., Allen, L. B., & Choate, M. L. (2004). Toward a unified treatment for emotional disorders. Behavior Therapy, 35(2), 205-230.

63.

Barrett, T. W., & Scott, T. B. (1989). Development of the grief experience questionnaire. Suicide & Life Threatening Behavior, 19, 201-215.

64.

Bond, F. W., Hayes, S. C., Baer, R. A., Carpenter, K. M., Guenole. N, Orcutt, H. K. Waltz, T. Zettle, R. D. (2011).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42, 676-688.

65.

Bower, J. E., Kemeny, M. E., Taylor, S. E., & Fahey, J. L. (1998). Cognitive processing, discovery of meaning, CD4 decline, and AIDS-related mortality among bereaved HIV-seropositive 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6), 979-986.

66.

Breslau, N., Davis, G. C., Andreski, P., & Peterson, E. (1991).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population of young adul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3), 216-222.

67.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Eds.), The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1-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68.

Calhoun, L. G., Cann, A., Tedeschi, R. G., & McMillan, J. (2000).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3), 521-527.

69.

Cann, A., Calhoun, L. G., Tedeschi, R. G., Triplett, K. N., Vishnevsky, T., & Lindstrom, C. 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2), 137-156.

70.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67-283.

71.

Christopher, M. (2004). A broader view of trauma: A biopsychosocial-evolutionary view of the role of the traumatic stress response in the emergence of pathology and/or growth.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1), 75-98.

72.

Clak, D. A., & Beck, A. T. (1999). Scientif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of depression. John Wiley & Sons.

73.

Cohen, S. (2004).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59(8), 76-684.

74.

Copeland, W. E., Keeler, G., Angold, A., & Costello, E. J. (2007).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in childhood.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4(5), 577-584.

75.

Costello, E. J., Erkanli, A., Fairbank, J. A., & Angold, A. (2002). The prevalence of potentially traumatic even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5(2), 99-112.

76.

Everstine, D. S., & Everstine, L. (1993). The trauma response: Treatment for emotional injury. W. W. Norton & Co.

77.

Finkelhor, D., Ormrod, R., Turner, H., & Hamby, S. L. (2005). The victimization of children and youth: A comprehensive, national survey. Child Maltreatment, 10(1), 5-25.

78.

Foa, E. B., & Rothbaum, B. O. (1998). Treatment manuals for practitioners. Treating the trauma of rap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PTSD. New York: Guilford Press.

79.

Frazier, P., Tennen, H., Gavian, M., Park, C., Tomich, P., & Tashiro, T. (2009). Does self-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reflect genuine positive change?. Psychological Science, 20(7), 912-919.

80.

Hawks, E., Blumenthal, H., Feldner, M. T., Leen-Feldner, E. W., & Jones, R. (2011).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exposure and panic-relevant biological challenge responding among adolescents. Behavior Therapy, 42(3), 427-438.

81.

Herman, J. L.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3), 377-391.

82.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Y: Free Press.

83.

Juvonen, J., Nishina, A., & Graham, S. (2000). Peer harassment,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choo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349-359.

84.

Kilmer, R. P. (2006).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hildren.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264-288.

85.

Lumley, M. A., & Provenzano, K. M. (2003). Stress management through written emotional disclosure improves academic performance among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sympto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3), 641.

86.

Maercker, A., & Langner, R. (2001).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Validation of German versions of two questionnaires. Diagnostica, 47(3), 153-162.

87.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1), 41-48.

88.

McCormick, C. M., Mathews, I. Z., Thomas, C., & Waters, P. (2010). Investigations of HPA function and the enduring consequences of stressors in adolescence in animal models. Brain and cognition, 72(1), 73-85.

89.

Meiser-Stedman, R., Dalgleish, T., Yule, W., & Smith, P. (2012). Intrusive memories and depression following recent non-traumatic negative life events in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7(1), 70-78.

90.

Micale, M. S., & Lerner, P. (2001). Traumatic pasts: history, psychiatry, and trauma in the modern age, 1870-19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

Nolen-Hoeksema, S., Parker, L. E., & Larson, J. (1994).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1), 92-104

92.

Orozco, R., Borges, G., Benjet, C., Medina-Mora, M. E., & López-Carrillo, L. (2008). Traumatic life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Mexican adolescents: results from a survey. Salud pública de méxico, 50, s29-s37.

93.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 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871-105.

94.

Reivich, K., & Shatté, A. (2002). The resilience factor: 7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Y: Broadway Books. Robinson & Larson, 2002.

95.

Robinson, J. S., & Larson, C. (2010). Are traumatic events necessary to elicit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2), 71-76.

96.

Shannon, M. P., Lonigan, C. J., Finch, A. J., & Taylor, C. M. (1994). Children exposed to disaster: I. Epidemiology of post-traumatic symptoms and symptom profil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3(1), 80-93.

97.

Stevens, S. J., Murphy, B. S., & McKnight, K. (2003). Traumatic stress and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 to substance abus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HIV risk behavior in a sample of adolescents enrolled in drug treatment. Child Maltreatment, 8(1), 46-57.

98.

Taku, K., Calhoun, L. G., Cann, A., & Tedeschi, R. G. (2008).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eath Studies, 32(5), 428-444.

99.

Tedeschi, R. G. (1999). Violence transformed: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and their societie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3), 319-341.

100.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3). Using the support group to respond to the isolation of bereavement.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15(1), 47-54.

101.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02.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103.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104.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6). Expert companions: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291-310.

105.

Tennen, H., & Affeck, G. (1998).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 in the face of adversity. In R. G. Tedeschi, C. L. Park, & L. G callhoun (Eds.),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pp. 65-9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ces.

106.

Terr, L. C. (2003). Childhood traumas: An outline and overview. Focus, 1(3), 322-334.

107.

Ullrich, P. M., & Lutgendori, K. (2002).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4(3), 244-250.

108.

Weiss, T. (2002).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2), 65-80. 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2), 65-80.

109.

Yalom, I. D., & Lieverman, M. A. (1991). Bereavement and heightened existential awareness. Psychiatry, 5(4), 334-345.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