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arental attitude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resilience affect their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The participants included 337 fifth and sixth graders in one elementary school in Chungju-si, Chungcheongbuk-do Province. A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research packet included measures of parenting attitudes, helplessnes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al attitude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whereas learned helpless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ther three variables. Seco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learned helplessness. Third,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learned helplessness.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link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finding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resilience when designing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those with learned helplessness. This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강지은 (201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계숙 (201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정 (1984). 학업성취가 지각된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민희 (2007).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선희 (2005). 무력감 감소훈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력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세은, 김사라형선 (2016).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7(2), 239-256.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김영미 (2012).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력감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3), 47-73.
김영효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화합도, 학습된 무기력, 학구적 실패내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희, 강혜원 (2008).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 학교학습동기와 학교적응 및 성적의 관계. 소년보호연구, 10, 187-216.
김재현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이 양육태도와 내재적 가치평가양식의 관계.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운, 김유진 (2009). 아동,청소년상담: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 455-468.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 위즈덤하우스.
김해경, 서경현 (2013). 거부적 및 통제적 양육태도와 회피성 성격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20(11), 107- 127.
김향희 (199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개념 및 정서간의 상관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숙 (2013). 문제는 무기력이다. 서울: 미래엔.
방한승, 최우성, 나상문, 조형규 (2017).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관광관련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2(2), 69-91.
보건복지부 (2014., 11. 4.). 아동의 주관적건강 및 상대적 빈곤률은 개선, 삶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06294&page=1)
서지혜, 이종숙 (2014).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2), 429-457.
신기명 (1990). 학습된 무력감 진단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용명선, 이연승 (2011).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141-159.
유정옥, 정문경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0), 73-95.
유지영, 김춘경 (2014). 초등학생의 부모 애착과 학습된 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8), 347- 372.
유지영, 김춘경 (2015).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향상과 학습된 무기력 감소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9(3), 53-73.
유현숙, 선혜연 (2017).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5), 223-239.
이경옥 (200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습된 무력감 진단 척도 개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선 (1997).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종림 (201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와 자아개념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2011). 청소년의 역경과 자아탄력성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 청, 문혁준 (2016). 아동의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애착, 학교생활 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5(4), 337-349.
임경희 (2004). 가정, 학교 및 개인 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5(2), 473-507.
정남숙 (2006).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수자 (1997). 가정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11(3), 225-242.
정혜준 (2017).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용우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스마트폰 과용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주지은 (1999).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민아, 신우열, 박인아, 김주환 (2009).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 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보, 53(5), 199-220.
최성애 (2014). 나와 우리 아이를 살리는 회복탄력성. 서울: 해냄출판사.
최원경 (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은숙, 김성일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구적 실패내성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10(2), 177-202.
한지선 (2008). 부모 간 양육태도의 일치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 차이.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미영, 윤미선 (2016).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른 교실목표구조 지각, 학습된 무기력, 성취정서의 인과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7(4), 169-192.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 1182.
Clifford, M. M. (1984). Thoughts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Educational Psychologist, 19, 108-120.
Durbin, E. (2014). Depression 101. New York, NY: Spring publishing company.
Garmezy, N. (1993). Children at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ew York, NY: Guilford Press.
Hiroto, D. S., & Seligman, M. E. P. (1975). Generality of learned helplessness in m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2), 311-327.
Lazarus, R. S. (1991). Cognition and motivation in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6(4), 352-367.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Reivich, K., & Shatté,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 key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New York: Broadway Books.
Ruthig, J. C., Perry, R. P., Hall, N. C., & Hladkyj, S. (2004). Optimism and attributional retraining: longitudina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xiety, and voluntary course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 709-730.
Seligman, M. E. P. (1972). Learned helplessness. Annual Review of Medicine, 23, 407-412.
Seligman, M. E. P. (1990).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Templeton Foundation Press.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Weisz, J. R., Yeates, K. O., Robertson, D., & Beckham, J. C. (1982). Perceived contingency of skill and chance events: A development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8, 898-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