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The Effect of Life Stress, Social-Anxiet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through social-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and smart phone overdependenc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Southern Post using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social anxietyy scale(SIAS), smart phone overdependence scale(S-sca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BEQ). Data collected from 400 (200 men, 200 women)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anxiety, smart phone overdepende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ly,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social-anxiety on the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ffecting smart phone overdependence. Thirdly, emotional expressivenes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through social-anxiety.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mart phone overdependence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life stress, social-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keywords
대학생활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사회불안, 정서표현성,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social-anxiety, smart phone overdepend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Reference

1.

강경아, 박성희 (2018).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 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2), 210-218.

2.

곽지현, 홍혜영 (2018).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3), 33-62.

3.

김남선, 이규은 (2012).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2), 72- 83.

4.

김동임, 조인주 (201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대처,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5(4), 241-251.

5.

김동희 (2016).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사용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연구, 24(2), 57-64.

6.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 대인불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01-324.

7.

김민경, 현명호 (201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및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61-176.

8.

김보라, 오현숙, 조문한 (2018). 기질,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1), 271-292.

9.

김성주, 이영순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평가염려완벽주의, 부정평가에 대한 두려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99- 216.

10.

김영경 (2013).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및 도박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4(1), 127-156.

11.

김은영, 김정기, 최승애, 남태현 (2016).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97-118.

12.

김정애, 조의영 (2016).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경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6(3), 187-201.

13.

김진주, 엄동춘, 주세진 (2014).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9(4), 139-147.

14.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형수 (2014).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과 SNS 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5(2). 11-26.

16.

김효정 (2009).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735-757.

18.

노승혜, 조현주 (2018). 불안관련 스트레스 경험이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의 사후반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1), 101-119.

19.

매일경제 (2019. 6. 14). Z세대가 온다 | 밀레니얼 세대와 닮은 듯 다른 신인류 스마트폰 쥐고 자란 ‘포노 사피엔스’. https:// mk.co.kr/news/econom.y/view/2019/06/417639/.

20.

박승혜, 이승연 (2019).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2(1), 105-126.

21.

박 은,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재확인 추구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69-685.

22.

박지윤 (2018).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혜경 (201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백선숙, 조주연 (2017). 대학생활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8), 248-256.

25.

서영임, 김정민, 조한비 (2018).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4(1), 197-215.

26.

송주석, 박기산, 김예인, 최희락, 신성만 (2018).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537-557.

27.

양재원, 오경자 (2009).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표정 정서 인식의 민감성과 인지편향. 인지행동치료, 9(2), 87-107.

28.

엄민경 (2013).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우형진 (2007).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4), 101-140.

30.

윤영선, 이민규 (2015).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67-586.

31.

오지희 (2015).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원호택 (1999). 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훈련 프로그램. 서울: 한국가이던스.

33.

이경은, 하은혜 (2011).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모델: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1(2), 39- 57.

34.

이명진, 이정민, 이진민, 최봉준, 전진호, 손혜숙 (2012). 여대생의 사회성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8), 301-309.

35.

이미영 (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우울감을 매개효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375- 384.

36.

이상주 (2011).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초등교육연구, 24(2), 89-113.

37.

이성철, 최태영, 우정민, 김지현, 서민재, 곽상규, 이종흔 (2014).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사회불안의 상관관계 예비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20(3), 212-218.

38.

이송흔 (2019).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4), 149-159.

39.

이수인, 김충명 (2019).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의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0(3), 121-138.

40.

이수진, 김태곤 (2018).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511-535.

41.

이연규, 최한나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대인존재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연구, 34(2), 21- 42.

42.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48.

43.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17-140.

44.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이지은, 조인효, 김은영 (2019). 대학생들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지털융복합연구, 17(1), 229-237.

46.

이진영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임정하, 이지윤, 김상미, 박지수, 정윤지 (2015).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적 통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2(3), 135-157.

48.

장혜진 (2015).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전겸구, 김교헌 (1991).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제어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137-158.

50.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51.

정새롬 (2014). 여대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서영, 송미경 (201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61-80.

53.

최경란, 홍지영, 박미현 (2019).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1305-1327.

54.

최미경, 조용래 (2005).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81-298.

55.

최승미 (2015).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1), 55-75.

56.

최정훈, 이정윤 (1994). 사회적 불안에서의 비합리적 신념과 상황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6(1), 21-47.

57.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58.

최홍일, 김진희 (2013). 아동, 청소년기의 방임적 양육 경험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4, 127- 153

59.

통계청 (2017). 2017 청소년 통계.

6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61.

한국일보, (2019. 4. 30). 포노사피엔스, 문명을 바꾼다. ‘2019 한국포험’ 최재붕교수 강연화제.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 201904291831787522

6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보고서.

6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017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서.

6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8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서.

65.

황예델, 이경순 (2019). 남․녀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 과보호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7(3), 179-206.

66.

황희은, 김향숙 (2015).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33-253.

67.

홍창희, 한규석 (2007). 한국 정서표현성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33-148.

6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

69.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 480.

7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71.

Campbell, A. J. Cumminf, S. R., & Hughes, I. (2006). Internet use by usesocially fearful: Addiction or therapy? Cyberpsychology & Behavior, 9(1), 69-81.

72.

Davila, J., & Beck, J. G. (2002). Is social anxiety associated with impairment in close relationship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Behavior Therapy, 33(3), 427-446.

73.

Durak, M., Senol D. E., & Gencoz, T. (2010).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mong turkish university students, correctional officers,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99(3), 413-429.

74.

Erikson, E. H. (1963). Youth: Change and challenge. Basic books.

75.

Felsten, G. (2004). Stress reactivity and vulnerability to depressed mood in college student. Personality Individual Differences, 36(4), 789-800.

76.

Gross, J. J., & John, O. P. (1995). Facets of emotional expressivity: Three self-repory factors and their correl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 555-568.

77.

High, A. C., & Caplan, S. E. (2009). Social anxiety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uring initial interactions: Implications for the hyperpersonal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ur, 25(2), 475-482.

78.

Hoffner, C. A., & Lee, S. (2015). Mobile phone use, emotion regulation, and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7), 411-416.

79.

Hopley, A. A., & Nicki, R. M. (2010). Predictive factors of excessive online poker play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4), 379-385.

80.

John, O. P., & Gross, J. J. (2004). Healthy and unhealthy emotion regulation: Personality processes, individual differences, and life span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72(6), 1301-1334.

81.

Kanner, A. D., Coyne, J. C., Schaefer, C., & Lazarus, R., S. (1981). Comparison of two modes of stress measurement: Daily hassles and uplifts versus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1), 1-39.

82.

Kennedy-Moore, E., & Watson, J. C. (2001). How and when does emotional expression help?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3), 187-212.

83.

Leech, S. L., Day, N. L., Richardson, G. A., & Goldschmidt, L. (2003). Predictors of self-reported delinquent behavior in a sample of you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3(1), 78-106.

84.

Mattick. R. P., & J.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4), 455-470.

85.

McKenna, K. Y., Green, A. S., & Gleason, M. E. (2002).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9-31.

86.

Noller. P., & Callan. V. J. (1990).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nature of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4), 349-362.

87.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 731.

88.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89.

Rogers, C. R. (1992).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6), 827.

90.

Samaha, M., & Hawi, N. S. (2016),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91.

Sheldon, K. M., Abad, N., & Hinsch, C. (2011). A two-process view of Facebook use and relatedness need-satisfaction: Disconnection drives use, and connection rewards 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0(4), 766-775.

92.

Strahan, E. Y. (2003).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2), 347-366.

93.

The Science Times (2017. 11. 03). 사무직, 스마트폰 주당 29.4시간 이용…대학생 38.시간.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2%AC%EB%AC%B4%EC%A7%81-%EC%8A%A4%EB%A7%88%ED%8A%B8%ED%8F%B0-%EC%A3%BC%EB%8B%B9-29-4%EC%8B%9C%EA%B0%84-%EC%9D%B4%EC%9A%A9%EB%8C%80%ED%95%99%EC%83%9D-38-6%EC%8B%9C%EA%B0%84.

94.

Vesile, O. (2011).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management skills and internet addic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9(10), 1425-1430.

95.

Wenzel, A. (2002). Characteristics of close relationships in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a preliminary comparison with nonanxious individuals. In: A clinician’s Guide to Maintaining and Enhancing Close Relationships. Mahwali,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6.

Yen, J. Y., Ko, C. H., Yen, C. F., Wu, H. Y., Yang, M. J. (2007). The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of Internet Addiction: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ADHD), Depression, Social Phobia, and Hostilit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1), 93-98.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