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Influence of neglect and abuse by parents on the emotional problems of you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buse and neglect experience by parents affect self-respect,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variance of emotional problem. Also we verified whether self-respect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mediates relation between abuse and neglect experience and variance of emotional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abuse and neglect appear to ha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matic symptoms. Furthermore, youth who have abuse and neglect experience have difficulties in self-respect and relation with teachers. Second, self-respect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relation between abuse and neglect experience and variance of emotional problem. Third, although relation between abuse and neglect experienc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prese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e direct path are significant in the opposite direction, resulting in a suppression effect. Finall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Neglect, Abuse, Emotional problem, Self-esteem,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방임, 학대, 정서문제, 자아존중감, 교사관계

Reference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 2. 25). 국민관심질병통계.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웹사이트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에서 2019년 5월 3일 인출.

2.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2000). 심리척도핸드북 I. 서울: 학지사.

3.

권경인, 정미정 (2017)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체계 손상과 부적응적 분노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4), 389- 407.

4.

권자영, 안동현, 이정숙 (1992) 신체적 학대가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3(1), 73-83.

5.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 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6.

김민성, 신택수, 허유성 (2012). 중고등학교 시기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6(2), 429-459.

7.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4).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청소년연구, 25(4), 5- 33.

8.

김선희, 김경연 (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9.

김성수 (2013).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1(2), 343-364.

10.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12.

김숙향, 김형모 (2018).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조절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26-36.

13.

김윤희, 구자연, 김현경 (2018). 대학 신입생의 우울. 청소년학연구, 25(7), 67-92.

14.

김은희, 이인혜 (2016).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 대상적 자기 손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03-1022.

1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6.

김평화, 이경상 (2018). 부모학대 및 방임 경험이 보호관찰소 보호처분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10), 175-203.

17.

김희수 (2005).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폭력 수준이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6(1), 109-132.

18.

남영자, 박태영 (2009).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6(4), 47-71.

19.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애리 (2014).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청소년복지연구, 16(4), 397- 416.

21.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3(3), 75-88.

22.

백욱현, 손현규. (2004).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폭력 수준과 불안, 학교적응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2), 181-193.

23.

소선숙, 송민경, 김청송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학교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3), 1-23.

24.

신지현, 강현아 (2018).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1-22.

25.

신현균 (2002).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 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1-187.

26.

신현균 (2003).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초등 고학년생의 신체증상 경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29-846.

27.

신효정, 이문희 (2014).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1(1), 291- 312.

28.

신효정, 최현주 (2016).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건강,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1), 31-54.

29.

안은미, 이지연, 정익중 (2013).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1), 201-226.

30.

안혜진 (2016).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475-493.

31.

우수정 (2017)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37-51.

32.

원재순, 김진숙 (2016).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23(9), 177-205.

33.

이봉주, 손선옥, 김윤지 (2015).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31, 37-58.

34.

이윤아, 최진아 (2015).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2(3), 331-339.

35.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6.

이충권, 양혜린 (2017). 가정에서의 학대․방임 피해경험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9(1), 29-55.

37.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2(6), 2273-2291.

38.

임양미 (2018). 부모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7(5), 369-384.

39.

정익중, 박민아 (2013). 모의 우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보상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39, 241-267.

40.

정현희 (2016). 청소년 초기 교사-학생 관계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따른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학교적응. 청소년상담연구, 24(1), 245-266.

41.

조붕환, 임경희 (2003).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746.

42.

조예진, 주해원, 현명호 (2015). 부정적 양육과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 비행피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6(2), 59- 81.

43.

조은정 (2013). 사회적 지지가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1(1), 17-26.

44.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6).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45.

최창욱 (2018).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8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6.

통계청 (2019. 1. 9).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국가통계포털 웹사이트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parentId=D.1;D1.2;117_11758.3;117_11758_011.4;#117_11758_011.4에서 2019년 5월 3일 인출.

47.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황창순 (2006).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17(1), 201-225.

49.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5).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2nd ed.).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0.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51.

Ban, J., & Oh, I. (2016).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buse/neglect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Child abuse & neglect, 61, 35-42.

52.

Bowker, J. C., Nelson, L. J., Markovic, A., & Luster, S. (2014). Social withdrawal during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In R. J. Coplan, & J. C. Bowker (Eds.), The handbook of solitud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ocial isolation, social withdrawal, and being alone (pp. 167-183).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53.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2008).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Elaborating a central construct in attachment theory.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 102-127).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54.

Brown, R. J., Schrag, A., & Trimble, M. R. (2005). Dissociatio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and family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5), 899-905.

55.

Cerezo, M. A., and D. Frias. (1994). Emotional and cognitive adjustment in abuse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18(11), 923-932.

56.

Ciarrochi, J., Heaven, P. C., & Davies, F. (2007). The impact of hope, self-esteem, and attributional style on adolescents’ school grades and emotional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6), 1161-1178.

57.

Cohen, J., West, P., Aiken, S., & Cohen, Patricia.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 Erlbaum Associates.

58.

Criss, M. M., Pettit, G. S., Bates, J. E., Dodge, K. A., & Lapp, A. L. (2002). Family adversity,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risk and resilience. Child Development, 73(4), 1220-1237.

59.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60.

English, D. (1998). The extent and consequences of child maltreatment. Future of Children, 8(1), 39-53.

61.

Fredriksen, K., & Rhodes, J. (2004). The role of teacher relationships in the lives of students.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103, 45-54.

62.

Fritz, G. K., Fritsch, S., & Hagino, O. (1997) Somatoform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6(10), 1329-1338.

63.

Gabbard, G. O. (2014).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64.

Gaylord-Harden, Noni K., Cunningham, Jamila A., Holmbeck, Grayson N., & Grant, Kathryn E. (2010). Suppressor Effects in Coping Research with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from Low-Income Communi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8(6), 843-855.

65.

Greger, H. K., Myhre A. K., Klöckner, C. A., & Jozefiak, T. (2017). Childhood maltreatment, psychopathology and well-being: The mediator role of global self-esteem, attachment difficulties and substance use. Child Abuse & Neglect, 70, 122-133.

6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67.

Karakuş, Ö. (2012). Relation between childhood abuse and self esteem in adolescence. Journal of Human Sciences, 9(2), 753-763.

68.

Keizer, R., Helmerhorst, K. O., & van Rijn-van Gelderen, L. (2019). Perceived Quality of the Mother-Adolescent and Father-Adolesc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Self-Esteem.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8(6), 1203-1217.

69.

Kilpatrick, D. G., Ruggiero, K. J., Acierno, R., Saunders, B. E., Resnick, H. S., & Best, C. L. (2003). Violence and risk of PTSD, major depression, substance abuse/dependence, and comorbidity: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4), 692-700.

70.

Kohut, H. (1984). How does analysis cure?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1.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72.

Lipowski, Z, J. (1988) Somatization: The concept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11), 1358-1368.

73.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74.

Meehan, B. T., Hughes, J. N., & Cavell, T. A. (2003).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s compensatory resources for aggressive children. Child Development, 74(4), 1145-1157.

75.

Ojanen, T., & Perry, D. G. (2007). Relational schemas and the developing self: Perceptions of mother and of self as joint predictors of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Developmental Psychology, 43(6), 1474-1483.

76.

Rosen, K. (2016).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Emerging Self. London, UK: Macmillan Education.

7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78.

Rubin, K. H., Coplan, R. J., Bowker, J. C. (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141-171.

79.

Schmidt, J. J. (2003). Counseling in schools: Essential services and comprehensive program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80.

Schwartz, E., & Davis, A. S. (2006).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Implications for school readiness and school function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43(4), 471-479.

81.

Shields, A. M., Cicchetti, D., & Ryan, R. M.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among maltreated school-age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57-75.

82.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6.

83.

Silber, T. J., & Pao, M. (2003). Somatiz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in Review, 24(8), 255-261.

84.

Smith, P., & Beaton, D. (2008). Measuring change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methodological issues to consider when data are collected at baseline and one follow-up time point.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5(4), 288-296.

85.

Urquiza, A. J., & Winn, C. (2003). 학대와 방임 피해 아동의 치료: 0세부터 18세까지 (노충래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3 출판)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